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5269
한자 林業
영어의미역 Forestry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장지용

[정의]

부산광역시의 산업 중 각종 임산물에서 나오는 경제적 이윤을 위해 삼림을 경영하는 업종.

[개설]

임업은 영림(營林), 산림용 종자 및 묘목 생산, 벌목, 야생 임산물 채취 등과 그 관련 서비스 활동을 포함하는 업종이다. 부산광역시는 전 시역의 47%가 임야로 이루어져 있다. 산림 면적은 기장군부산광역시에 편입된 다음 해인 1996년의 3만 7302㏊를 정점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산림이 풍부한 지역에서 공단 조성 등의 개발 사업이 진행된 것이 원인이다. 2009년의 3만 5758㏊가 최저였고, 2010년 현재는 3만 5786㏊이다. 2009년을 기준으로 국유림은 전체의 15.3%인 5,472㏊이고 나머지는 민유림이다. 민유림의 92.4%인 2만 7994㏊는 사유림이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임상별 면적]

임상별 면적을 보면 부산광역시 전체의 41.3%인 1만 4762㏊는 침엽수이며, 혼효림(混淆林)[두 종류 이상의 수종으로 이루어진 삼림]이 36.9%인 1만 3199㏊, 활엽수가 18.2%인 6,527㏊, 무입목지(無立木地)[나무를 심어 삼림을 조성할 예정이나 현재는 나무가 없는 지역]가 3.6%인 1,293㏊이다. 구·군별로 보면 전체의 41.47%인 1만 4841㏊가 기장군에 위치해 있고, 12.39%인 4,435㏊는 강서구에, 그리고 11.63%인 4,162㏊는 금정구에 있다. 그 외 해운대구가 전체의 8.16%, 북구가 6.43%, 사하구가 3.99%, 사상구가 3.53%를 차지하고 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임업 경영 형태]

임업에 종사하는 총 가구 수는 371가구에 불과하며 이중 대부분인 338가구는 재배임업만 경영하고 있고, 산림 보유를 기준으로 하면 90.30%의 가구가 보유하고 있는 산림이 없다. 산림을 보유한 가구 중에서는 3㏊ 이상 5㏊ 미만의 가구가 12가구로 가장 많다. 또 경영 형태를 보면 전업 가구는 83가구에 불과하고 나머지 288가구는 겸업의 형태로 임업에 종사하고 있다. 경영주 성별을 기준으로 하면 대부분인 336가구가 남자이며, 연령별로는 대부분이 40세 이상이다. 44세 이하의 가구는 모두 재배 임업만 하고 있다. 가장 많은 연령대는 55세 이상 59세 미만으로 79가구가 있으며, 60세 이상 가구도 전체의 40.16%인 149가구가 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임산물 생산]

부산 지역의 임산물 생산을 보면 용재, 죽순, 죽재, 톱밥, 산나물, 수액, 수지, 약용식물, 농용 자재, 연료, 섬유 원료, 목초액, 은행잎, 잔디, 칡뿌리, 오배자, 사스레피나무, 기타 부산물, 양묘(養苗) 등의 생산이 없다. 전체 생산액의 대부분은 순임목 생장량(純林木生長量)이다. 순임목 생장량은 한 해 동안 생장한 임목의 생장량의 가치를 추정한 것이다. 이를 제외하면 조경재가 2009년 10.82%, 2010년 9.64%의 비율을 차지했고, 버섯이 2009년 10.62%, 2010년 9.33%의 비율을 차지하였다. 그 외는 나무 열매와 조림이다. 즉 부산 지역의 임업은 대부분이 조경재와 버섯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버섯은 송이버섯을 제외한 기타 버섯류이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조경재 생산]

조경재의 생산은 부산광역시 금정구, 강서구, 기장군에 한정되어 있다. 부산광역시 금정구가 65% 이상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고, 다음으로 강서구기장군의 순이다. 모두 2007년에 비해 2010년에는 생산액이 줄어들었으나 2011년에 다시 늘어나고 있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품목별로 보면 조경수가 88% 이상이다. 다만 조경수의 비율이 다소 줄어들고 있고, 대신 분재 소재의 생산액이 다소 증가하고 있다. 분재 완재와 야생화도 2010년 이후 생산액이 증가하고 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임업 정책]

부산광역시는 2008년부터 2017년까지 10년간을 제5차 산림 기본 계획 기간으로 정하고 경쟁력 있는 산림 사업 육성과 쾌적한 산림 환경 가치를 증진시켜 21세기 그린 부산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환경·휴양 등 다양한 이용 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 조화로운 산지 관리 체계 확립, 친환경 산림 기반 구축과 지속적인 도시 경관림 조성으로 산림 환경 개선, 산림 생태계 보전과 산림 환경 기능 증진으로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도시 경관림 기반 구축 등이 구체적인 목표이다. 2011년에는 모두 14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산림 병해충 방제, 산불 방지 대책, 조림, 숲 가꾸기, 임도 관리 등에 관한 사업을 하였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