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5259 |
---|---|
한자 | 人力政策 |
영어의미역 | Manpower Policies |
분야 |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제도/법령과 제도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장지용 |
[정의]
부산광역시의 지역 인적 자원 개발 정책.
[개설]
부산광역시는 인적 자원[인간이 지니는 능력과 품성]의 개발·활용·관리를 극대화함으로써 지역 간 및 사업 주체 간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고 인근 지역들 간 협력을 제고하여 ‘선진화를 선도하는 인재 도시 부산’을 실현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먼저, 제도적으로 5년마다 지역 인적 자원 개발 종합 계획 수립, 각종 협의회 운영, 기금 조성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부산광역시 인적 자원 개발 및 과학 기술 진흥 조례」를 전국 최초로 제정하였으며, 인적 자원 개발 및 과학 기술 진흥에 필요한 자금을 확보하기 위하여 ‘인적 자원 개발 및 과학 기술 진흥 기금’을 조성하여, 지역 인적 자원 개발 및 과학 기술 진흥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대학 26개 기관, 유관 기관 13개 등 총 39개 기관이 참여하여 인적 자원 개발 추진 체제의 통합적 구축 및 인적 자원 양성을 위한 부산지역인적자원개발지원센터를 운영하는 등 다양한 정책을 통해 인재 도시 부산 구현에 힘쓰고 있다. 지식 네트워크 허브 서비스로 부산광역시가 창조적 지식 도시로 발전하기 위해 부산 지역이 보유하고 있는 인적 자원의 활용도를 높이고 지식인 네트워크 생성 및 지식 인프라 구축도 추진하고 있다. 부산지식네트워크는 부산 지역과 관련된 전문가 및 지식인을 통합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기반으로, 참여자 간의 온-오프라인 지식 커뮤니티 형성을 통해 집단 지성 창출과 사회적 자본을 확충하기 위한 지식 인프라 시스템이다.
고품질 인물 데이터베이스 확보, 시맨틱(Semantic) 통합 검색 시스템 구현, 동남권 확대를 통한 세계 10대 글로벌 전문가 포털로서의 위상 구축을 위한 사회 관계망·지식 네트워크 분석 서비스, 스타 전문가 포럼 운영 등을 통해 2만 스타 전문가를 확보하고 지식 커뮤니티 서비스, 지식 맵 서비스로 30만 지식 서포터즈를 양성하고자 한다.
[제정 경위 및 목적]
부산 지역의 인적 자원 개발 및 과학 기술 진흥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여 지식 기반경제를 구축하고 지역 경제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관련 기록]
관련 기록으로는 「부산광역시 인적 자원 개발 및 과학 기술 진흥 조례」[시행 2013. 7. 30, 부산광역시 조례 제4811호, 2013. 7. 10, 일부 개정]가 있다.
[내용]
1. 인적 자원 개발 및 과학 기술 진흥 기금 조성·운용
인적 자원 개발 및 과학 기술 진흥을 위한 사업 재원으로 활용되는 기금은 2011년 말까지 총 1166억 원을 조성하고, 총 973억 원을 사용하였으며, 193억 원을 적립하였다. 기금의 지원 사업을 통해 지역 대학 우수 인재 양성, 과학 기술 진흥 및 단체 지원, 인재 양성 기반 구축 및 조사 연구, 전략 산업 전문 인력 양성 등 4개 분야 총 43개 사업에 99억 100만 원을 지원했으며, 그 세부 내역은 다음과 같다.
① 지역 대학 우수 인재 양성 사업으로 제2 단계 BK21 사업 등 10개 사업에 27억 9300만 원, ② 과학 기술 진흥 및 단체 지원 사업으로 과학 문화 확산 및 과학 대중화 지원 등 5개 사업에 15억 3000만 원, ③ 인재 양성 기반 구축 및 조사 연구 사업으로 지역 인적 자원 개발[RHRD] 지원 센터 운영, 교육청 연계 우수 인재 양성 등 16개 사업에 47억 8100만 원, ④ 전략 산업 전문 인력 양성 사업으로 국제 마케팅 전문 인력 양성 사업 등 12개 사업에 7억 9500만 원 등을 지원하였다.
2. 지역 특화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대학 지원 강화
지역 대학 우수 인재 양성 사업으로 총 13개 대학 38개 사업단에 국비 243억 원, 시비 20억 원을 지원하였다. 특히, 우리 시 자체 우수 인재 양성 사업인 BB[Brain Busan] 21 사업을 이공계뿐 만 아니라, 인문 사회계 및 전문대 등으로 지원 분야를 다양화하여 8개 대학 22개 사업단에 10억 원 규모로 지원하였다. 또한 특성화고와 전문대 산업체의 맞춤형 교육 과정을 통해 지역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우수한 중간 기술 리더를 집중 육성하는 기술 사관 육성 사업으로 지역 대학 2개 사업단에 국비 15억 원, 시비 4000만 원을 지원하였다.
3. ‘인재 도시 부산’ 실현을 위한 기반 구축
부산광역시에서는 국가와 지역이 연계되는 지역 단위 인적 자원 개발 정책과 사업을 추진하고 RHRD[regional human resources development, 지역 인적 자원 개발] 정책 추진 사업으로, 2011년도에는 인재 양성 기반 구축 및 정책 연구 24개 사업[27억 원]을 추진하였고, 8개 분야 지역 특화 전문 인력 253명을 양성하였다. 또한 지식 네트워크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한 지식 네트워크 구축 사업을 추진하여 전문가 DB 1만 3000명과 상용 서비스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그리고 부산테크노파크 부산 지역 산업 인력 양성 포털을 운영하고 있다. 이를 통해 지역 전략 산업 분야 기업에 대한 기술 인력의 원활한 수급을 위해 현장 기술 인력 및 예비 기술 인력 양성을 지원하고 있다. 기업 맞춤형, 지역 정착형 인력 양성을 위해 산학 연계형 교육 및 고용 프로그램 개발로 지역 전략 산업의 발전에도 기여하고 있다.
4. 일자리 종합 센터 운영
2011년 말 현재 부산광역시에는 489개소의 취업 지원 알선 기관이 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또한, 부산광역시에서는 일일 노동자를 위한 무료 취업 알선을 위하여 부산광역시 일일 취업 안내소를 동구 범일 1동 88-1번지에 설치 운영해오다 2010년 6월부터 동구 초량동 1144-7 구 동구청 별관으로 이전 운영해 오고 있다. 일일 취업 안내소는 2011년 12월 현재 7,957명의 취업을 알선해 저소득층 노동 인력의 안정적·공식적 수급 창구로서 그 기능을 다하고 있다.
그리고 기존 취업 정보 센터를 확장하고 전문 인력 2명을 충원한 ‘일자리 종합 센터’를 설치하여 찾아가는 일자리 발굴 사업 추진, 청년층 취업 지원 활성화를 위한 중소기업 교육 현장 취업 설명회 개최, 취업 박람회 확대 개최 등 내실 있는 취업 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변천]
2003년 1월 30일 「부산광역시 인적 자원 개발 및 과학 기술 진흥에 관한 조례」[부산광역시 조례 제3827호]가 제정되었다. 2004년 11월 4일 「부산광역시 인적 자원 개발 및 과학 기술 진흥에 관한 조례」[부산광역시 조례 제3963호]가 일부 개정되었다. 2005년 2월 16일 일부 개정되어 「부산광역시 인적 자원 개발 및 과학 기술 진흥에 관한 조례」[부산광역시 조례 제3827호]로 제명이 변경되었다.
2007년 12월 26일 일부 개정[부산광역시 조례 제4220호], 2010년 2월 17일 일부 개정[부산광역시 조례 제4472호], 2010년 7월 6일 일부 개정[부산광역시 조례 제4515호], 2012년 10월 31일 일부 개정[부산광역시 조례 제4811호], 2013년 7월 10일 일부 개정[부산광역시 조례 제4881호]되었다.
[의의와 평가]
부산 지역의 인적 자원을 육성하여 지역 사회의 지속 가능한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