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산업 정보 시스템 구축 운영 사업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5258
한자 産業情報-構築運營事業
영어의미역 Project for Establishing and Operating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
이칭/별칭 산업 종합 정보 시스템 구축
분야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제도/법령과 제도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장지용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정 시기/일시 1997년 12월 31일연표보기 - 「부산광역시 정보화 촉진 조례」[부산광역시 조례 제3414호]
개정 시기/일시 1998년 9월 15일 - 일부 개정[부산광역시 조례 제3475호]
개정 시기/일시 2004년 3월 11일 - 일부 개정[부산광역시 조례 제3912호]
개정 시기/일시 2004년 6월 10일 - 전부 개정[부산광역시 조례 제3930호]
개정 시기/일시 2005년 2월 16일 - 조례 제명이 「부산광역시 정보화 촉진 조례」로 변경[일부개정, 부산광역시 조례 제3984호]
개정 시기/일시 2008년 5월 7일 - 일부 개정[부산광역시 조례 제4267호]
개정 시기/일시 2010년 3월 31일 - 조례 제명이 「부산광역시 정보화 촉진 조례」에서 「부산광역시 정보화 기본 조례」로 변경[전부개정, 부산광역시 조례 제4493호]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0년 - DIGIPORT 21[정보화 기본 계획, 2000~2005년]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5년 - U-space Busan 21계획[정보화 기본 계획, 2005~2010년]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1년 - Asian Smart Network Space Busan[Smart Busan 2015][정보화 기본 계획 2011~2015년]
관할 지역 산업 정보 시스템 구축 운영 사업 - 부산광역시

[정의]

부산광역시가 추진하고 있는 정보화 기본 계획.

[제정 경위 및 목적]

산업 정보 시스템 구축 운영 사업은 부산광역시가 대내외적 변화 및 새로운 정보화 수요에 대응하고 지식 정보 사회를 구현하기 위해 추진하고 있는 사업이다. 산업 정보 시스템 구축이 포함된 부산광역시 지역 정보화 기본 계획은 「국가 정보화 기본법」 제6조와 「부산광역시 정보화 기본 조례」 제4조에 의거 수립된다.

[관련 기록]

관련 기록으로는 『부산 경제 백서』[부산광역시, 1998~2000], 「부산광역시 정보화 기본 계획(2011-2015)」[부산광역시, 2010], 「부산광역시 정보화 기본 조례」[부산광역시, 전부 개정 2010. 3. 31 조례 제4493호] 등이 있다.

[내용]

1. DIGIPORT 21 계획에서의 산업 종합 정보 시스템

2000년 최초로 수립한 DIGIPORT 21의 하나였던 산업 종합 정보 시스템 구축 사업의 하위 사업으로는 산업 관련 정보 DB 구축 및 서비스 사업, 중소기업 정책 지원 서비스 사업, 그리고 인터넷 전자 무역관 서비스 사업 등이 있다. 이중 중소기업 정책 지원 서비스 사업은 부산광역시의 중소기업 정책 수립 및 지원, 중소기업 육성 자금 관리 등의 제반 업무를 순차적으로 전산화하고 이를 토대로 지역 소재 기업의 현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관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것이다. 장기적으로는 부산 지역 소재 중소기업의 창업 및 변동 사항, 개별 중소기업의 운영 현황 등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함으로써 전체적인 부산광역시 중소기업 정책 수립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부산 지역 특화형 신산업의 육성 지원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려는 계획이다.

2. U-space Busan 21 계획에 의한 산업 정보화

2005년부터 2010년에 걸쳐 실시한 U-space Busan 21 계획에 의한 산업 정보화는 산·학·연·관의 정부 공유와 지원 체계의 구축, 전략 산업 정보화를 통한 산업 균형 발전, 지역 경제를 선도하는 성장 동력 산업의 창출, 정보화 부작용을 최소화한 정보 체계의 구축이 목표였다.

하위 목표는 산업 정보 서비스 포털 구축을 위한 정책 및 ISP[Information Strategic Planning, 정보화 전략 계획] 수립, 중소기업 및 재래시장 정보화 지원, 항만 산업 업무 지원 시스템 구축, 배후 물류 단지 물류 운영 시스템 구축, 문화 관광 포털 구축을 위한 정책 및 ISP 수립, 연구 개발 종합 관리 서비스 구축, 상업별 인력 양성 통합 서비스 구축, 산업 기술 협업 연구망 구축, E-Marketplace 구축, 디지털 콘텐츠 유통 시스템 구축, 화물 차량 운행 시스템 구축 등 13개를 정했으며, 이중 10개는 완료되었고 3개는 추진 중에 있다. 산업 정보화는 76.9% 정도 완료되었다. 2008년에 문화 관광 정보 서비스 포털이 구축 완료되었으며, 현재 디지털 콘텐츠 유통 시스템 구축 등이 추진 중이다.

3. Asian Smart Network Space Busan[Smart Busan 2015] 계획 하에서의 산업 정보화 계획

2011년부터 추진 중인 도시 정보화 추진 기본 비전은 동북아시아의 해양 및 조선/IT 융합 산업의 거점 역할, 동북아 상품 시장의 거점 역할, 해양 도시로서의 기능 활성화, 문화 관광 컨벤션 기능 활성화 등 통한 동북아 미래 도시상 정립이다. 전반적으로 산업과의 관련성이 구체화되어 있다. 구체적인 하위 목표는 크게 Green & Blue 부문, Creative & Slow 부문, Movie & Culture 부문, Asian Gateway 부문으로 설정하고 있다. 따라서 이전과 같이 명시적으로 산업 정보화 계획의 부문으로 구분되지 않는다.

그러나 세부 목표를 보면 이전의 연장선상에 있는 것이거나, 산업 종합 정보 시스템의 구축이라 할 수 있는 부문이 중심이 되어 있다. Movie & Culture 부문, Asian Gateway 부문의 대부분이 그렇다. Green & Blue 부문의 스마트 오피스, Movie & Culture 부문의 Festival & Event 서비스, Smart Busan Tour, Busan MICE 지원 서비스 등의 4개 과제, 그리고 Asian Gateway 부문의 스마트 TV 동북아 지역 장터, 해운 금융 포털 사이트 구축 등의 2개 과제 모두 광의의 산업 종합 정보 시스템의 하나라 할 수 있다.

스마트 오피스는 2010년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에서 발표한 ‘스마트 워크 활성화 전략’에 기반 한 것이다. 장소와 시간에 구애 없이 원격 근무가 가능한 환경을 구현하여 새로운 형태의 업무 시스템을 정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데스크 탑 가상화, 이동성을 극대화한 모빌리티 구현 등 가상화 기반의 스마트 오피스 구현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낮은 출산율과 비효율적인 노동 생산성 개선을 기대하고 있다. Movie & Culture 부문의 Festival & Event 서비스, Smart Busan Tour, Busan MICE 지원 서비스 등의 4개 과제는 그 자체로 부산의 관광 산업과 컨벤션 산업의 발전을 종합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축이라 할 수 있다.

Asian Gateway 부문의 스마트 TV 동북아 지역 장터는 수반 지역 내 소상공인과 소비자 간의 TV를 기반으로 한 전자 상거래 채널을 개설함으로써 부산 지역 중소상공인의 판로 확대와 수익성 향상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스마트 TV를 활용한 전자 상거래를 활성화하고,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스마트 TV 지역 장터를 운용하는 것이 기본 내용이다.

해운 금융 포털 사이트 구축은 해운 금융 등 부가 가치가 높은 정보 제공이 가능한 포털 사이트를 구축하여 허브(hub)로 활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해운 금융 산업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전문 사이트를 구축하여 낙후되어 있는 부산 지역의 선박, 조선 사업의 활성화를 기대하고 있다. 또 전문적인 선박 금융, 해운 거래, 운임 선물, 선급, 선박 수리 등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비즈니스 가치를 창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해운 항만 산업 중심지로서의 재도약과 부가 가치 창출을 기대하고 있다.

이외에도 인프라 영역에 속하는 유무선망 구축, 데이터 센터의 통합, 정보 시스템의 통합, 그리고 제3차 지역 정보화 기본 계획의 고도화를 위한 디지털 콘텐츠 유통 시스템 구축 등도 산업 종합 정보 시스템 구축의 주요한 내용이다. 특히 디지털 콘텐츠 유통 시스템 구축은 영화 및 영상 산업을 비롯한 문화 콘텐츠 제작 지원, 유통 시스템을 구축하여 성장 동력 산업으로 발굴 육성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변천]

1997년 12월 31일 「부산광역시 정보화 촉진 조례」[부산광역시 조례 제3414호]가 제정되었다. 1998년 9월 15일 일부 개정[부산광역시 조례 제3475호]되었다. 2000년 ‘DIGIPORT 21[정보화 기본 계획, 2000~2005년]’로 산업 종합 정보 시스템 구축 사업을 추진하였다. 2004년 3월 11일 「부산광역시 정보화 촉진 조례」가 일부 개정[부산광역시 조례 제3912호]되었다. 2004년 6월 10일 전부 개정[부산광역시 조례 제3930호]되었으며, 2005년 2월 16일 조례 제명이 「부산광역시 정보화 촉진 조례」로 변경[일부 개정, 부산광역시 조례 제3984호]되었다.

2005년 ‘U-space Busan 21 계획[정보화 기본 계획, 2005~2010년]’을 실시하여 산업 정보화를 추진하였다. 2008년 5월 7일 「부산광역시 정보화 촉진 조례」가 일부 개정[부산광역시 조례 제4267호]되었다. 2010년 3월 31일 조례 제명이 「부산광역시 정보화 촉진 조례」에서 「부산광역시 정보화 기본 조례」로 변경되고 전부 개정[부산광역시 조례 제4493호]되었다. 2011년 ‘Asian Smart Network Space Busan[Smart Busan 2015][정보화 기본 계획 2011~2015년]’을 추진하였다.

[의의와 평가]

산업 종합 정보 시스템 구축 사업은 부산광역시정보화 기본 계획의 핵심 사업 중의 하나이다. 지역 내 경제 활동에 필요한 종합적인 정보 제공과 중소기업 관련 각종 정책 수립 지원 및 무역 관련 업무 정보화 지원으로 중소기업의 경쟁력 향상 및 지역의 산업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입안된 사업이다. 산·학·연·관의 정보 공유와 지원 체계의 구축, 전략 산업 정보화를 통한 산업 균형 발전, 지역 경제를 선도하는 성장 동력 산업의 창출, 해양 조선/IT 융합 산업의 거점 역할, 동북아 상품 시장의 역할, 해양 도시로서의 기능 활성화, 문화 관광 컨벤션 산업 지원 등의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