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5252 |
---|---|
한자 | 東釜山觀光- |
영어의미역 | Dong-Busan Tourism Convention Cluster |
이칭/별칭 | 동부산권개발전략 |
분야 |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
유형 | 제도/법령과 제도 |
지역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기장군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최성일 |
[정의]
부산광역시가 동부산권 지역을 대상으로 추진하고 있는 아시아 관광·컨벤션 허브 조성 계획.
[개설]
동부산 관광 컨벤션 클러스터는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기장군 지역을 세계적 수준의 관광 자원 개발과 컨벤션 시설 확충을 통해 아시아의 관광·컨벤션 허브로 만들려는 계획이다. 동부산 관광 단지 조성, 해운대 관광 리조트, 제2 BEXCO 건립, 기장의 동남권원자력의학원, 의료용 중입자 가속기 센터 유치 등과 연계하여 하나의 클러스터를 형성하고자 하는 것으로 ‘미래 부산 발전 10대 비전’ 중의 하나이다.
[제정 경위 및 목적]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에서 기장군에 이르는 동부산권 지역에 대해 지속 가능한 친환경적인 도시 발전을 유도하고, 해양 관광 및 영상·컨벤션 중심지 구축을 통해 신성장 동력 기반을 조성하며, 나아가 아시아 최고의 첨단 의료·원자력·녹색 산업 클러스터 육성하겠다는 부산광역시의 전략으로 계획되었다.
[내용]
관광 특구로 지정되어 있고 동백섬 내 누리 마루, 요트 올림픽 동산 지구, 센텀 시티, 달맞이 동산 등 풍부한 관광 자원을 가지고 있는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에 4계절 체류형 복합 관광 리조트인 해운대 관광 리조트를 건립함으로써 관광 산업의 중심으로 육성하고자 한다. 또한 동부산 관광 단지 조성 사업으로 기장 지역에 세계적 수준의 테마파크와 사계절 관광 휴양 시설을 조성함으로써 관광 클러스트를 형성하고자 한다. 부산광역시 기장군의 원자력 의·과학원 내에 원자력 의학원, 중입자 가속기 센터, 국립 노화 연구원 등을 유치함으로써 의료 관광을 활성화시킨다는 계획이다. 그리고 확충된 BEXCO[Busan Exhibition & Convention Center, 부산 전시 컨벤션 센터]시설을 바탕으로 부산광역시의 미래 성장 산업인 전시·컨벤션 산업을 활성화하고 이를 관광 산업과 결합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1. 동부산 관광 단지[3.66㎢]: 테마파크, 운동 휴양 시설, 호텔, 콘도 등
동부산 관광 단지는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대변리·시랑리 일원의 3.66㎢[110만 평] 부지에 1조 1266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체류형 복합 관광 레저 단지를 조성하는 부산광역시의 역점 사업이다.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꿈꾸는 모든 이들을 위해 자기만의 스타성을 발견하고 체험하는 공간[The city of stars]을 개발 콘셉트로 하고 있다. 2010년 4월 수립된 마스터플랜에 따라 2011년에 4개 권역[테마파크 존, 레포츠 존, 어번레저 존, 비치 존] 중 선도 사업인 테마파크와 레포츠 존의 개발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나머지 지구의 투자 유치를 위한 전략을 모색하는 등 성공적인 관광 단지 개발의 기반이 마련되었다. 2012년에는 이미 투자자가 확정된 테마파크 존 및 레포츠 존 개발을 차질 없이 진행하고, 비치 존 및 어번레저 존의 투자자 유치를 위해 개발 전략 수립과 함께 투자자 인센티브를 개발하였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2. 해운대 관광 리조트: 84층[2동], 101층[1동] 규모, 컨벤션, 콘도미니엄 등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중 1동 1058-2번지 일원의 6만 5934㎡, 연면적 65만 6593㎡에 4계절 체류형 복합 관광 리조트인 해운대 관광 리조트 건립하는 사업이다. 이미 2006년부터 사업이 진행되고 있고, 2015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요트 올림픽 지구[9만 6142.1㎡], 동백 공원 지구[20만 9593㎡], 달맞이 동산 지구[8만 5845㎡]를 개발하여 올림픽 공원, 올림픽 기념 국민 생활관, 클럽 하우스, 전망대 등을 설치하여 관광 자원을 확충하고자 한다.
3. 제2 BEXCO 건립: 전시장[2만 ㎡], 오디토리움[4000석]
2001년 9월 13일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 1500번지 센텀 시티 내 부지 12만 4544㎡에 국비 500억 원, 시비 670억 원, 민자 430억 원 등 합계 1600억 원을 투자하여 지하 1층 지상 6층, 건축 연면적 4만 7586㎡ 규모의 최첨단 국제회의 시설인 BEXCO를 개관하였다. BEXCO의 조직과 인력은 2본부 8팀으로 총 66명이 근무 하고 있으며, 주요 시설로 컨벤션 홀과 전시장이 있다.
컨벤션 홀은 1, 2, 3층으로 최대 5,800명을 동시 수용할 수 있는 다기능 매머드급 국제회의장으로서 1, 2층에 21개의 회의실과 3층에 2,800석 규모의 대회의장이 있으며, 8개국 동시통역 시스템, 국제 화상 회의 시스템, 프리젠테이션 설비 등 첨단 장비를 완비하고 있다. 전시장은 주 전시장[2만 6445㎡]과 옥외 전시장[1만 3223㎡]이 있다. 주 전시장은 국내 단층 무주 전시장으로 공인 축구장 3배 크기에 달한다. 전시에 필요한 각종 첨단 설비가 완벽하게 갖추어져 있고 이동식 칸막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크기로 나누어 활용 할 수 있으며, 바닥 하중이 최고 5톤, 천정고가 11~22.5m에 달하여 어떠한 대형 중장비 전시도 가능하다. 전시 및 박람회, 대규모 회의, 이벤트, 스포츠 행사장으로 활용되고 있다.
2012년 6월에 제2 전시장을 완공하였다. 대지 면적 3만 6316㎡, 건축 연면적 9만 2311㎡이며, 지하 2층 지상 5층[최고 높이: 37m]에 연면적 2만 13㎡의 11개의 전시 홀이 들어서 있다. 대지 면적 1만 533㎡, 건축 연면적 2만 9317㎡에 지하 2층 지상 5층[최고 높이: 35.8m]의 규모로 4,002석을 갖춘 공연장인 오디토리움도 들어서 있다. 이와 같은 제2 BEXCO 건립으로 부산광역시의 컨벤션 산업이 더욱 발전할 것으로 보인다.
4. 원자력 의학원: 304병상, 방사선 의학 연구 센터, 방사선 비상 진료 센터 등
2010년 7월 문을 연 동남권원자력의학원과 현재 건설 중인 의료용 중입자 가속기 센터 및 수출용 신형 연구로 유치 등으로 집적된 방사선 의·과학 인프라 시설의 효율을 극대화하고자 1조 160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좌동리 일원에 2.3㎢에 달하는 방사선 의·과학 일반 산업 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동남권원자력의학원은 303 병상과 방사선 의학 연구 센터 등이 있고, 중입자 가속기 센터를 유치함으로써 의료용 가속기, 치료 센터 등을 갖추게 되었다. 여기에 방사선 의·과학 기술원과 국립 노화 연구원 등을 유치함으로써 세계 최고 수준의 방사선 의·과학 단지를 형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의료 관광을 활성화할 계획이다.
[변천]
2005년 3월 동부산 관광 단지가 지정되었으며, 2010년 3월 동부산 관광 단지 조성 공사가 착수되었다. 2010년 5월에 해운대 관광 리조트 조성 공사가 착공되었고, 2011년 12월에 토목 공사가 착공되었으며, 2012년 6월에 건축 공사가 착공되었다. 2012년 6월 BEXCO 제2 전시장을 완공하였다.
[의의와 평가]
공공이 적극 지원하고 민간이 주도하는 개발로 사업의 안전성과 성장성을 확보한 부산 지역의 개발 사업이다. 명품 복합 해양 레저 도시 조성에 기여하고 있으며 지역 특성을 반영한 관광 단지 개발 사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