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5150
한자 情-龜浦市場
영어의미역 Gupo Market with Affection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지명/시설
지역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시장1길 17[구포동 599]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정희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시장
면적 32,091.8㎡[대지 면적]|33,686.6㎡[매장 면적]|50,409㎡[건물 연면적]
전화 051-333-9033
홈페이지 정이 있는 구포 시장(http://gupomarket.co.kr)
개칭 시기/일시 1972년 - 구포장이 상설시장인 구포 시장으로 개편
개칭 시기/일시 2004년연표보기 - 구포 시장에서 정이 있는 구포 시장으로 개칭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7년 10월 5일 - 구포시장자율청소위원회 발족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1년 8월 24일 - 구포시장상인협의회 발기인 총회개최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2년 3월 30일 - 구포 장터 3·1 만세 운동 재현 및 제1회 구포 장터 축제 개최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4년 1월 15일 - 정이있는구포시장상인회 형성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6년 10월 24일 - 제1차 아케이드 공사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6년 10월 - 전국 우수 시장 박람회에서 대통령 직속 특별위원회 위원장상 수상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6년 12월 - 고객 지원 센터 설치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7 10월 25일 - 우수 시장 박람회 부산광역시 우수시장 표창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7년 11월 - 제1회 국화꽃 길 조성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8년 4월 - 봄나물 축제 개최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8년 7월 - 제2차 아케이드 공사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8년 8월 - 상인 대학 50여 명 이수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9년 2월 - 정월 대보름맞이 윷놀이 대회 개최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9년 3월 - 조형물 설치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9년 10월 - 제3차 아케이드 공사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0년 5월 - 제4차 아케이드 공사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0년 6월 - 단오맞이 민속 한마당 행사 개최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0년 7월 - 제2회 상인 대학 졸업식 개최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0년 9월 - 온누리 상품권 판매 행사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1년 1월 25일 - 문화 관광형 시장 지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1년 10월 21일 - 전통 시장 활성화 국무총리 표창장 수상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2년 1월 - 특성화 시장 육성 사업 2년차 사업 선정
최초 설립지 정이 있는 구포 시장 -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시장 1길 17[구포동 599]지도보기
현 소재지 정이 있는 구포 시장 -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시장 1길 17[구포동 599]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에 있는 전통 시장.

[건립 경위]

정이 있는 구포 시장의 기원은 조선 시대의 구포 감동장(甘同場)[3일장·8일장]이다. 낙동강 수로를 이용한 상권이 형성되어 있었으며, 제방 건설로 1932년에 현재 위치인 북구 구포동으로 옮겨졌다.

[변천]

구포장이 문헌 기록에 처음 등장한 것은 1871년에 간행된 『영남 읍지(嶺南邑誌)』이다. 1972년에 구포 시장은 상설 시장으로 변하였다. 1997년 10월 5일에 구포시장자율청소위원회가 발족하고, 2001년 8월 24일에 구포시장상인협의회 발기인 총회가 발족하였다. 2004년 구포 시장에서 정이 있는 구포 시장으로 명칭을 변경하였으며, 1월 15일에 정이있는구포시장상인회가 형성되었다. 2005년 5월 4일에 전통 시장으로 인정되었다. 2011년 1월 25일에 중소기업청과 시장경영진흥원에서 ‘문화 관광형 시장’으로 지정하였으며, 2012년 1월에 특성화 시장 육성 사업 2년차 사업에 선정되었다.

시설 개선에도 힘을 써 2006년 10월 24일에 제1차 아케이드 공사를 착공하였으며, 2006년 12월에 구조 개선 공도 사업을 통해 고객 지원 센터가 설치되었다. 2007년 11월에 제1회 국화꽃 길을 조성하였으며, 2008년 7월에 제2차 아케이드 공사를 착공하였다. 2009년 3월에 구조 개선 사업으로 조형물을 설치하였으며, 10월에 제3차 아케이드 공사를, 2010년 5월에 제4차 아케이드 공사를 착공하였다.

2008년 8월에 상인 대학 기본·심화 과정을 50여 명이 이수하였으며, 2010년 9월에 전통 시장 온누리 상품권 판매 행사를 시행하였다. 2006년 10월에 전국 우수 시장 박람회에서 대통령 직속 특별위원회 위원장상을 수상하였으며, 2007년 10월 25일에는 동 박람회에서 부산광역시 우수 시장으로 표창을 받았다. 2011년 10월 21일에 전통 시장 활성화 국무총리 표창장을 수상하였다.

정이 있는 구포 시장에서는 다양한 축제도 열린다. 2002년 3월 30일에 구포 장터 3·1 만세 운동 재현 및 제1회 구포 장터 축제가 개최되었다. 2008년 4월에 봄나물 축제를, 2009년 2월에 정월 대보름맞이 윷놀이 대회를 개최하였다. 2010년 6월에 쌈지 공원에서 단오맞이 민속 한마당 행사를 개최하였으며, 2012년 8월에 정이 있는 구포 시장 환경 콘서트를 진행하였다.

[구성]

정이 있는 구포 시장은 1층 콘크리트 건물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대지 면적은 3만 2091.8㎡, 매장 면적은 3만 3686.6㎡, 건물 연면적은 5만 409㎡이다. 2012년 기준으로 평일 이용객 수는 약 2만 5000명, 3일과 8일에 열리는 장날 이용객 수는 약 5만 명이다. 점포는 총 1,520개이며, 주요 거래 품목은 농산물, 수산물이며 공산품, 일용품, 잡화 등을 취급하고 있다. 특성화된 거리로 구성하여 야채·과일 거리, 묵자 거리[음식], 생활 잡화 거리, 약초 거리, 가축 거리, 수산물 거리가 있다. 고객 편의 시설로 공중 화장실, 고객 휴게실, 고객 안내 센터, 수유실, 어린이 놀이방 등이 있으며, 부대시설로 상인 교육장, 방송 시설이 있다.

홍보 시설로 이벤트 광장, 테마 거리, 아치, 공용 광고판, 네온 광고가 있다. 구포 장날의 가축 시장에는 소, 돼지를 제외한 가축이 거래되고 있다. 특히 개는 새벽부터 매매가 활발히 이루어지는데, 이 시간이 지나면 모습을 감추고 나머지 가축은 하루 내내 매매된다. 오전 9시부터는 곡물 시장이 서는데, 수수, 밀, 보리, 팥, 조, 콩, 메밀 등 평상시 보기 힘든 곡물을 판매한다. 이후부터 파장까지는 곡물뿐만 아니라 수산물과 온갖 생필품, 약재, 관상식물, 의류 등이 거래된다.

[현황]

2012년 12월 현재 직영 점포가 157개소, 임대 점포가 593개소, 노점이 750개소, 기타 점포가 20개소 있으며, 종사자 수는 총 2,625명이다. 이중 자영업 종사자가 1,125명, 상용 종사자가 750명, 기타[노점상 등] 종사자가 750명 있다. 정이있는구포시장상인회에는 가입 대상 670명이 모두 가입되어 있다. 정이 있는 구포 시장은 비가 오면 흙탕물 때문에 상인과 이용객들이 불편을 겪었으나 아케이드[지붕막]를 설치하고, 시장 바닥을 화강암과 빨간색 아스콘으로 단장하였다. 범죄 예방을 위한 CCTV와 음향 방송 시설을 설치하는 등 환경 개선 사업과 안전 서비스를 강화하여 고객을 유치하고 있다.

정이있는구포시장상인회에서 상인들을 대상으로 친절 서비스 교육을 실시하였다. 또한 2008년 8월부터 정이 있는 구포 시장에서 구입 금액의 2%~3%를 쿠폰으로 지급해 1,000원 단위로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는 ‘공통 쿠폰제’를 시행하고 있으며, 2011년 8월에 공영 주차장 준공식을 가지는 등 고객에게 만족과 즐거움을 주기 위한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 2012년 9월부터 매주 토요일 오후 6시에 소규모 문화 공연이 이뤄지고 있다. 2002년 이래 매년 구포 장터 축제가 개최되어 2013년 제12회 구포 장터 축제가 개최되었다.

[참고문헌]
  • 부산광역시 북구청(http://www.bsbukgu.go.kr)
  • 시장경영진흥원(http://www.sijang.or.kr)
  • 중소기업청 유마켓(http://www.umarket.or.kr)
  • 정이 있는 구포 시장(http://gupomarket.c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