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4824
한자 東國製鋼
영어공식명칭 Dongkuk Steel Mill Co., Ltd.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신번영로 76[신평동 370-97]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최성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제강업체
설립자 장경호
전화 02-317-1114
홈페이지 동국제강(www.dongkuk.co.kr)
설립 시기/일시 1954년 7월 7일연표보기 - 설립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35년 - 남선물산 설립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49년 1월 - 조선선재 창립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54년 8월 - 서울 공장에 선재 공장 준공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63년 6월 - 부산 제강소에 압연공장 준공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66년 4월연표보기 - 부산 제강소에 15톤 전기로 준공[국내 최초의 전기로]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71년 2월 - 부산 제강소에 후판 압연 공장 준공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72년 11월 - 한국강업 인수, 인천 공장 운영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74년 1월 - 부산 제강소에 제1호 연속 주조기 준공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75년 10월 - 부산 제강소에 형강 압연 공장 준공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79년 6월 - 부산 제강소에 50톤 전기로 준공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0년 9월 - 인천 공장에 제1호 연속 압연 공장 준공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2년 2월 - 부산 제강소에 제2호 연속 압연 공장 준공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3년 8월 - 부산 제강소에 제3호 제5호 연속 압연공장 준공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5년 7월 - 부산 제강소에 산소공장 준공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6년 6월 - 부산 제강소, 인천 공장 제강 설비 능력 증설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7년 4월 - 부산 제강소에 연속주조기 증설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8년 4월 9일 - 기업 공개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2년 3월 - 제26회 조세의 날 금탑 산업 훈장 서훈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8년 6월 1일 - 자산 재평가 실시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9년 8월 - 영성제강 인수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9년 12월 1일 - 무역의 날 4억 불 수출의 탑 수상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3년 3월 19일 - 상공의 날 금탑 산업 훈장 수상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0년 11월 - 국가 품질 경영 대회에서 대통령상 금상 수상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1년 12월 - 국가 품질 경영 대회 설비 관리상[대통령 표창] 수상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2년 6월 - 한국 TPM[Total Productive Mainte-nance, 전사적 설비 보전] 대상 수상
최초 설립지 대궁양행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천동
최초 설립지 남선물산 - 부산광역시 중구 광복동
주소 변경 이력 조선선재공업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 2가 207
현 소재지 동국제강 부산 공장 -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신번영로 76[신평동 370-97]지도보기
현 소재지 동국제강 -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5길 19 페럼타워

[정의]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동에 있는 철강 제조업체.

[변천]

1935년 부산광역시 중구 광복동 지역에서 남선물산이라는 회사가 설립되었다. 한 재일 교포가 남선물산 창고의 일부를 빌려 신선기(伸線機), 와이어 드로잉 머신(wire drawing machine)[꼬인 선재를 가늘게 늘리는 기계]를 설치하고 철사나 못 등을 생산하였는데 이것이 동국제강의 전신이다.

1949년 1월 조선선재를 설립하여 못을 만들어 팔기 시작하였다. 6·25 전쟁 이후 재건 사업으로 못의 수요가 급증하여 동국제강 창업 자금을 확보하였다. 1954년 7월 동국제강을 설립하였다. 1956년 6월 와이어로드(wire rod)[신선재(伸線材)]를 국내 최초로 생산하였다. 1961년 2월 철조망 공장을 신설하여 철근 생산을 개시하였다.

1963년 5월 부산광역시 남구 용호 1동 매립지 약 69만 4215㎡[21만 평]에 민간 기업 최초로 대규모 철강 공장을 건설하였다. 단순 가공 생산에서 벗어나 국내 최초로 제철, 제강, 압연의 일관 생산 체제를 갖춘 공장이었다. 1965년 3월 국내 최초로 고로[50톤/일]를 준공하였다. 1966년 10월 국내 최초로 전기로 제강 공장[15톤]을 준공하였다. 1971년 2월 15만 톤 규모의 후판(厚板)[thick plate, 두께 6㎜ 이상 열간 압연 강판] 공장을 준공하고 국내 최초로 후판을 생산하였다.

1973년 5월 국내 최초로 빌릿(billet)[형강으로 압연하기 전의 각형 단면 강재] 연속 주조기를 설치하였다. 1986년 5월 인천 제강소의 시간당 제강 생산량이 세계 최고 기록을 수립하였다. 1987년 12월 부산 제강소는 100만 톤 출하 기록을 달성하였는데, 이는 철강업계 단위 공장으로서는 최초였다. 1988년 10월 은행감독원이 선정한 그룹 매출 제계 10위에 올랐다. 1996년 3월 송원문화재단[구 대원복지재단]을 설립하였다. 1999년 8월 영성제강을 인수하여 부산 공장[부산직할시 사하구 신평동]으로 가동하였다. 1999년 12월 무역의 날 4억 불 수출의 탑을 수상하였다.

2000년 1월 부산 제강소가 철거되었다. 2001년 9월 제2 창업과 ‘포항 시대’를 선언하였다. 2003년 1월 국내 최초 연속 용접 압연기를 설치하였다. 2006년 11월 인천 북항, 포항 북항 등 3개 전용 부두를 준공하였다. 2010년 5월 당진 공장을 준공하였다. 2010년 11월 국가 품질 경영 대회에서 대통령상 금상을 수상하였다. 2011년 8월 브라질 제철소 투자 합의를 체결하고 부두를 준공하였다.

2011년 10월 국내 최초로 내진용 고성능 철근 콘크리트용 봉강 KS 규격을 제정하였다. 2011년 12월 국가 품질 경영 대회 설비 관리상[대통령 표창]을 수상하였다. 2012년 3월 부산 공장이 KS D 3515 인증[용접 구조용 압연 강재 규격]을 획득하였다. 2012년 6월 한국 TPM[Total Productive Mainte-nance, 전사적 설비 보전] 대상을 수상하였다. 2015년 1월 유니온스틸을 흡수 합병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조선용 후판, 형강, 철근콘크리트용 봉강 등을 주로 생산한다. 계열사에서는 농업 및 임업용 기계 제조업[국제 종합 기계], 방송 및 무선 통신 장비업[디케이유아이엘], 운송 관련 서비스업[디케이에스앤드], 시스템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디케이유엔씨] 등을 수행한다. 부산 공장 매각 대금의 일부를 기금으로 하는 송원문화재단에서는 장학 사업 등을 하고 있다.

[현황]

서울특별시에 본사, 인천광역시에 인천 제강소, 충청남도 당진시에 당진 공장이 있다. 경상북도 포항시에 포항 제강소와 중앙 기술 연구소가 있으며, 부산광역시에 부산 공장이 있다. 해외 사업장으로 중국에 동국제강 중국 상해 대표처, 일본에 동국코퍼레이션, 아랍에미리트에 두바이 지사, 미국에 동국인터내셔널, 브라질에 CSP[Companhia Siderúrgica do Pecém, 브라질의 발레, 포스코, 동국제강 3개사 합작사]가 있다.

임원으로 회장 1명, 고문 1명, 사장 1명, 부사장 2명, 전무 5명, 상무 5명, 이사 5명, 사외 이사 5명, 자문 1명이 있다. 최근 현황을 보면 2011년 전체 매출에서 철강이 차지하는 비율이 90.3%였고, 무역이 4.0%, 운송이 3.9%, 기계 제조가 1.8%를 차지하였다. 자본금은 2009년 3조 2000여 억 원이었으나 2010년 이후 감소하여 2012년 기준 2조 8000여억 원을 기록하였다. 매출액은 2011년에 8조 8000여억 원이었으나 2012년에는 다소 감소하여 7조 8000여억 원이었다. 영업 이익은 2011년에 2790억여 원이었지만 2012년에는 오히려 669억여 원의 손해를 기록하였다. 2012년 12월 기준 상시 종업원 수는 1,889명이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의의와 평가]

부산 지역에서 출발하여 국내 굴지의 대기업으로 성장한 철강 업체이다. 수많은 국내 최초의 기록을 가지고 있는 기업이기도 하다. 현재 부산광역시에 공장이 있고, 계열사로 부산감만컨테이너터미널이 있다. 본사는 서울특별시에 있으며, 주력 공장이 경상북도 포항시와 충청남도 당진시로 이전한 것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