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미진금속공업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4681
한자 美進金屬工業
영어공식명칭 Mijin Metal Industries, Ltd.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북구 괘법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황혜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주식회사|제조업체
설립 시기/일시 1962년연표보기 - 미진금속공업 설립
해체 시기/일시 1980년연표보기 - 법정 관리
개칭 시기/일시 1997년 1월 1일연표보기 - 미진금속공업에서 해태중공업으로 개칭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67년 4월 - 기술 지도 사업 지정 업체로 선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67년 8월 - 산업은행, 기계 공업 육성 자금 지원 업체 선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73년 9월 - 중소기업중앙회, 미국제경영봉사회의 기술 지도 대상 업체로 선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75년 3월 20일 - 상공부 장관 표창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76년 1월 - 테헤란 지사 설치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3년 - 해태그룹에 인수됨
최초 설립지 미진금속공업 - 부산광역시 북구 괘법동

[정의]

부산광역시 북구 괘법동에 있었던 금속 제품 제조업체.

[설립 목적]

미진금속공업은 주철 생산 기업으로 국내 주요 산업체에 주물 소재를 공급하고 관 이음쇠를 수출하여 국가 핵심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자 설립되었다.

[변천]

1962년 부산광역시 북구 괘법동미진금속공업을 설립하였다. 1967년 4월 정부의 지정 업체 기술 지도 사업에 선정되어 해외 시장에 나가 경쟁할 수 있도록 수출 상품의 품질 향상을 위한 연구 지도를 받을 수 있게 되었다. 1967년 8월에는 산업은행이 기계 공업 육성 자금 지원 업체 중 하나로 선정하여 운영 자금 1200만 원을 지원받았다. 1973년 9월에는 중소기업중앙회로부터 미국제경영봉사회의 기술 지도 대상 업체로 선정되었으며, 1975년 3월 20일에는 상공부 장관 표창을 받았다.

1976년 1월 미진금속공업중동 지역 진출을 위해 테헤란에 지사를 설치하였으며, 이는 쿠웨이트, 베이루트, 뉴욕에 이은 네 번째 해외 지사였다. 1977년 8월 말 기준으로 300만 달러 수출을 기록하였으나 공급 물량이 충분하지 않았다. 1978년 7월 24일 한국증권업협회는 제4차 우량 법인으로 선정된 27개사 중 주관사를 지정하였는데, 미진금속공업은 두산기계, 한양건설, 경남버스, 성운물산 등과 함께 삼보증권이 배정되었다.

그러나 1980년 외상 수출 방식으로 금융을 유용해 놓고 수출 불이행한 기업들은 제재를 받게 되었는데, 미진금속공업은 6개월간 금융 지원이 중단되는 제재를 받았다. 1981년 공업진흥청이 정부 품질 보증 KS 표시 상품 중에서 제품 불량 내용을 확인하여 행정 처분을 내렸는데, 미진금속공업은 2개 제품 불량으로 3개월간 KS 표시 정지 처분을 받았다. 당시 미진금속공업은 과도한 투자와 이란-이라크 전쟁으로 인하여 중동 수출이 어려워지자 결국 부도가 났으며, 1980년 법정 관리에 들어가게 되었다. 1982년 5월 시험 가동을 거쳐 6월부터는 본격적인 생산에 들어갔으며, 주요 생산품은 각종 주강 소재 및 구상흑연주철(球狀黑鉛鑄鐵)[주철 중의 흑연이 구상화한 것]이었다. 1983년 6월 정부가 회생 불능한 기업을 정리하면서 미진금속공업을 지원 대상 관리 기업으로 선정하였으나, 산업은행은 정상화하는 방안을 강구하였고, 결국 1983년 미진금속공업이 해태그룹에 인수되었다.

미진금속공업은 1997년 1월 1일 해태중공업으로 상호를 바꾸기로 하였다. 그러나 1997년 해태제과가 부도나면서 해태그룹이 해체 수순을 밟기 시작하였고, 해태중공업은 파산하고 SLS중공업에 다시 인수되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미진금속공업은 주로 흑심가단주철[나사식 가단주철제 관 이음쇠], 일반 주강[코너캐스팅 밸브 선박 부품], 구상흑연주철[자동차 부품, 철도 차량 부품, 일반 사업 기계 부품], 특수강, 스테인리스 주강품, 희주철[밸브, 일반 산업 기계 부품] 등을 생산하였다.

[의의와 평가]

부산 지역의 건실한 건축용 자재 제조업체 미진금속공업은 부산과 창원 지역에 공장을 두었으며, 당시 740명의 노동자가 근무하고 있었다. 1975년 기준 매출 1000대 기업 중 전국 순위 392위, 부산 순위 38위를 차지하였다. 산업화의 과정에서 정부는 다양한 정책을 활용하여 미진금속공업을 지원하였지만, 미진금속공업의 과도한 해외 투자 및 중동 전쟁 발발로 인해 정부가 기대했던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