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백산무역주식회사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4655
한자 白山貿易株式會社
영어의미역 Baeksan Trade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역사/근현대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중구 백산길 11[동광동 3가 10-2]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장지용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무역 회사|민족 기업
설립자 안희제|이유석|추한식|최준|최태욱|윤현태|안익상
설립 시기/일시 1914년 9월연표보기 - 백산상회로 설립
해체 시기/일시 1928년 1월 29일연표보기 - 해산
개칭 시기/일시 1919년 1월 14일연표보기 - 백산상회에서 백산무역으로 개칭[주식회사로 설립 인가]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19년 2월 17일 - 백산무역주식회사 발기인 총회 개최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19년 5월 28일 - 제1회 주주 총회 개최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5년 8월 15일연표보기 - 백산 기념관 준공
최초 설립지 백산상회 - 부산광역시 중구 백산길 11[동광동 3가 10-2]지도보기

[정의]

일제 강점기 부산광역시 중구 동광동에 있었던 무역업체.

[설립 목적]

백산무역주식회사는 일제 강점기 국내 독립운동 기지 역할과 독립운동 자금 공급을 위해 설립되었다.

[변천]

1914년 9월에 부산부 본정 3정목[현 부산광역시 중구 동광동 3가 10-2번지]에서 안희제(安熙濟)가 이유석(李有石)·추한식(秋翰植) 등과 합자 회사인 백산상회를 설립하였다. 1919년 1월 14일에 백산상회를 확대 개편하여 백산무역주식회사로 설립 인가를 받았다. 같은 해 2월 17일에 백산무역주식회사 발기인 총회를 개최하였으며, 그해 5월 28일에 제1회 주주 총회를 개최하였다. 1928년 1월 29일에 해산되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백산상회는 곡물·면포·해산물 등을 구매 및 위탁 판매하였으며, 백산무역주식회사는 지주들이 참여한 대규모 무역 회사로 독립운동 자금을 조달하였다. 또한 상하이[上海] 대한민국 임시정부 기관지 『독립신문』의 국내 보급 통로 역할을 하였다. 백산무역주식회사의 주주로 참여한 주요 인사들은 최준(崔浚)·최태욱(崔泰旭)·윤현태(尹顯泰)·안익상(安翊相)·정상환(鄭祥煥)·강복순(姜復淳) 등이다. 총주식 2만 주 중 안희제가 2,500주, 최준이 1,800주, 안익상이 850주, 정상환이 640주, 이우식(李祐植)이 600주, 이종화(李鍾和)가 560주, 허걸(許杰)이 550주, 정재완(鄭在涴)이 500주, 윤현태가 400주를 가지고 있었다.

[의의와 평가]

백산무역주식회사는 영남 지역 대지주의 자본이 참여하여 조직된 무역 회사로서 국내외 독립운동 자금을 지원하였다. 민족계 회사로 독립 운동의 부산 지역 기지로 활용되었다. 1995년 8월 15일에는 백산무역주식회사 자리에 백산 기념관이 준공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