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4498 |
---|---|
한자 | 海洋産業 |
영어의미역 | Marine Industry |
분야 |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수진 |
[정의]
부산광역시의 산업 중 해양 자원과 관련된 산업.
[개설]
해양 산업은 부산광역시 3단계[2009-2013] 10대 전략 산업 중 핵심 전략 산업으로 항만 물류, 해양 바이오, 수산 가공 등을 포함하는 산업이다.
[현황]
항만 물류, 해양 바이오, 수산 가공을 포함하는 부산 지역 해양 산업 사업체 수는 2009년 기준 1만 3845개이고, 2007~2009년 연평균 증가율은 –3.50%로 전국 평균인 –1.42%보다 낮다. 전국 해양 산업 사업체 수 대비 부산 지역 해양 산업 사업체 수 비율은 2008년에는 2007년에 비해 감소했으나 2009년에는 다시 반등하여 7.91%를 기록하고 있다.
부산 지역 해양 산업 종사자 수는 2009년 기준 5만 6818명이고, 2007~2009년 연평균 증가율은 –4.32%로 전국 평균인 0.11%보다 낮다. 전국 해양 산업 종사자 수 대비 부산 지역 해양 산업 종사자 수 비율은 2007년에 9.91%였으나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09년 현재 9.05%를 기록하고 있다.
부산 지역 해양 산업 매출액은 2009년 기준 7조 625억 3300만 원이고, 2007~2009년 연평균 증가율은 6.10%로 전국 평균인 8.58%보다 낮다. 전국 해양 산업 매출액 대비 부산 지역 해양 산업 매출액 비율은 2009년 현재 5.26%로 2008년에는 2007년에 비해 감소했으나 2009년에 다시 반등하였다.
[각 부문별 현황]
1. 항만 물류 산업
부산 지역 항만 물류 산업 사업체 수는 2009년 기준 1만 3588개이고, 2007~2009년 연평균 증가율은 –3.55%로 전국 평균인 –1.42%보다 낮다. 전국 항만 물류 산업 사업체 수 대비 부산 지역 항만 물류 산업 사업체 수 비율은 2008년에는 2007년에 비해 감소했으나 2009년에는 다시 반등하여 7.90%를 기록하고 있다.
부산 지역 항만 물류 산업 종사자 수는 2009년 기준 4만 6865명이고, 2007~2009년 연평균 증가율은 –4.94%로 전국 평균인 -0.41%보다 낮다. 전국 항만 물류 산업 종사자 수 대비 부산 지역 항만 물류 산업 종사자 수 비율은 2007년 10.22%에서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09년 현재 9.31%를 기록하고 있다.
부산 지역 해양 산업 매출액은 2009년 기준 4조 3262억 8500만 원이고, 2007~2009년 연평균 증가율은 1.00%로, 전국 평균인 7.91%보다 낮다. 전국 항만 물류 산업 매출액 대비 부산 지역 항만 물류 산업 매출액 비율은 2008년에는 2007년에 비해 감소했으나 2009년에는 반등하여 5.14%를 기록하고 있다.
2. 해양 바이오산업
부산 지역 해양 바이오산업 사업체 수는 2009년 기준 145개이고, 2007~2009년 연평균 증가율은 1.79%로 전국 평균인 –0.80%보다 높다. 전국 해양 바이오산업 사업체 수 대비 부산 지역 해양 바이오산업 사업체 수 비율은 2008년에는 2007년에 비해 증가했으나 2009년에는 감소하여 6.51%를 기록하고 있다.
부산 지역 해양 바이오산업 종사자 수는 2009년 기준 6,699명이다. 2007~2009년 연평균 증가율은 –0.15%로 전국 평균인 2.14%보다 낮다. 전국 해양 바이오산업 종사자 수 대비 부산 지역 해양 바이오산업 종사자 수 비율은 2008년에는 2007년에 비해 증가했으나 2009년에는 감소하여 6.68%를 기록하고 있다.
부산 지역 해양 바이오산업 매출액은 2009년 기준 2조 453억 6400만 원이고, 2007~2009년 연평균 증가율은 16.55%로 전국 평균인 10.88%보다 높다. 전국 해양 바이오산업 매출액 대비 부산 지역 해양 바이오산업 매출액은 2007년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09년 현재 4.39%를 기록하고 있다.
3. 수산 가공 산업
부산 지역은 전국 제1의 수산물 유통·보관 거점 도시로서 국제적인 수산물 유통 체계를 확보하고 있다. 국내 유일의 원양 어업 전용 부두, 국제 수산물 도매 시장, 수산물 유통·가공 단지 등 수산 인프라 보유하고 있다. 냉동 냉장 능력은 144만 M/T로 전국 대비 55%, 수출은 33만 6000M/T로 전국의 49%, 수입은 100만 9000M/T로 전국의 82%, 수산 가공품 생산은 47만 8000M/T로 전국의 25%, 원양 반입은 30만 6000M/T로 전국의 70% 차지하고 있다. 또 연근해 및 원양 어업 전진 기지로 우리나라 최대의 수산물 집산지이다. 어선은 전국의 톤수를 기준으로 하면 전국의 53.5%로 근해 어선과 원양 어선의 94%를 차지하고 있다. 또 수산 관련 기관·단체, 대학, 연구소 등 산·학·연 기초 인프라가 풍부하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부산 지역 수산 가공 산업 사업체 수는 2009년 기준 112개이고, 2007~2009년 연평균 증가율은 -4.54%로 전국 평균인 –1.05%보다 낮다. 전국 수산 가공 산업 사업체 수 대비 부산 지역 수산 가공 산업 사업체 수 비율은 2007년부터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며 2009년 현재 13.90%를 기록하고 있다.
부산 지역 수산 가공 산업 종사자 수는 2009년 기준 3,254명이며, 2007~2009년 연평균 증가율은 –3.35%로 전국의 3.04%보다 낮다. 전국 수산 가공 산업 종사자 수 대비 부산 지역 수산 가공 산업 종사자 수 비율은 2007년부터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며 2009년 현재 13.50%를 기록하고 있다.
부산 지역 수산 가공 산업 매출액은 2009년 기준 6908억 8400만 원이고, 2007~2009년 연평균 증가율은 14.63%로 전국의 10.60%보다 높다. 전국 수산 가공 산업 매출액 대비 부산 지역 수산 가공 산업 매출액 비율은 2007년부터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2009년 현재 19.84%를 기록하고 있다.
[육성 목표]
부산광역시는 항만 물류 산업 육성 추진 목표를 ‘아시아권 해운·항만·물류 비즈니스 중심지 육성’으로 설정하고, 2015년까지 매출액 4조 7000억 원[2009년 현재 4조 3,000억 원], 고용 5만 6000명[4만 7000명]을 달성할 계획이다. 해양 바이오산업 육성 추진 목표는 ‘동남 경제권의 해양 바이오 허브 조성’이며 2015년까지 매출액 5조 원[2009년 현재 2조 원], 고용 8,000명[2009년 현재 6,700명]을 달성할 계획이다. 수산 가공 산업 육성 추진 목표는 ‘21C 동북아 수산 산업 중심 도시 건설’이며, 2015년까지 매출액 1조 6000억 원[2009년 현재 7000억 원], 고용 3,900명[2009년 현재 3,300명]을 달성할 계획이다.
구체적인 시책을 보면 아래와 같다.
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설립 추진
2011년 12월 31일 공포된 「한국 해양 과학 기술원법」에 따라 국가 해양 과학 기술 연구 개발[R&D]을 강화하기 위하여 국내 유일의 해양 과학 분야 국책 연구 기관인 한국해양연구원이 개별법에 근거한 독립 법인인 한국해양과학기술원으로 확대 개편된다.
해양과학기술원은 세계적인 수준의 해양 클러스터 육성과 해양 분야 학·연 협력 강화를 위하여 한국해양대학교, 부산대학교, 부경대학교 등 부산 지역 해양 관련 국립 대학과 연구 교수 겸직 제도도 운영 할 계획이며, 2020 해양 과학 기술[MT] 로드맵을 마련하여 2012년부터 2020년까지 해양 과학 기술 연구 개발 진흥 및 해양 과학 기술원 육성에 약 3조 6000억 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정부의 혁신 도시 건설 사업에 따라 해양수산개발원, 국립해양조사원, 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 수산물안전부와 함께 2015년 말경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 해양 혁신 클러스터로 이전할 예정이다.
2. 해양 플랜트 기자재 R&D 센터 설립 추진
해양 플랜트 기자재 핵심 기술 개발과 국산화율 제고를 위한 해양 플랜트 기자재 R&D 센터가 2012년부터 2015년까지 부산광역시 강서구 미음 지구 R&D 허브 단지 에 부지 면적 1만 7000㎡ 규모로 설립된다. 조선 기자재 산업은 고부가 가치 해양 플랜트 산업으로 전환하기 위해 기술 개발과 중소 업체의 시장 진출 등 기업 지원을 위한 R&D 센터 설립이 추진된다. 또한 기자재 R&D 센터를 확대·개편하여 엔지니어링, 핵심 기술, 시험 인증, 인력 양성 등 전 분야를 아우르는 정부 출연 기관 설립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해양 수산 관련 공공 기관 이전 추진 국가 균형 발전 특별법」 제18조 규정에 의한 공공 기관 지방 이전 계획에 따라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 혁신 지구에 2015년 12월까지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등 4개 공공 기관과 9개 관련 기관이 입주 및 이전하게 된다. 이를 통해 부산 지역은 산·학·연이 연계된 세계적인 해양 과학 클러스터가 조성되어 지역 경제 발전과 함께 동북아 해양 과학 기술 R&D Hub로 육성될 계획이다.
3. 해양 바이오산업 육성 추진
2009년부터 2012년까지 해양 바이오 기업 지원을 위해 총사업비 213억 원을 투입하여 해양 바이오산업 기반 구축과 기술 역량 강화, 마케팅 활성화, 산학 연계 인력양성 등의 사업을 추진하여 영세한 중소 기업체의 매출액 증대와 신규 고용 창출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또한 해양 바이오산업 클러스터 허브 육성 기본 계획 용역[2010]과 산·학·연·관으로 구성된 기획 연구팀 등을 통해 해양 바이오 산업화[R&BD] 전담 기관인 해양 생명 산업 연구소 설립과 해양 바이오산업 단지 조성[2015 준공 계획]을 추진하고 있으며, 지역 해양 바이오 기업과 대기업 등 선도 기업의 유치를 통해 산업 역량을 집적화할 계획이다. 그 외 해양 바이오 에너지 생산 시설 구축, 해수 농축수 이용 리튬 추출 기술 개발, 해양 바이오산업 전시회 등 해양 바이오 분야의 새로운 사업 등의 발굴·육성을 통해 지역 경제 활성화와 고용 창출을 위한 정책 연구 및 사업화를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