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4493
한자 機械部品素材産業
영어의미역 Machinery Parts Materials Industry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현석

[정의]

부산광역시의 산업 중 기계 부품 소재, 자동차 부품, 조선 기자재, 원전 기자재 등의 업종과 관련된 산업.

[개설]

기계 부품 소재 산업은 부산광역시의 3단계[2009-2013년] 10대 전략 산업 중 핵심 전략 산업이다.

[현황]

부산광역시의 기계 부품 소재 산업은 동부산권과 서부산권 소재 산업 단지를 중심으로 집적되어 있다. 자동차 부품은 동부산권인 부산광역시 기장군의 성우하이텍과 S&T대우 등을 중심으로, 서부산권은 강서구르노삼성자동차를 중심으로 인근에 연관 기업체들이 분포하고 있다. 조선 기자재는 부산광역시 영도구의 한진중공업 및 밴드 업체와 강서구동화엔텍과 엔케이 등을 중심으로 분포되어 있다. 특히 서부산권은 발달된 도로망을 이용하여 경상남도의 김해, 창원 및 양산, 울산광역시와 연계되어 집적지를 형성하고 있다. 인근 울산광역시[자동차]와 경상남도[기계, 조선]와의 산업적 연계를 통해 특화된 부품 소재 공급 기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부산 지역 기계 부품 산업 사업체 수는 2009년 기준 2,351개였고, 2007~2009년 연평균 증가율은 -3.16%로 전국 평균인 –2.74% 보다 낮았다. 전국 대비 부산 지역 기계 부품 산업 사업체 수 비율은 2009년 기준 8.46%로 2008년에 비해 감소하였다. 부산 지역 기계 부품 산업 종사자 수는 2009년 7만 856명이었고, 2007~2009년 연평균 증가율은 –5.88%로 전국 평균인 -0.75% 보다 낮았다. 전국 대비 부산 지역 기계 부품 산업 종사자 비율은 2009년 기준 5.92%로 2007년부터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부산 지역 기계 부품 산업 매출액은 2009년 기준 22조 7237억 1100만 원이었고, 2007~2009년 연평균 증가율은 5.75%로 전국 평균인 6.52% 보다 낮았다. 전국 e대비 부산 지역 기계 부품 산업 매출액 비율은 2009년 기준 4.64%로 2008년에 비해 감소하였다.

부산 지역 기계 부품 산업은 부산 지역 제조업 대비 비율이 사업체 61.5%, 종사자 수 56.4%, 매출액 62.9%[22조 7237억 원]를 차지할 정도로 부산 경제의 중추 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러나 전국 기계 부품 소재 산업 대비 부산 지역 기계 부품 산업의 비율은 부문별로 다음과 같다. 사업체 수는 2009년 기준 8.5%로 2008년을 제외하고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종사자 수는 2009년 기준 5.9%로 2005년의 6.68%를 정점으로 계속 감소하였다. 출하액은 2008년까지 상승 기조를 유지해왔으나 2009년 4.6%로 전년 대비 1% 이상 감소하였다. 부산 지역 기계 부품 소재 관련 기업은 대부분 단순 가공 위주의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사업체 수나 종사자 수에 비해 매출액이 차지하는 비율이 낮아 고부가 가치 분야로의 변화가 필요하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또한 50명 미만의 사업장이 전체 기계 부품 소재 산업 사업장의 88.4%를 차지할 정도로 영세한 산업 구조이므로 향후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육성책이 필요하다. 기계 소재 분야의 경우 타 기계 부품 소재 산업에 비하여 부가 가치가 높은 분야이다. 이는 주로 자동화된 설비를 이용하는 제철업 등 1차 금속 제조업이 포함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육성 시책]

부산광역시는 부산 지역 기계 부품 산업 육성 추진 목표를 ‘21세기 기계 부품 소재산업의 중추 도시’로 설정하고 출하액을 현재의 22조 7000억 원에서 2015년에는 31조 원으로, 고용은 7만 856명에서 8만 4606명으로 증대시킬 계획을 세워 추진하고 있다.

부산광역시의 주력 산업인 기계 부품 소재 산업의 산업 구조 고도화와 기술 개발 및 지원을 전문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2008년도부터 기 구축된 기계부품소재기술지원센터, 자동차부품기술지원센터,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NANO부품생산센터, 해양레저장비개발센터, 선박용전자장비시험인증센터, 차세대열교환기센터와 구축 중인 스마트전자부품기술지원센터[2012]를 활용하여 기계 부품 소재, 자동차 부품, 조선 기자재, 원전 기자재 등 분야별로 장비 구축 및 활용, 기술 지원, 기술 인력 양성 등의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1. 기계 부품 소재

2009년 12월에 부지 조성이 완료된 기계 공업 협동화 단지[강서구 화전 일반 산업 단지 내] 입주 기업들을 위한 기계 공업 협동화 단지 공동 이용 시설 구축을 2011년 3월에 완료하였고 부산 기계 부품 소재 산업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중소기업에서 확보하기 어려운 장비를 기계부품소재기술지원센터에 도입하여 지역 기업의 인증 시험 지원 등에 적극 활용하였다. 2011년도에는 618개 업체 3,816건[설계 기술 2,379건, 신뢰성 평가 506건, 품질 인증 931건]을 지원하였고, 기업의 생산 현장 애로 기술 해결을 위해 기계 기반 부품 소재 기술 지원 18건, MEMS/NANO부품생산센터 기술 지원 19건, 차세대 열교환기 기술 지원 19건 등 56건을 지원하였다.

또한 스마트 전기 전자 부품 기술 인력 양성 사업 등을 통하여 장비 활용 교육, 시제품 생산 지원, 공정 개선 등 현장 밀착 교육을 실시하였다. 산업체와 학계, 연구기관 등과의 유기적인 협력 체계 구축과 공동 연구 개발 및 투자를 위한 협약 체결 및 협약 체결 기관과의 공동 사업 추진 등을 지원하여 9건의 협약 체결과 18건의 공동 사업을 이루어냈다. 지역 소재 기계 관련 중소 제조업체 해외 시장 개척을 지원하기 위해 무역 사절단[동남아 무역 사절단, 인도 무역 사절단]을 2회[14개사]에 걸쳐 파견하고 수출 상담회를 개최하여 5200만 달러 상당의 상담 성과를 거두었다.

2. 자동차 부품

2010년 12월에 부지 조성이 완료된 부산기장자동차부품협동화단지[기장군 장안 일반 산업 단지 내] 입주 업체의 기업 활동에 필요한 교육 시설 등 공동 이용 시설[지하 1 지상 3층 1동]을 2011년 12월 완공 하였으며, 부산광역시 강서구 지사동 자동차부품기술지원센터에서는 자동차 부품 업체들이 신상품, 시제품 개발에 필요한 시험 인증, 분석, 품질 평가 등을 지원하기 위하여 자동차 부품의 안정성 평가 기반 구축 사업을 추진하여 전자파 시험기[EMC]로 인증 시험하는 등 부품 업체에 적극적인 지원 사업을 펼치고 있다. 2011년도에는 장비 구축 7종, 장비 활용 323개사 545건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

또한 자동차 부품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평가 기반을 구축하고자 전자파 방사 시스템 등 7종의 장비를 도입하였다. 자동차 부품 생산 기업의 생산 현장 애로 기술 해결을 위해 기술 지원 등 기업 지원 서비스와 자동차 부품 생산 현장의 기술 지도 등 현장 기술 기능 인력 양성 사업도 지원하였다. 2011년도에는 22건의 기업 지원 서비스와 함께 678명에 대해 현장 기술 기능 인력 양성 교육을 실시하였다.

산업체와 학계, 연구 기관 등과의 유기적인 협력 체계 구축과 공동 연구 개발 및 투자를 위한 협약을 체결하고 공동 사업 추진을 지원했으며 협약 체결 2건과 공동 사업 추진 4건의 실적을 올렸다. 지역 소재 중소기업의 해외 판로 개척 지원을 위해 부산 국제 모터쇼를 개최[2010년 4월 29일~5월 9일]하여 9억 6600만 달러 상당의 수출 구매 상담 실적을 거두었고, 프랑크푸르트 자동차 부품 전시회[2010년 9월 14일~9월 19일]와 라스베이거스 자동차 부품 전시회[2010년 11월 2일~11월 4일] 전시회에 10개사의 참가를 지원하여 2800만 달러 상당의 수출 상담 성과를 거두었다.

3. 조선 기자재

조선 기자재 업체들의 집적화로 시너지 효과를 높이고 2009년 2월에 착공한 조선 기자재 협동화 단지 조성 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하고 조선 기자재의 수출을 지원하기 위한 26건의 선급 및 해외 인증 획득을 지원하였다. 조선 기자재 생산업체의 낙후된 현장 기술을 해소하기 위해 첨단 선박 장비 국제 공인 인증 시험 기술 지원 25건, 해양 레저 장비 기술 지원 30건 등의 기술 지원을 하였다. 삶의 질 향상에 따른 레저 산업 활성화에 힘입어 급속도로 성장하는 해양 레저 산업 육성을 위해 해양 레저 장비 산업 육성을 위한 용역 추진, 해양 레저 장비 생산 인력 양성 사업을 지원하여 472명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였다.

4. 원전 기자재

2010년 4월에 원전 산업 육성 종합 계획을 수립하였으며, 부산 지역 원전 기자재 중소업체들의 원가 절감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해 원전 기자재 산업 단지[강서구 명동 지구 내] 조성을 2015년 12월 완공 목표로 2011년 5월에 사업자를 선정하여 추진 중에 있고 원전 기자재 산업 단지 입지 선정과 SPC[Special Purpose Company, 특수 목적 법인] 설립을 이끌었다.

기업의 생산 현장 애로 기술 해결을 위해 원전 기자재 기술 지원 5건, 해외 품질 인증 획득 지원 7건 등 12건을 지원하였다. 또한 에너지 인력 양성 사업과 원자력 기자재 특성화고 인력 양성 지원 사업을 통하여 고급 연구 인력 및 현장 맞춤 자격취득 교육을 실시하였고, 이런 노력을 통해 4건의 협약 체결과 2건의 공동 사업 추진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

[추진 계획]

기계 부품 소재 산업 지원을 위한 기반 구축, 산업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장비 추가 도입, 기술 개발 및 인력 양성 지원 등의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한편 정부 정책과 연계한 미래 신성장 산업 발굴 및 국책 사업 유치, 기술 개발 지원 등의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