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그린 에너지 산업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4491
한자 -産業
영어의미역 Green Energy Industry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현석

[정의]

부산광역시의 산업 중 온실가스 감축과 관련된 혁신적 에너지 기술 산업.

[개설]

그린 에너지 산업은 부산광역시의 3단계[2009~2013] 10대 전략 산업 중 미래 전략 산업의 하나로 온실가스를 획기적으로 감축하는 혁신적인 에너지 기술인 신에너지, 재생 에너지, 친환경, 화석 연료 청정화, 효율 향상 등의 기술 분야를 포함한다.

[현황]

2009년 기준 부산 지역 그린 에너지 산업 사업체 수는 2007년의 330개에 비해 11개가 늘어난 341개를 기록하였다. 2007~2009년 부산 지역 그린 에너지 사업체 수의 연평균 증가율은 1.66%로 낮은 편이었지만 전국 평균 증가율인 0.72%보다는 높았다. 2009년 기준 전국 대비 부산 지역 그린 에너지 산업 사업체 수 비율은 6.45%로 2008년과 동일하며 2007년의 6.33%에 비해서는 0.12%가 증가하였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2009년 기준 부산 지역 그린 에너지 산업 종사자 수는 5,496명을 기록하였다. 2007~2009년 부산 지역 그린 에너지 산업 종사자 수의 연평균 증가율은 0.51%로 전국의 평균 증가율인 4.20% 보다 낮았다. 전국 대비 부산 지역 그린 에너지 산업 종사자 수 비율은 2007년 7.50%였으나, 2009년 6.97%를 기록해 감소세를 보였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부산 지역 그린 에너지 산업의 매출액은 2007년 29조 9012억 1400만 원에서 2009년 33조 8238억 4500만 원으로 증가하였다. 연평균 증가율은 16.58%로 전국의 연평균 증가율인 9.62% 보다 높았다. 전국 대비 부산 지역 그린 에너지 산업의 매출액 비율은 2007년 2.69%에서 2008년 2.58%로 감소했으나 2009년 3.18%로 반등하였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그린 에너지 산업 육성 추진 목표 및 체계]

부산광역시는 그린 에너지 산업 육성을 위한 추진 목표를 ‘에너지 부품 소재 신산업 창출 도시’로 세우고, 2015년까지 매출액 2조 7000억 원[2009년 현재 2조여 원]과 고용 5,666명[2009년 현재의 5,496명]을 달성할 계획이다.

주요 사업으로는 화전 산업 단지 수소연료전지발전소 건립 사업, 동남권 풍력 부품 테스트 베드 구축 사업, 동남권 해상 풍력 부품 실용화 개발 사업을 유치하였다. 덕산 정수장 및 부산대학교, 녹산 하수 처리장 태양광 발전 설비, 해수 온도차 냉난방 시스템 설치 등 28개소와 신망애 양로원 등 사회 복지 시설 64개소, 그린 홈[저에너지 친환경 주택] 100만 호 보급 사업으로 680가구에 신재생 에너지 보급 사업을 추진하였다. 향후 풍력 부품 테스트 베드 장비 구축, 동남권 해상 풍력 부품 실용화 개발 사업 지원, 육·해상 풍력 발전 단지 조성, 풍력 등 신재생 에너지 전문 인력 양성 사업 등도 추진할 계획이다.

에너지 인력 양성 사업은 2015년까지 총사업비 34억 9800만 원을 투입하여 고기능 고차압 밸브 설계 및 개발 전문 연구 인력 양성, 일체적 주기기 경판 설계 및 국산화 연구 인력 양성, 원전형 고효율 판형 열교환기 설계 및 개발 고급 인력 양성, 습분 분리기 국산화 설계 및 개발 연구 인력 양성, 주 증기 배관 및 유체 배관용 중대형 관재 생산 전문 기술 인력 양성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 부산광역시는 그린 에너지 관련 17개 업체를 부산시 선도 기업으로 선정하여 다양한 지원을 하고 있다.

차세대 블루오션 산업인 수질·폐기물·신재생 에너지 산업 등을 한 자리에서 살펴볼 수 있는 ‘2012 국제 환경·에너지 산업전’도 개최하였다. 에너지 절약 및 그린 에너지 산업 육성 활성화 정책의 일환으로 ‘에너지 이용 효율화를 위한 연관 산업 육성 방안’을 주제로 한 지역 에너지 개발 포럼도 2012년에 개최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