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4424 |
---|---|
한자 | 夏季-釜山誘致計劃 |
영어의미역 | Plan for Attracting the Busan Summer Olympics |
분야 |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신성범 |
[정의]
부산광역시에서 실시하고 있는 하계 올림픽 유치 관련 정책.
[개설]
하계 올림픽 부산 유치 계획은 2008년 1월 부산광역시에서 ‘부산 경제 중흥 시대’를 선언하면서 제시한 ‘미래 부산 발전 10대 비전’ 중 하나로, 부산광역시가 2020년 이후 하계 올림픽을 유치하기 위한 계획이다. 하계 올림픽은 세계인의 이목을 집중시키는 지구촌 최대의 축제로, 세계 각국의 도시들이 앞 다투어 유치를 희망하는 꿈의 스포츠 행사이다.
[필요성과 여건]
하계 올림픽 유치는 부산이라는 도시 브랜드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고, 세계 일류 도시로 도약하는 획기적인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부산은 이미 2002년 제14회 아시안 게임을 성공적으로 개최한 저력을 발판으로, 풍부한 국제 행사 유치·개최의 경험과 행사 운영 능력, 경기장 시설 등을 활용할 수 있어 올림픽 유치의 역량과 조건을 갖추고 있는 도시이다. 이에 따라 부산광역시민의 열망과 의지를 한데 모아 정부의 조기 승인을 이끌어내고, 세계 사회 체육 대회 등 국제 스포츠 교류를 통해 부산의 올림픽 유치에 대한 국제적 지지 기반을 착실히 다져 나간다는 계획을 수립하여 노력하고 있다. 한편, 계획은 강원도 평창이 2018년 동계 올림픽 개최지로 결정되어 당초 2020년 하계 올림픽에서 2024년 하계 올림픽으로 변경하여 진행되고 있다.
[유치 활동의 경과]
부산광역시의 하계 올림픽 유치 추진은 1997년부터 시작한 부산광역시의 숙원이자 시민들의 염원이다. 1997년 ‘2008 하계 올림픽대회 유치’ 신청을 시작으로, 2002년 ‘2016년 하계 올림픽 부산 유치’를 논의한 바 있다. 이후 부산광역시는 2005년 「2020년 하계 올림픽 부산 유치 추진 계획」을 수립하여 2011년 ‘2020 하계 올림픽 유치 범시민지원협의회’를 발족했으며 ‘2020 하계 올림픽 부산 유치 타당성 조사 용역’, ‘범시민 100만 명 서명’ 달성 등을 통해 시민 참여 분위기를 조성하는 등 하계 올림픽 유치를 위해 체계적으로 준비를 해왔다. 범시민지원협의회는 2007년 8월부터 서명 운동을 시작하여 2007년 말 서명자 100만 명을 넘겼고, 2008년 1월 120여 만 명의 서명을 받아둔 상태였다.
부산이 유치 선언을 한 2020년 하계 올림픽 개최지는 국제 올림픽[IOC] 총회에서 2011년 신청을 받아 2013년 결정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강원도 평창의 2018년 동계 올림픽 유치로, 2020 하계 올림픽 유치를 추진하던 부산은 유치 계획을 수정하였다. 2020 하계 올림픽 유치를 포기하는 대신 2024년이나 2028년 유치를 노리는 장기 전략을 마련하기로 했다. 이는 지금까지 한 나라에서 비슷한 시기에 동계와 하계 올림픽을 개최한 전례가 없었고, 평창이 2018년 동계 올림픽 유치에 성공한 상황에서 부산의 2020년 하계 올림픽 유치가 불가능했기 때문이다.
[향후 유치 전략]
2012년 현재, 부산광역시는 2024년 하계 올림픽 유치를 위한 ‘하계 올림픽 부산 유치 로드맵’ 작성에 나설 계획이다. ‘개최지 대륙별 안배’ 등을 감안하면 2024년 하계 올림픽의 부산 유치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하고 있다. 남아메리카에서 개최되는 2016년 브라질 리우 올림픽에 이어 2020년 올림픽은 터키의 이스탄불과 스페인의 마드리드 등 유럽 지역이 경합하고 있어 2024년 올림픽 개최지가 아시아 또는 아프리카 도시로 선정될 가능성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는 것이다.
부산광역시는 우선 국내·외 스포츠계와 정부를 설득하기 위한 새로운 부산 유치 타당성 논리를 개발할 방침이다. 특히 2016년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와 같은 종목별 세계 선수권 대회 등 대형 스포츠 이벤트를 유치해 하계 올림픽을 치러낼 잠재 능력을 있다는 것을 국내외에 알릴 계획이다. 2024년 하계 올림픽 개최지는 2017년 결정될 예정이며, 부산광역시는 치밀한 유치 논리 개발 후 2015년 정부에 유치 승인 신청을 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