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4418
한자 自轉車利用活性化對策
영어의미역 Policies for Promoting the Use of Bicycles
분야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유형 제도/법령과 제도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신성범

[정의]

부산광역시에서 시행되고 있는 교통 관련 정책.

[개설]

부산의 도시 환경은 2010년 자동차 110만대 시대를 여는 등 자동차의 급속한 증가로 교통 혼잡과 대기 오염의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었다. 이러한 도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인간 중심적이고 환경 친화적인 녹색 교통수단으로서 자전거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제정 경위 및 목적]

자전거 이용 활성화는 생활 환경의 인간화를 이루고 시민의 건강을 증진시키며 도시의 녹색 성장을 주도하기 위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할 수 있다. 또한 교통수단으로서 자전거 이용은 단거리 교통 수요를 흡수할 수 있으며, 특히 주거지와 버스·도시 철도 등 대중교통을 연계하여 대중교통 활성화를 도모하고, 승용차 운행을 억제하는 등 도시 교통 수요 관리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산광역시는 2008년 시민들의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을 위해 「자전거 이용 시설 정비 5개년 기본 계획[2009~2013]」을 수립하여, 자전거 이용 시설 기반 확충과 이용 활성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관련 기록]

관련 기록으로는 「자전거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법률 제10599호, 2011. 4. 14][현행]과 「부산광역시 자전거 이용 활성화에 관한 조례」[조례 제4278호, 2008. 7. 7][현행]가 있다.

[내용]

2008년 아파트 단지와 지하철·대형 마트 및 학교와 연계가 가능한 ‘LG 메트로 시티[아파트 단지]~경성대·부경대역[도시 철도]~메가 마트 남천점[대형 마트]’ 구간에 대해 자전거 전용 도로를 시범 사업으로 조성하였다. 2009년 72억 원을 투자해 10개소 18.56㎞, 2010년 61억 원을 투자해 9개소 17.11㎞, 2011년 92억 원을 투자해 12개소 41.3㎞의 자전거 도로를 각각 개설하였다. 국가에서 추진 중인 ‘전국 자전거 도로 네트워크 구축 사업’의 일환으로 기장에서 강서를 잇는 자전거 전용 도로의 연차적 개설을 추진하고 있다.

도시 고속 도로로 단절된 수영강의 자전거 및 운동 시설과 대규모 아파트 단지와의 연결을 위해 원동 IC 일원에 수영강 자전거 및 보행 통로를 완공해 개설했으며, 아울러 시민들이 자전거를 이용한 출·퇴근이 가능하도록 시역 내 자전거 전용 도로를 개설하는 등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자전거 이용 시설을 확충하여 부산이 자전거 타기 좋은 녹색 도시로 탈바꿈하도록 노력하고 있다.

2009년부터 자전거 대여소 및 보관대 확충과 함께 지하철역과의 환승 체계를 구축하는 등 도시 여건에 맞는 다양한 시설을 구축해 나가고 있으며, 2012년까지 대중교통 시설 및 공공 기관 주변 등에 자전거보관대 733개소[1만 1703대 보관]를 설치하였다. 또한 시민들의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위해 자전거 교실 운영, 자전거 대여소 확대, 어린이 자전거 안전 면허 시험제 운영, 공공 자전거 시범 운영 등과 함께 ‘자전거 축전’ 및 ‘다이나믹 MTB 랠리 대회’ 등 다양한 자전거 관련 행사를 개최하여 시민들에게 자전거를 이용한 여가 선용의 기회를 제공하였다.

[변천]

2007년 6월 6일 「부산광역시 자전거 이용 활성화에 관한 조례」를 제정·공포하여 시행에 들어갔으며, 2008년 7월 7일 개정[행정 기구명 변경]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의의와 평가]

부산은 배산임해의 지형 구조와 고지대·노면 요철 등으로 인한 안전사고 우려, 대중교통 수단과의 연계망 미비 등으로 자전거 전용 도로 설치가 어려운 도로 여건에 따라 출·퇴근이나 통학 등의 교통수단으로서 자전거 이용을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부산은 산·강·바다가 어우러진 천혜의 자연 경관을 지닌 지역으로 이들 자연 경관과 어우러진 자전거 인프라를 구축하면 관광 자원으로도 활용이 가능한 지역이다. 또한 대중교통과의 환승 체계 구축 등 자전거 연계망 구축으로 자전거 이용 인구 저변 확대를 도모할 수 있는 잠재적인 여건도 충분히 갖추고 있는 지역으로 평가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