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4400 |
---|---|
한자 | 家族福祉政策 |
영어의미역 | Welfare Policies for Families |
이칭/별칭 | 건강 가정 지원 사업 |
분야 |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성수 |
[정의]
부산광역시에서 시행하고 있는 건강한 가정을 위한 복지 정책.
[개설]
부산광역시는 2005년 1월 1일 시행된 「건강 가정 기본법」에 의거, 가정의 안정성 강화와 가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연도별 ‘건강 가정 시행 계획’의 수립과 함께 ① 가족 돌봄의 사회화 영역, ② 직장·가정의 양립 영역, ③ 다양한 가족에 대한 지원 영역, ④ 가족 친화적 사회 환경 조성 영역, ⑤ 새로운 가족 관계 및 문화 조성 영역, ⑥ 가족 정책 인프라 확충 영역 등 6대 영역에서 51개의 다양한 과제를 추진해왔다. 그중 대표적인 것으로는 건강 가정 지원 센터 설치·운영 사업, 한 부모 가족 보호 사업, 아이 돌봄 지원 사업을 들 수 있다.
[건강 가정 지원 센터 설치·운영 사업]
건강 가정 지원 센터는 가족 문제의 예방과 치료, 가족 기능 강화 및 행복한 가족 문화 조성, 건강 가정의 유지 등을 위한 프로그램을 시행하기 위해 2005년 5월 27일 부산광역시 건강가정지원센터를 시작으로 2006년 9월 8일 해운대구 건강가정지원센터, 2007년 4월 2일 부산진구 건강가정지원센터, 2008년 1월 29일 사하구 건강가정지원센터, 2009년 4월 30일 연제구 건강가정지원센터, 2010년 3월 31일 영도구 건강가정지원센터, 2011년 3월 9일 금정구 건강가정지원센터, 2012년 4월 9일 사상구 건강가정지원센터가 설치되는 등 모두 9개가 운영되고 있으며 가족 상담, 가족 교육, 가족 친화 문화 조성, 가족 돌봄 지원, 지역 사회 네트워크 등의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한 부모 가족 보호 사업]
한 부모 가족은 사별 또는 이혼 등으로 인해 배우자가 없는 세대주인 모 또는 부와 그에 의하여 양육되는 18세 미만[취학 시 만 22세 미만]의 자녀로 이루어진 가족을 의미한다. 이중 저소득 한 부모 가족은 사회·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지속적인 사회적 관심과 국가의 지원이 필요한 실정이다.
부산광역시에는 2011년 12월 현재, 모자 세대 1만 4302세대 3만 7188명, 부자(父子) 세대 4,804세대 1만 2673명, 조손 가정 583세대 1,331명 등, 1만 9689세대 5만 1192명의 한 부모 가족이 생활하고 있다. 이 중 생활이 어려운 한 부모 가족을 일시적으로 보호하여 생계를 지원하고 퇴소 후의 자립 기반을 조성하기 위해 모자 보호 시설 6개, 모자 일시 보호 시설 1개, 미혼 모자 시설 2개, 미혼 모자 공동생활 가정 2개 등 11개의 한 부모 가족 복지 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아울러 저소득 한 부모 가족에 대한 자녀 양육비와 교육비 지원, 만 24세 이하의 청소년 한 부모 자립 지원, 저소득 부자 가족 주거 지원, 저소득 한 부모 가족 복지 자금 대여 등의 지원 사업도 실시하고 있다.
[아이 돌봄 지원 사업]
여성가족부의 아이 돌봄 지원 사업은 아동을 양육하는 가정의 양육자가 야근·출장 등 긴급한 상황으로 아이를 돌볼 수 없을 경우에 아이 돌보미가 찾아가 개별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여 일과 가정의 양립을 지원하고, 저소득 중장년 여성에게 사회적 일자리를 제공하며, 돌보미 교육을 통해 양육 전문가도 양성하는 사업이다.
아이 돌보미 지원 사업의 지원 대상은 0세[3개월 이상]~만 12세[초등학생 이하] 아동이 있는 서비스 이용 희망 가정으로서 사업 시행 기관에 회원으로 등록하여 신청을 통해 이용할 수 있다. 부모가 올 때까지 임시 보육, 보육 시설 등·하원, 놀이 활동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연 480시간[월 40시간]을 이용할 수 있다. 비용은 시간당 5,000원[주말·심야 시간대는 시간당 6,000원]이다.
아이 돌보미 서비스의 질적 관리를 위해 이용자 가정을 대상으로 수시로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이용자 가정 및 아이 돌보미를 대상으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2011년 12월까지 부산진구 건강가정지원센터 등 11개 사업 기관에서 463명의 아이 돌보미를 양성하여 1만 1523가정에 11만 5000건의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