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생태 교육·관광 프로그램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4378
한자 生態敎育-觀光-
영어의미역 Ecology Education and Tourism Program
분야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노승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현 위치 낙동강하구에코센터 -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 1212 을숙도 문화회관 입구지도보기
시행 장소 숲 체험 학습 센터 - 어린이 대공원 내 성지곡 수원지 상단

[정의]

부산광역시에서 시행하고 있는 낙동강 하구 일대의 생태 교육과 생태 관광 자원화를 위한 정책.

[개설]

부산광역시에서는 생태계의 지속적인 유지·관리를 위해 하구 가치를 활용한 낙동강 하구의 생태 교육과 생태 관광 자원화를 추진하고, 자연을 사랑하는 마음과 생태계 등 자연환경에 대한 학습적 동기를 부여하여 환경 문제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 형성에 기여하기 위해 체험적인 생태 교육 및 안내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고 있다.

[낙동강 하구 보전 실천 계획]

2011년 3월 23일 환경부가 습지 보호 지역과 중복 지정된 생태·경관 보전 지역을 해제하고, 습지 보호 지역으로 일원화하여 합리적인 규제를 실시[환경부 고시 제2011-32호]하였다. 부산광역시는 환경부가 정한 자연환경 보전 기본 방침에 따라 ‘자연환경 보전 실천 계획’의 수립과 함께 생태계의 보고인 낙동강 일원을 보전하기 위한 ‘낙동강 하구 보전 실천 계획’을 수립하여 자연 정화 활동, 자연환경 조사, 생태계 복원, 동식물 서식지 보전과 야생 동물 보호 등의 사업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또한, 이 계획에 따른 낙동강 하구 환경 관리 기본 계획에 근거한 실천 계획을 수립하여 낙동강 하구의 건강성 회복을 위해 노력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을숙도 생태 복원 사업, 낙동강 둔치 환경 정비 사업, 낙동강 하구 에코 센터 건립 사업 등을 통해 겨울철 관광 명소가 없는 부산을 세계적인 생태 교육 및 생태 관광 명소로 육성하는 낙동강 하구 생태 관광 육성 계획을 수립 추진하고 있다. 분야별 실천 사업은 당초 생태계 보전·복원, 생태계 관리, 생태계 활용으로 나누어져 있던 것을 시설정비 등의 하드웨어적 사업[생태계 복원·활용 기반 구축]과 관리 행사·안내 프로그램 개발 등의 소프트웨어적 사업[생태계 관리·이용 활성화]으로 분류하여 관리하고 있다.

[낙동강 하구 탐조 코스 개발]

소프트웨어적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하고 있는 낙동강 하구 탐조 코스는 기존의 ‘아미산 전망대→ 낙동강 하구 에코 센터→ 을숙도 남단 탐조대→ 명지 탐조대’의 체험 코스로 진행하던 것을 향후 외곽과 연계한 탐조 코스로 ‘하구 탐방 체험장→ 도요동→ 신자도→ 하구 탐방 체험장, 낙동강 하구→ 맥도 생태 공원→ 삼락 강변 공원→ 감전 야생화 단지’까지로 개발할 계획이다.

[하드웨어적 탐조 코스 개발]

탐조 코스에 대한 하드웨어적 사업으로 을숙도 생태 복원 사업, 낙동강 하구 에코 센터 건립 사업, 아미산 전망대 보강 사업 등을 실시하였다. 을숙도 생태 복원 사업은 1,907㎡의 면적에 218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하여 파밭, 준설토 적지장 등을 담수·기수 습지, 갈대밭 등으로 복원하는 사업으로 2000년 4월 착공하여 2005년 12월 준공하였다. 낙동강 하구 에코 센터 건립 사업은 4,075㎡의 면적에 147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하여 하구 종합 관리·안내, 자료 전시, 야외 학습·연구, 생태 체험 등을 수행하는 공간을 건립하는 사업으로 2003년 1월 착공하여 2007년 6월에 준공 및 개관하였다. 아미산 전망대 보강 사업은 31㎡의 면적에 1억 5000만 원의 사업비를 투입하여 파고라 설치, 보도 정비, 펜스·의자 설치 및 조경을 진행한 사업으로 2008년 1월 공사를 마쳤다.

[생태 교육 프로그램 개발]

생태 교육 프로그램 개발·운영을 위해 현재 낙동강 하구 에코 센터→ 아미산→ 둔치→ 강서권 일원의 하구 답사[6회, 40명/회], 에코 센터→ 맥도 생태 공원의 곤충 관찰[2회, 40명/회], 에코 센터→ 맥도 생태 공원의 식물 관찰[3회 40명/회], 에코 센터→ 신호 갯벌의 갯벌 체험[3회 40명/회], 에코 센터→ 을숙도 철새 공원, 낙동강 하구 일원의 철새탐조[7회], 을숙도 철새 공원의 갈대 공예[2회 40명/회], 에코 센터의 조각 목공예[2회, 40명/회], 야생 동물 치료 센터의 야생 동물 진료 체험 교실[6회, 20명/회], 야생 동물 치료 센터의 야생 동물 생태 체험[2회, 20명/회] 등 9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후로 홍콩 습지 센터, 영국, 일본 등 외국 우수 사례 벤치마킹 및 군산, 순천 등 국내 우수 프로그램 분석을 통한 기존 프로그램의 정교화 및 추가 프로그램의 개발을 계획하고 있으며 시민, 학생, 외국인 등 고객층에 대한 차별화된 프로그램의 개발을 계획하고 있다

[숲 체험 학습 센터 운영]

도심 속에서 자라나는 어린이들에게 자연 생태계 체험을 통해 자연을 사랑하는 마음과 숲의 소중함을 일깨워 자연환경 보호 의식을 제고하는 숲 체험 학습 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초읍동 어린이 대공원 내의 성지곡 수원지 상단에 있는 숲 체험 학습 센터는 537㎡ 면적의 지상 2층 건물로 1층에는 전시실[135㎡]과 자료실[60㎡]에 숲·나무 학습 전시물[패널] 40여 점이 게시되어 있고, 2층에는 시청각 교육실[250㎡, 60석]에서 숲나무 학습 강의가 이루어진다. 매년 4~10월 7개월간 숲 체험 및 나비 생태 학습 교실이 운영되고 있으며 2008년 2만 6088명, 2009년 2만 6981명, 2010년 3만 156명, 2011년 3만 5012명 등으로 참가자들이 매년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