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신·재생 에너지 주택 보급 사업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4376
한자 新-再生-住宅普給事業
영어의미역 Project for Supplying Residences with New Regeneration Energy
이칭/별칭 태양광 주택 보급 사업
분야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노승조

[정의]

부산광역시 지역에서 시행하고 있는 정부의 신·재생 에너지 보급 정책에 따른 지원 사업.

[개설]

부산광역시는 2015년까지 세계 5대 신·재생 에너지 강국으로 도약한다는 정부의 정책에 맞추어 부산 지역의 실정에 맞는 신·재생 에너지 개발, 보급의 확대 및 절약·이용 효율화에 노력하고 있다. 그중 신·재생 에너지 주택 보급 사업은 재생 에너지인 태양광의 민간 부문 보급 확대를 위해 그린 100만 호 사업 정책에의 동참, 일반 보급 보조 사업 등을 하고 있다.

[부산의 주요 신·재생 에너지 사업]

부산광역시는 화전산단 수소연료전지발전소 건립, 동남권 풍력 부품 테스트 베드 구축 사업, 동남권 해상 풍력 부품 실용화 개발 사업 등을 유치하였다. 또 덕산 정수장 및 부산대학교, 녹산 하수 처리장 태양광 발전 설비, 해수 온도차 냉난방 시스템 설치 등 28개소와 신망애 양로원 등 사회 복지 시설 64개소, 그린 홈 100만 호 보급 사업의 680가구 등에 신·재생 에너지 보급 사업을 추진하였다. 이후 풍력 부품 테스트 베드 장비 구축, 동남권 해상 풍력 부품 실용화 개발 사업 지원, 육·해상 풍력 발전 단지 조성, 풍력 등 신·재생 에너지 전문 인력 양성 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다.

[부산의 태양광 에너지 보급]

부산의 태양광 에너지는 매년 보급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태양광의 경우 2007년 1,266toe(tonnage of oil equivalent)[발열량을 석유의 발열량으로 환산]에서 2010년 4,538toe로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태양광은 서울특별시가 가장 생산량이 앞서 가고, 광주광역시가 다음으로 생산량이 높으며, 부산광역시는 6대 광역시중 중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부산의 신·재생 에너지 주택 보급]

정부의 신·재생 에너지 주택 보급 사업이 ‘그린 홈 100만 호’ 보급 사업으로 전환된 이후 부산광역시는 매년 50가구 이상의 태양광[3㎾ 이하] 또는 태양열[20㎡ 이하], 지열[17.5㎾ 이하], 연료 전지[1㎾ 이하] 등의 신·재생 에너지 주택 보급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그린 홈 100만 호’ 보급 사업은 단독 및 공동 주택, 공기업 임대 주택, 보금자리 주택 등의 주택과 10가구 이상 그린 빌리지 사업에 설치비 일부를 지원[단, 600㎾h/월 이상 단독 주택은 제외]하는 것이 핵심이다. 부산광역시에서는 2004년 이후 이 보급 사업이 활성화되기 시작하였다.

부산의 신·재생 에너지 주택은 2006년 이전까지 25가구에 그쳤던 보급이 2007년 50가구[1억 4,810만 원 지원], 2008년 127가구[2억 5,110만 원 지원], 2009년 165가구[4억 8,640만 원 지원], 2010년 184가구[4억 7,930만 원 지원] 등으로 증가하였다. 2011년 133가구[3억 3,150만 원 지원]로 다소 감소하였지만, 2012년 390가구[5억 1,010만 원 지원]로 다시 급증하였다. 2012년에는 390가구 중 태양광 주택이 312가구[4억 560만 원 지원]에 달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