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4352 |
---|---|
한자 | -産業育成支援施策 |
영어의미역 | Basic Project for Promoting the Footware Industry |
분야 |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최진영 |
[정의]
부산광역시가 추진하고 있는 신발 산업 육성을 위한 지원 정책.
[부산 지역의 신발 산업 현황]
부산 지역은 1970년대 이후 산업화 시기에 모직물을 중심으로 한 섬유, 신발 및 봉제 등 3개 분야가 균형적으로 발달하였으나 1990년대 이후 섬유는 기본 축이던 모직물 산업이 와해되었고, 신발은 중국, 동남아 등 후발 국가와의 경쟁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봉제 역시 동남아, 중국 등으로의 설비 이전이 계속되면서 산업 규모가 축소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여전히 부산 지역에는 신발의 부자재로 사용되는 갑피용 두꺼운 경편직물, 이중 직물, 니들펀칭 부직포와 직·편물을 다양한 플라스틱 수지에 함침 및 코팅한 스웨이드 제품, 원단과 필름의 합피 제품 등을 생산하는 기능성 가공 기술을 보유한 제조업체가 밀집해 있으며, 국내 최고의 생산 기술을 보유하고 있고, 최대 생산량 및 수출액을 기록하고 있다. 전국의 신발 산업 사업체 중 45.7%에 해당하는 236개 업체가 부산 지역에 있으며, 종사자 수도 전국의 48.3%에 해당하는 6,053명에 달하고 있다.
[신발산업진흥센터 설립·운영]
개별 업체에서 추진하기 어려운 디자인·금형·시제품 개발 등을 One Stop Service로 지원하고, 고가 장비 등 인프라 시설의 공동 활용을 통한 경상비 및 원가 절감으로 가격 경쟁력과 기술 개발력을 선진국 수준으로 향상시키며, 신발 업계의 공통 애로 사항인 마케팅, 특수 기능화 생산, 해외 정보 등과 같은 경영 지원과 디자인 및 제품 개발 등을 지원하여 신발 산업을 선진국형 고부가 가치 산업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2004년 3월 3일 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에 부산경제진흥원 산하 신발산업진흥센터를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다.
신발산업진흥센터는 입주한 신발 산업체에 대해 기획, 총무, 산·학·연 협력, 위원회 운영, 내부 감사 등의 운영 지원과, 해외 시장 정보 제공, 특수·기능화 판매 지원, 홍보, 정보 시스템 지원 등의 사업 지원과, 인체 공학적 성능 평가 분석, 기술 개발, 과제 기획 및 컨설팅 등의 성능 평가 지원, 그리고 특수 기능 구조물 개발, 디자인, 제품 설계, 시제품 개발 지원, 머천다이징(merchandising) 등의 첨단 기능 개발 지원 등을 제공하고 있다.
[해외 마케팅 사업 지원]
부산광역시는 지역 신발 산업 육성을 위해 해외 전시회 참가 및 브랜드 마케팅을 통한 신상품 홍보, 세계 시장 정보 파악 및 신규 바이어 발굴 틈새시장 공략, 우수 제품 해외 시장 진출 기회 제공 등으로 해외 판로를 개척하는 해외 마케팅 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해외 마케팅 사업 지원으로는 신발 완제품 및 원부자재와 각종 신발 관련 기계류 생산·수출업체 해외 전시회 참가 기회 제공[연 2회, 20개 업체], 전시회 참가 업체 부스 임차 및 장치비와 통역비 지원, 해외 트랜드 정보 지원, 신발 시장 및 바이어 정보 동향과 트랜드 정보 책자 발간 지원, 브랜드 마케팅 지원[연 8개 업체 내외] 등을 제공하고 있다.
[신발 산업 정보화 사업]
기업 정보화를 통한 신발 산업의 경쟁력 강화 및 디지털 경영 기반 조성과 e-business를 통한 수익 창출을 위해 신발 산업 정보화를 추진하고 있다. 신발 산업 정보 포탈 시스템[초기 ‘슈넷 21(www.shoenet21.com)’ 에서 ‘신발정보지식포탈(www.shoenet21.org)’로 개편됨]을 구축하여 운영[기업 회원 140개 업체, 개인 회원 1,500여 명]하고 있으며, 신발 산업[기술, 장비, 콘텐츠, 카탈로그 등] 정보 6,000건의 DB를 구축하였다. 온라인 마케팅 서비스를 통해 해외 바이어 정보 3,000건, 국내 신발 업체 E-Mail 정보 900건 등을 제공하고 있으며, 전자 상거래 서비스를 통해 약 6,000건의 전자 카탈로그 제품 등록을 지원하였다. 4개 업종, 158개 업체에 대해 홈페이지 90개, 쇼핑몰 9개, 그룹웨어 45개, ERP 14개 등의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였으며, 10회의 정보화 교육을 실시하여 300명을 교육하였다.
[우리 브랜드 신발 명품화 사업]
우리 브랜드 신발에 대한 첨단 소재, 인체 공학적 설계, 디자인 개발 등의 지원을 통해 세계적인 고부가 가치 명품 브랜드를 육성하고, 세계 틈새시장 개척을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기 위해 우리 브랜드 신발 명품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부산 지역 자체 브랜드로서 현재 수출·내수 판매중인 브랜드를 대상으로, 기술 개발 지원 등을 통한 명품 브랜드화의 가능성과 시장성, 참여 기업의 개발 브랜드 향후 생산·판매 계획 등의 평가를 통해 매년 5종의 우리 브랜드 신발 명품 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지원 업체로 선정되면, 1개 업체당 개발 사업비의 75%를 6000만 원 한도에서 지원받게 된다. 현재 부산 지역 신발 산업 명품화 브랜드로는 트렉스타[트렉스타], 비트로[학산], 르까프[화승], 에이로[에이로], 에스알디[광성아이엔디]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