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4333
영어의미역 U-city Project
분야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최진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1년 12월 - 부산광역시 유비쿼터스 도시 계획 수립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2년 6월 25일 - 도시 혁신 분야 2012 아레떼 어워드 수상

[정의]

부산광역시가 차세대 유비쿼터스 기술을 항만, 교통, 관광·컨벤션, 시민 건강 등에 적용하여 첨단 도시화하기 위한 사업 프로젝트.

[개설]

U-city 프로젝트는 부산광역시가 추진하는 핵심 프로젝트의 하나이며 ‘U’는 ‘유비쿼터스(Ubiquitous)’에서 따온 말이다. 유비쿼터스는 라틴어에서 유래한 ‘언제, 어디에나 있다’는 뜻의 영어로 여기서는 사용자가 컴퓨터, 휴대폰 등 단말기에 구애받지 않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콘텐츠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정보 통신 환경을 의미한다.

[추진 배경]

부산은 최근 급격한 인구 고령화와 심각한 교통 정체, 생활 환경의 악화 등으로 시민의 삶의 질이 낮아지고 있으며, 부산 경제는 저성장과 기업의 역외 유출로 인해 심각한 위기를 맞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사회적으로 새로운 시스템으로의 전환이 요구되어, 경제적으로 부가 가치가 높은 창조적인 신산업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를 위한 대안으로 차세대 유비쿼터스 기술을 항만, 교통, 관광 컨벤션 등 도시의 주요 인프라에 적용시켜 지능화된 첨단 도시 관리 기능을 확충하고, 급변하는 정보 통신 기술[ICT] 환경과 시민의 다양한 서비스 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며, 시민 생활의 질 제고와 함께 도시 경쟁력을 강화하여 지속 가능한 첨단 도시로 발전시킨다는 계획이 수립되었다.

U-City 프로젝트는 최첨단 정보 통신 기술을 항만, 교통, 관광·컨벤션, 시민 건강 등에 적용하여 지역 산업 구조의 개선과 함께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고 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켜 21세기 동북아 시대 해양 수도로서의 부산광역시의 위상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추진 경과]

2005년 11월 전국 지방 자치 단체 중 최초로 ‘부산 U-City 마스터플랜’과 실행 계획을 수립하였고, 2006년부터 2011년까지 1단계 사업[8개 분야, 56개 사업]을 추진하였다. 1단계 1차 사업[2006년~2010년]에서는 교통, 관광·컨벤션, 헬스, 항만, 방재 등 5개 분야에서 서비스를 개발하였고, 2차 사업[2008년~2011년]에서는 스쿨, 관제 센터 서비스를 개발하였다. 3차 사업[2010년~2011년]에서는 환경, 엔터테인먼트의 분야별 서비스를 개발하였다. 2011년 12월에는 부산광역시 유비쿼터스 도시 계획을 수립하여 2016년까지 2단계 사업[4개 전략 목표, 3개 특화 공간, 1개 전략 사업, 31개 U-서비스]을 추진하고 있다.

[전략 목표별 추진 계획]

1. 스마트 경제 도시

‘첨단 업무 환경의 구현을 통한 창조적 도시 혁신을 추구한다’는 비전 아래, 지식 기반 정보 시설 확충을 통한 신산업 창출과 경제 활성화를 달성하는 스마트 경제 도시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기업 간 커뮤니케이션 강화를 통한 산업 단지 활성화 지원, 스마트 워크 서비스를 통한 첨단 업무 환경 구현, U-City 관련 신산업 육성과 U-Value 체계 구축 등을 통해 스마트 워크 서비스, 중소기업 물류 정보 서비스, 커뮤니티 비즈니스를 위한 마을 기업 지원 서비스, U-항만 물류 서비스 등을 제공하게 된다.

2. 스마트 생활 도시

‘일상생활의 편리함을 추구하는 스마트 생활을 구현한다’는 비전 아래, 유비쿼터스 기술을 활용한 편리하고 안락한 생활을 실현하는 스마트 생활 도시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시가지의 지능형 생활가 조성을 통한 시민 편의 증진, 교육·의료 복지 정보화 실현을 위한 U-Care 커뮤니티 구축, 상황 기반 지능형 방범 서비스를 활용한 안전한 생활 환경 조성 등을 통해 스마트 에듀피아 서비스, 복지 정보 전달 서비스, 맞춤형 시민 건강 앱 서비스, 노인 건강 지킴이 서비스 등을 제공하게 된다.

3. 스마트 문화 도시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경험 기반의 문화 관광 서비스를 구현한다’는 비전 아래, 세계와 소통하는 디지털 문화·관광 도시를 실현하기 위한 스마트 문화 도시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참관객 중심의 컨벤션 서비스를 통한 MICE 산업[Meeting[회의], Incentives[포상 관광], Convention[컨벤션], Exhibition[전시] 등] 지원, 관광 자원 정보 연계를 통한 관광객 편의 증진, 역사 문화 자원을 활용한 관광 문화 콘텐츠 확충 등을 통해 스마트 컨벤션 서비스, U-투어 가이드 서비스, 증강 현실(增强現實) 번역 서비스, 시민이 만드는 부산 이야기, U-투어 스트리트 서비스 등을 제공하게 된다.

4. 스마트 녹색 도시

‘환경 보존의 지속적인 유지를 위한 친환경 도시를 구현한다’는 비전 아래, 시민과 자연이 함께 공존할 수 있는 친환경 지능형 도시를 창조하기 위한 스마트 녹색 도시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시민 참여형 그린 생활 공감 서비스를 통한 저탄소 녹색생활 구현, 실시간 환경 오염 모니터링을 통한 Eco 산업 단지 지원, 지능형 시설물 관리 시스템을 통한 에너지 사용의 효율성 극대화 등을 통해 U-Park 서비스, 카쉐어링 서비스, 탄소 포인트 서비스, 스마트 리사이클링 서비스, 스마트 빌딩 매니저 서비스 등을 제공하게 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