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4184
한자 小劇場實踐舞臺
영어의미역 Silcheon Mudae Small Theater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지명/시설
지역 부산광역시 중구 광복로 63-2[광복동 2가 2-97]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문홍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소극장
면적 56㎡
전화 051-245-5919
개관|개장 시기/일시 1985년 1월연표보기 - 소극장 두레 마당으로 개관
이전 시기/일시 1985년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천동 862-1에서 중구 남포동 자갈치 시장 구 신천지 백화점 2층으로 이전
이전 시기/일시 1988년 12월 - 부산광역시 중구 남포동 자갈치 시장 구 신천지 백화점 2층에서 부산진구 양정동으로 이전
이전 시기/일시 1990년 3월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동에서 남구 대연동으로 이전
이전 시기/일시 1991년 - 소극장 두레 마당 폐관
이전 시기/일시 1994년 10월 -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에서 부산진구 부전동으로 이전
이전 시기/일시 2000년 7월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에서 복개 도로로 이전
이전 시기/일시 2003년 4월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 복개 도로에서 동래구 명륜동으로 이전
이전 시기/일시 2006년 2월 -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동에서 중구 광복동 이전
이전 시기/일시 2012년 6월 - 소극장 실천 무대 잠정 중단
개칭 시기/일시 1994년 11월연표보기 - 소극장 두레 마당에서 소극장 실천 무대로 개칭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6년 - 제2회 올해의 좋은 연극상 수상
최초 설립지 소극장 두레 마당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천동 862-1지도보기
주소 변경 이력 소극장 두레 마당 - 부산광역시 중구 남포동 자갈치 시장의 구 신천지 백화점 2층
주소 변경 이력 소극장 두레 마당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동
주소 변경 이력 소극장 두레 마당 -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
주소 변경 이력 소극장 실천 무대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
주소 변경 이력 소극장 실천 무대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 복개 도로
주소 변경 이력 소극장 실천 무대 -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동
주소 변경 이력 소극장 실천 무대 - 부산광역시 중구 광복동 2-97
현 소재지 소극장 실천 무대 - 부산광역시 중구 광복동 2가 2-97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중구 광복동 2가에 있는 극단 새벽의 연극 전용 소극장.

[건립 경위]

삶의 보편 가치에 천착(穿鑿)[어떤 원인이나 내용 따위를 따지고 파고들어 알려고 하거나 연구함]하고, 실천 문예 운동의 일환으로 극단 새벽의 연극적 이념을 실현시킬 전용 공간을 확보하며, 소극장 연극 운동을 활성화시키고자 1985년 1월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천동 862-1번지동명목재 합판 창고에서 소극장 두레 마당이라는 이름으로 개관하였다.

[변천]

1985년 부산광역시 중구 남포동 자갈치 시장의 구 신천지 백화점 2층으로 이전하였고, 1988년 12월 부산진구 양정동으로 이전하였다. 1990년 3월 남구 대연동으로 이전하였다가 1991년 소극장 두레 마당이 폐관되었고, 1994년 소극장 실천 무대로 개칭하여 부산진구 부전동에서 개관하였다. 2000년 7월 부전동 복개 도로로, 2003년 4월 동래구 명륜동으로, 2006년 2월 중구 광복동 2가의 현재 위치로 이전하였다.

2006년 오색 삽화 1 옴니버스 극을 기념 공연으로 극단 새벽의 전용 소극장으로 꾸준한 공연 활동을 펼쳤다. 해마다 연극 아카데미를 개설하여 단원을 확보하고, 2010년부터는 소극장연극운동협의회를 결성하여 소극장 페스티벌을 개최해 왔다. 2012년 6월 공연을 끝으로 소극장 실천 무대 운영을 잠정적으로 중단하였다.

[구성]

소극장 실천 무대는 전용 소극장과 부속 카페테리아[대기실]로 구성되어 있으며, 무대 면적은 56㎡, 객석은 고정 좌석 70석, 보조 좌석 20석이다. 조명 시스템은 콘솔 24채널에 회로 수는 24회로 48구이며, 음향 시스템이 완비되어 있다.

[현황]

2012년 6월 공연을 끝으로 하고, 대안 문화 센터 건립을 위한 대안 문화 연대 ‘민들레의 꿈’을 결성하였다. 자체 소극장을 마련하기 위해 소극장 실천 무대 운영을 잠정적으로 중단하고 극단 활동만 지속하며 대안 문화 센터 건립을 위한 활동을 시작하였다. 그 동안 「어머니 날 낳으시고」, 「새 허생 이야기」, 「어느 골짜기에 관한 논쟁」, 「홈 커밍 데이」 등의 작품이 공연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