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문화 공간 빈빈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4159
한자 文化空間彬彬
영어의미역 Cultural Space Binbin
이칭/별칭 빈빈 문화원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지명/시설
지역 부산광역시 수영구 남천서로 20[남천동 69-40]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소윤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문화 시설
전화 051-627-2063
홈페이지 문화 공간 빈빈(http://www.vinvin.co.k)
개관|개장 시기/일시 2010년 5월 21일연표보기 - 개관
최초 설립지 빈빈 아카데미 김종희 교육 연구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서면
현 소재지 문화 공간 빈빈 - 부산광역시 수영구 남천서로 20[남천동 69-40]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수영구 남천동에 있는 인문학 문화 공간.

[건립 경위]

서울 중심의 문화에 의존하지 말고, 지역 나름의 시선으로 인문 예술 장르를 제대로 공부하며, 엄숙함을 걷고 일상에 스미는 경계 없는 문화 공동체의 실천을 위하여 건립하였다. 1996년 4월에 부산진구 서면에서 빈빈 아카데미 김종희 교육 연구소를 개원하여 운영하다가 수영구 남천동에 본격적으로 문화 공간 빈빈(文化空間彬彬) 사옥을 지어, 2010년 4월에 교육 관련 콘텐츠 사업 법인으로 문화 공간 빈빈을 설립하고, 같은 해 5월에 사옥을 준공하고 개관하였다.

[변천]

2011년 9월에 사단 법인으로 변경하였고, 2015년 2월 사옥을 이전하였다.

[구성]

인문학 문화공간으로 주강의실과 음악회 및 단체 강연을 위한 열린 강의실이 있다. 문학 아카데미, 사진 아카데미, 노자 강독(老子講讀), 장자(莊子)의 예술론, 동서양 고전 원전 강독 등의 인문학 강의와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현황]

빈빈(彬彬)은 『논어(論語)』의 옹야 편에서 인용한 말로 학식과 인격이 조화를 이뤄야 진실한 교양인이 될 수 있다는 뜻이다. 문화 공간 빈빈에서는 주로 동양 고전을 중심으로 한 인문학 강의를 진행하고 있다. 2012년에는 『주역(周易)』, 노자(老子), ‘일상 속으로 스며드는 인문학 강좌’, ‘중년의 인문학’을 주제로 강연을 열었으며,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법무부에서 지원하는 ‘교정 시설 사회 복지 프로그램’, 부산광역시 교육청의 ‘평생 교육 프로그램’ 및 부산문화재단의 ‘찾아 가는 문화 예술 교육 사업’의 일환으로 ‘구술 생애사로 경험하는 인문학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대표 김종희는 지역 나름의 시선으로 인문, 예술 장르를 제대로 공부하며 엄숙함을 걷어내고 일상에 스미는 경계 없는 문화 공동체의 실천을 표방하고 있다. 문화 공간 빈빈이 갖는 다른 문화 공간과의 차이점은 차나 책, 아트 상품 등을 일체 판매하지 않고 인문학 연구와 강의에만 주력한다는 점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