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서부산시민협의회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4054
한자 西釜山市民協議會
영어의미역 Citizens Advisory Council
이칭/별칭 서시협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강서구 공항로533번길 254-1[대저2동 4143-2]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노승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시민 단체[지역 관련 협의체]
설립자 정창식
전화 051-972-2103
홈페이지 서부산시민협의회(http://www.wbnpo.net)
설립 시기/일시 2000년 6월 29일연표보기 - 설립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1년 7월 14일 - 비영리 민간단체 등록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3년 3월 15일 - 환경팀 구성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6년 2월 20일 - 서부산시민포럼 창립
최초 설립지 서부산시민협의회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2동 4143-2지도보기
현 소재지 서부산시민협의회 - 부산광역시 강서구 공항로 533번길 254-1[대저 2동 4143-2]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동에 있는 지역 시민 단체 협의체.

[개설]

서부산시민협의회는 낙동강 하구의 경쟁력 강화와 지역 내 자원의 친환경적·합리적 이용과 개발 등 지역 발전의 선진화 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실천하기 위해 운동하는 사회단체이다.

[설립 목적]

서부산시민협의회는 낙동강 삼각주와 평원 지역을 국제 도시로 발전시켜 산업과 물류, 경제 활동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게 하며, 낙동강 하구 선진 문화권을 새로운 활력이 있는 곳이 되게 함으로써 복지 사회 건설에 이바지하고, 지역 사회의 발전과 국가 발전에 일익을 담당하고자 설립되었다.

[변천]

2000년 6월 29일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 2동에서 서부산시민협의회를 창립하였다. 2001년 7월 14일 부산광역시에 비영리 민간단체로 등록하였고[제236호], 2003년 3월 15일 환경팀을 구성하여 활동에 들어갔다. 2006년 2월 20일 서부산 시민 포럼을 창립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낙동강 하구 서낙동강권 지역 환경 운동 등의 생활권 환경 운동, 사단 법인화, 연구원, 전산팀, 부산 하천 살리기, 낙동강 네트워크, 고문 변호인단 협약, 강서개발제한주민대책협의회 활동 등을 통한 시민운동의 전문화와 협치·네트워크 강화, 청소년 상담실, 법률 상담, 의정 참여단, 집단[공익] 소송, 국민 감사 청구 등을 통한 각종 대민 지원 활동과 제도 개선의 활동을 펴고 있다. 부설 기구인 서부산발전연구원에 각 분야의 전문 연구원을 두고 지역 발전 전략과 새로운 정책을 창출하고 있으며, 서부산 시민 포럼의 토론 문화를 통해 지역민과 함께 범시민적 뜻을 수렴하는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현황]

2012년 현재 대표, 연구원, 전산팀, 환경팀, 고문 변호인단 등의 조직과 16개의 회원 단체, 125명의 정회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3명이 상근하고 있으며, 예비 사회적 기업 신청[낙동강 와송 농장], 월포 행복 마을 만들기 지원 사업, 우키시마호 폭침 희생자 추모, 위령제, 국립자연사박물관 부산 유치 운동, 강서 국제 산업 물류 도시의 조속한 추진 운동[에코 델타 시티, 부산 연구 개발 특구], 토론 문화 발전을 위한 낙동강 문화 포럼[환경문화연합과 공동 추진] 등을 추진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서부산시민협의회는 부산의 외곽, 서부산 슬럼화 지역의 암담한 현실을 새로운 발전의 전기를 마련하고자 하는 미래 지향적인 사고에 기초하고 있다. 지역 사회를 위한 지역 주민 주축의 사회단체로, 지역 운동의 모범 사례로 꼽힐 만큼 활동적인 단체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