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4042
한자 釜山生命-電話
영어공식명칭 Busan Life Line
이칭/별칭 생명의 전화 부산지부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동성로 143[전포동 608-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노승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시민 단체
설립자 한남석
전화 051-804-0896|051-807-9191|1588-9191[상담]
홈페이지 부산 생명의 전화(http://www.bslifeline.or.kr)
설립 시기/일시 1978년 12월 1일연표보기 - 부산 생명의 전화 개통
이전 시기/일시 2005년 1월 13일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 608-1 신우 빌딩 508호로 이전
이전 시기/일시 2006년 2월 6일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 608-1 신우 빌딩 508호에서 신우 빌딩 410호로 이전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8년 11월 4일 - 사회 복지 상담 시설 허가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8년 4월 1일 - 한국 생명의 전화 전국위원회 사무실, 부산 센터로 이전
최초 설립지 부산 생명의 전화 - 부산광역시
주소 변경 이력 부산 생명의 전화 - 신우 빌딩 508호
주소 변경 이력 부산 생명의 전화 - 신우 빌딩 410호
현 소재지 부산 생명의 전화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동성로 143[전포동 608-1]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에 있는 사회 복지 단체.

[개설]

부산 생명의 전화는 사회 복지관의 위탁 운영, 위기 개입 상담, 자살 예방을 위한 상담 등의 활동을 통해 지역 사회 비영리 사회봉사 운동을 하는 시민 단체이다.

[설립 목적]

‘한 사람의 생명이 천하보다 귀하다’는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통해 훈련받은 자원봉사자들이 지역 사회의 필요한 곳에서 봉사할 수 있게 하여 생명 사랑의 아름다운 사회를 이루기 위해 설립되었다.

[변천]

1978년 12월 1일 국내 생명의 전화 중 두 번째로 개통하였다. 1988년 11월 4일 사회 복지 상담 시설로 허가받았고, 1998년 4월 1일 한국 생명의 전화 전국위원회 사무실을 부산 센터로 이전하였다. 2005년 1월 13일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으로 이전하였고, 2006년 2월 6일 현 위치로 이전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전화 상담·사이버 상담·위기 개입 상담·자살 예방 센터 등의 상담 사업, 시민 상담 교실·상담 봉사원 교육·집중 교육 과정·교원 직무 연수·청소년 상담 교실·계속 교육·소그룹 활동 등의 교육 활동, 격월 화보 발행과 전문 도서 발간 등의 홍보 출판 연구 사업, 국제 대회 개최, 학장 사회 복지관 위탁 운영, 선한 이웃 회원 모집 등과 관련된 활동을 펼치고 있다.

[현황]

2012년 현재 이사회와 사무국, 선한이웃회[일반 회원, 찬조 회원], 사회복지상담소[위기개입상담센터], 자살예방센터[생명존중연구회, 사이버상담실, 생명지킴이단, 자살예방위원회], 학장 사회 복지관[학장 어린이집, 재가복지봉사센터, 학장지역아동센터] 등으로 조직이 구성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생명의 전화의 교과 과정은 대중적 상담 교육의 모델이 되었으며 상담 인구의 저변을 확대하는 기반을 제공하여 생명의 전화가 창설된 이래 많은 영역에서 전화 상담을 도입하기 시작하였다. 부산 생명의 전화는 다섯 차례의 전국 대회와 아시아 태평양 전화 상담 대회[1989]를 주관하였고, 전국의 14개 센터가 연합한 전국 위원회를 맡고 있다. 학장 사회 복지관의 위탁 운영과 위기개입상담센터의 설립 등으로 전문 상담 체계를 도입하고, 사회 문제화 되고 있는 자살 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자살 예방 상담 센터를 구축하면서 민간에 의하여 주도되는 지역 사회 비영리 사회봉사 운동으로 뿌리를 내리고 있다.

[참고문헌]
  • 부산 생명의 전화(http://www.bslifeline.or.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