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전국주부교실 부산광역시지부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4035
한자 全國主婦敎室釜山廣域市支部
영어공식명칭 National Council of Homemakers' Classes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중구 대영로 235[영주동 23-3]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노승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시민 단체
설립자 김기묘
전화 051-464-2848
홈페이지 전국주부교실 부산광역시지부(http://www.nchcbusan.or.kr)
설립 시기/일시 1971년 12월 28일연표보기 - 전국주부교실 부산직할시지부로 설립
개칭 시기/일시 1995년 1월 1일연표보기 - 전국주부교실 부산직할시지부에서 전국주부교실 부산광역시지부로 개칭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5년 1월 1일 - 소비자 고발 센터 개설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0년 5월 26일 - 비영리 민간단체 등록
최초 설립지 전국주부교실 부산직할시지회 - 부산광역시 중구 영주동 23-3 제일 빌딩 9층지도보기
현 소재지 전국주부교실 부산광역시지회 - 부산광역시 중구 대영로 235[영주동 23-3]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중구 영주동에 있는 전국주부교실 소속 지부.

[개설]

전국주부교실 부산광역시지부부산광역시 여성단체협의회에 소속되어 있는 대표적인 여성 단체로 회원인 주부들이 지역 사회의 복지 향상을 위해 봉사 활동을 하는 여성 단체이다.

[설립 목적]

주부의 사회성을 개발하고 봉사 정신을 함양하여 가정과 지역 사회의 복지 향상에 기여하고 민주 시민으로서의 역할을 체득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변천]

1971년 12월 28일 전국주부교실 부산직할시지부로 영주동에서 설립되었다. 1995년 1월 1일 소비자 고발 센터를 개설하면서 전국주부교실 부산광역시지부로 변경하였고, 2000년 5월 26일 부산광역시에 비영리 민간단체로 등록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교육, 조직, 사회 환경 개선 및 환경 보전, 소비자 상담 및 보호, 영남·호남 교류, 에너지 절약, 불우 이웃 돕기, 독거노인 돕기, 양성 평등 및 소비자 경제 교육 등의 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사업의 일환으로 유치원 중·고등학교, 대학교 등록금 안정을 위한 실태 조사와 같은 연구 활동도 한 바 있으며, 농산물 원산지 표시 캠페인, 교실 개강 세탁물 관련 소비자 교육, 전국주부교실 부산 지도자 대회, 농·어촌 체험 마을 현장 견학, 어린이 안전한 먹거리 교육 홍보, 유전자 재조합 식품 바로 알기 교육 등도 단위 사업 활동으로 실시하였다.

[현황]

2012년 현재 400명의 정회원과 2,200여 명의 준회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부산광역시 16개 구·군에 16개 지회를 두고 있다. 회장 1명과 부회장 5명으로 임원단을 구성하고 있으며, 사무국에 사무국장 1명을 포함하여 4명의 인원이 근무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주부 단체로 시작하여 소비자 운동, 가정 복지, 지역 사회 봉사 등으로 활동 영역을 넓혀온 부산 지역의 대표적인 여성 단체이다. 전국주부교실중앙회 부산광역시지부는 여성들의 평생 교육 진흥을 위한 교육 사업을 비롯해서 소비자 사업, 환경 보호 사업, 에너지 절약 사업, 의식 개혁 사업, 합리적인 식생활 사업, 사회 환경 개선 사업, 청소년 보호 사업, 이웃 돕기 사업 등을 활발히 전개해 왔고, 그러한 목적에 따른 여러 가지 성과를 이루어 왔다.

부산이라는 지역 사회의 발전과 여성들의 능력 및 잠재력 개발과 사회성 개발로 사회 활동에 많은 여성들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였으며 교육, 세미나, 토론회, 캠페인, 실태 조사, 가격 비교 조사를 비롯해서 소비자 피해 구제를 위한 상담 활동을 통해 올바르고 신속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큰 기여를 하였다. 부산 지역 주부의 사회성 계발에 이바지하고 있으며, 주부로서의 역할에 충실하면서도 건전한 소비자 실천 운동 등을 유도하여 가정과 지역 사회의 복지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