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3798
한자 地下車道
영어의미역 Underground Road way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희열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65년 - 초량 제2 지하 차도 건립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66년 - 초량 제1 지하 차도 건립

[정의]

부산광역시 내 도로에 지하로 통과하는 입체 교차로.

[개설]

지하 차도는 도로의 교통 체증을 방지하기 위해 만든 입체 교차로로, 지하로 도로가 통과하는 시설이다. 고가 도로와 비슷한 기능을 하지만, 지하로 설치되어 있어 도시 미관을 해치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집중 호우나 홍수 때는 침수 피해가 발생해 도로가 통제되는 경우가 잦다.

[변천]

부산 최초의 지하 차도는 1965년에 건립된 초량 제2 지하 차도[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 1160]이며, 이듬해인 1966년 초량 제1 지하 차도가 건립되며 2개소로 늘어났고, 1990년까지 3개소의 지하 차도만 조성되었다. 1993년에는 5개소에 연장 1,550m, 1996년 7개소에 2,265m, 1997년 10개소에 3,194m, 1998년 11개소에 3,656m, 2001년 13개소에 3,736m, 2002년 15개소에 4,427m, 2003년 21개소에 5,034m, 2004년 22개소에 5,408m, 2006년 27개소에 5,688m, 2007년 28개소에 7,058m, 2008년 31개소에 7,543m, 2009년 32개소에 9,370m, 2010년 34개소에 1만 208m, 2011년에는 35개소에 1만 708m로 점차 늘어났다. 부산의 지하 차도는 1990년대 중반 이후 눈에 띄게 증가했는데, 고가 도로가 도시 미관과 안전상의 이유로 시가지에서 철거되며 지하 차도로 대체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현황]

부산의 지하 차도는 총 35개소에 1만 708m이며, 면적은 17만 3891.8㎡이다. 구별로는 동구에 초량 제1 지하 차도, 초량 제2 지하 차도, 범2 건널목 지하 차도의 3개소가 있으며, 부산진구에 개금 지하 차도, 당감 지하 차도, 범천 지하 차도의 3개소, 동래구에 내성 지하 차도, 안락 지하 차도, 우장춘 지하 차도의 3개소, 남구에 문현 지하 차도, 대남 지하 차도, 문화 지하 차도의 3개소, 북구에 구남 굴다리, 화명 5 지하 차도, 화명 2 지하 차도의 3개소, 해운대구에 우동 지하 차도, 좌동 지하 차도, 중동 지하 차도, 용천 지하 차도, 광안 대교 연결 지하 차도, 센텀 시티 지하 차도, 과정교 지하 차도의 7개소, 금정구에 구서 지하 차도 1개소, 강서구에 대상 지하 차도, 명지 지하 차도, 봉림 지하 차도의 3개소, 사상구에 주례 지하 차도, 북구 경계 지하 차도, 한일시멘트 지하 차도, 감현 2교 지하 차도, 괘법동 지하 차도, 주례우체국 뒤 지하 차도, 보훈병원 지하 차도 1, 모라~구포동 경계 지하 차도의 8개소, 기장군에 동부 지하 차도 1개소가 있다.

지하 차도가 건립된 도로는 도시 고속 도로나 국도, 자동차 전용 도로와 연결되거나 교통량이 많은 도로를 중심으로 조성되어 있다. 또한 도로의 통과로 주민의 불편을 초래하지 않기 위해서 조성되기도 한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9.04.23 단순오탈자 수정 미관을 해지지 -> 미관을 해치지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