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신 대구 부산 고속 도로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3729
한자 新大邱釜山高速道路
영어의미역 New Daegu Busan Expressway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도로와 교량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규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고속 도로
길이 82.05㎞
차선 4차선
23.4m
준공 시기/일시 2006년 2월 25일연표보기 - 개통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5년 12월 30일 - 기본 계획 고시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0년 12월 14일 - 국토해양부와 고속 도로 시설 사업 협약 체결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1년 2월 12일 - 착공
전구간 신대구 부산 고속 도로 - 대구광역시~부산광역시 사상구 삼락동
해당 지역 경유 구간 신대구 부산 고속 도로 - 부산광역시 사상구 삼락동

[정의]

대구광역시 동대구 분기점에서 부산광역시 사상구 삼락동까지 연결되는 고속 도로.

[개설]

신 대구 부산 고속 도로는 부산광역시 사상구에서 강원도 춘천시까지 연결되는 중앙 고속 도로 중 동대구 분기점에서 대동 분기점까지의 구간을 일컫는 도로명이다.

[제원]

신 대구 부산 고속 도로는 총 길이 82.05㎞, 폭 23.4m의 4차선 도로이다. 동대구 분기점과 대동 분기점 사이에는 103개소의 교량[길이 2만 3375m]과 14개소의 터널[길이 1만 884m]이 설치되어 있다. 상행선과 하행선 각각에 청도 휴게소가 있다. 대동 분기점에서 부산광역시 사상구까지 연결되는 중앙 고속 도로는 3.8㎞이다.

[건립 경위]

신 대구 부산 고속 도로명지 녹산 국가 산업 단지의 원활한 교통 소통을 돕고 부산 신항만 물동량의 효율적인 수송에 기여하고자 건립되었다. 또한 부산의 도심을 통과하는 교통량을 분산시킬 뿐 아니라 경부 고속 도로를 이용할 때보다 운행 거리 및 시간을 단축시켜 교통난을 완화시키고자 건립되었다. 1995년 12월 30일에 기본 계획이 고시되었고, 신대구부산고속도로주식회사가 설립되어 2000년 12월 14일 국토해양부와 민간 투자로 고속 도로 시설 사업 협약을 체결하였다. 2001년 2월 12일에 고속 도로 건설 공사가 시작되어, 2006년 2월 25일 개통되었다.

[현황]

신 대구 부산 고속 도로는 대구광역시에서 청도, 밀양, 삼랑진을 통과해 부산광역시 강서구와 북구로 연결된다. 소유권은 국가가 갖지만 국내 건설 회사들이 투자한 자본으로 설립된 신대구부산고속도로주식회사에서 2006년 2월 12일부터 2036년 2월 11일까지 30년 간 동대구 분기점에서 대동 분기점까지의 총 길이 82.5㎞ 구간을 관리·운영하는 권한을 보장받았다.

부산, 특히 낙동강 유역의 하류와 대구를 연결함으로써 구포, 명지, 김해, 부산 신항만 등 서부산 지역의 원활한 교통 소통과 물동량 이동을 돕는다. 부산광역시 내 구간은 신 대구 부산 고속 도로에서 부산광역시로 연결되는 중앙 고속 도로 구간으로, 대저 분기점김해 공항 나들목, 삼락 나들목이 있다. 대저 분기점남해 고속 도로, 낙동북로, 공항로와 연결되며, 김해 공항 나들목공항로와 연결된다. 삼락 나들목관문 대로, 강변대로와 연결되고 시점은 관문 대로로 직결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