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3395
한자 烽臺山
영어의미역 Bongdaesan Mountain
이칭/별칭 간비오산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성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높이 148m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76년 10월 1일 - 간비오산 봉수대 재축조
전구간 봉대산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지도보기
해당 지역 소재지 봉대산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에 있는 산.

[명칭 유래]

봉대산(烽臺山)은 조선 시대의 봉수대가 자리 잡고 있어 붙은 이름이다. 『경상도 지리지(慶尙道地理志)』[1425]는 간비오산(干飛烏山)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봉수대가 있었다고 적혀 있다.

[자연 환경]

봉대산해운대 주산인 장산(萇山)[634m]에서 남쪽으로 뻗어 있는 봉우리로 산정이 둥글고 산기슭이 완만한 노년 산지이다. 낮은 산으로 풍광이 빼어나지는 않지만 산정이 완만하여 오르기 좋다. 소나무 사이사이로 청솔모와 까치가 보이며, 동백나무를 닮은 사스레피나무와 물앵두나무가 자생하고 있다.

봉대산 남쪽 무덤골에는 운촌천(雲村川)이 발원하여 운촌 마을 동쪽을 지나 해운포(海雲浦)로 흘러든다. 봉대산 북쪽으로는 부산에서 두 번째로 높은 장산과 산맥이 이어져 있고 그 뒤로 구곡산(九曲山), 감딤산이 산맥을 이루고 있다. 서쪽에서 흐르는 수영강이 해운대 해안으로 유입되며, 황령산(荒嶺山)금련산(金蓮山) 봉우리가 우뚝 솟아 있다. 남쪽으로는 해운대 앞바다가 펼쳐져 있다.

[현황]

봉대산에는 간비오산 봉수대가 자리 잡고 있다. 간비오산 봉수대는 고려 말부터 1894년(고종 31)까지 약 700여 년간 해운포 일대에 침입한 왜적을 감시하는 역할을 하였다. 봉수대는 훼손되어 원형을 확인하기 어려웠으나 1976년 10월 1일 새로 축조되었다. 봉대산의 남쪽으로는 옛날 동래에서 해운대로 오는 국도가 통과하며, 기슭에 해운대관광고등학교해운대여자고등학교가 자리하고 있다. 남쪽으로는 해운대 해수욕장광안리 해수욕장이 있고, 광안 대교가 바라보인다.

[참고문헌]
  • 『부산 지명 총람』3(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1997)
  • 『부산의 자연 마을』3-해운대구·기장군(Ⅰ) 기장읍(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08)
  • 『한국 지명 유래집』-경상편(국토지리정보원, 2011)
  • 부산광역시 문화 관광(http://tour.busan.go.kr)
  • 부산광역시청(http://www.busan.go.kr)
  • 지역 정보 포털(http://www.oneclick.or.kr)
  • 해운대 문화 관광(http://tour.haeundae.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