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3309
한자 嚴光山
영어의미역 Eumgwangsan Mountain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신해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높이 503.9m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5년 - 고원견산이 엄광산으로 명칭 변경
전구간 엄광산 - 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동지도보기
해당 지역 소재지 엄광산 - 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동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동 북쪽에 있는 산.

[명칭 유래]

『동래부지(東來府誌)』[1740] 산천 조에 의하면, ‘엄광산은 부(府) 남방 30리에 있으며 위에 구봉이 있고 아래에 두모진이 있다’라고 기록하고 있어, 산 이름을 확인할 수 있다. 엄광산의 명칭 유래는 전하지 않는다. 일제 강점기에는 산 정상에서 대한 해협을 지나 멀리 일본의 쓰시마 섬까지 바라볼 수 있다고 하여 고원견산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1995년 일제 강점기의 잔재인 고원견산이라는 지명은 우리 지명찾기 사업으로 다시 엄광산이 되었다.

[자연 환경]

엄광산금정산맥의 말단부 능선 상에 솟아 있는 산이다. 남서쪽으로 구덕산승학산이 있고, 남동쪽으로는 구봉산으로 연결된다. 안산암질의 암석으로 구성되어 산정이 대체로 평탄하며, 산정 부근에는 잔자갈들로 된 애추[절벽에서 돌이 낙하하며 절벽 아래에 쌓여 있는 지형으로 너덜 지대라고도 함]가 발달하고 산록은 비교적 경사가 급하다.

[현황]

해발 고도 503.9m의 엄광산은 부산광역시 서구와 부산진구 그리고 동구의 경계를 이루고 있는 산이다. 엄광산 주변에는 동의대학교, 인제대학교, 동서대학교, 경남정보대학이 자리하고 있으며, 정상에서 바라본 부산항의 전망이 좋기로 이름나 있다. 또한 산림이 울창하여 자연 공원으로서 부산 시민의 사랑을 받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