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3168 |
---|---|
한자 | 雙- |
영어의미역 | Ssangdarijae Pass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유형 | 지명/자연 지명 |
지역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만화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성환 |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만화리에 있는 고개.
[명칭 유래]
쌍다리재라는 명칭은 쌍다리 마을에서 유래되었다. 쌍다리 마을은 본래 안평 마을 북쪽으로 위쪽 상달(上達)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붙은 이름인데, 상달 마을이 상달이 마을로, 이후 쌍다리로 바뀌었다.
[자연 환경]
쌍다리재는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에서 반송, 철마 방면으로 빠지는 고개로, 철마면 안평리 쌍교 마을[일명 쌍다리 마을]에 있는 쌍다리 못[안평 저수지]과 기장읍 만화리 동서 마을을 잇는다. 『기장읍지(機張邑誌)』[18세기로 추정]에 고촌천(古村川)의 발원지 중 하나로 기록되어 있기도 하다. 고개는 산성산(山城山)[368.2m]에서 북쪽으로 뻗은 산등성이의 낮은 곳에 있으며, 고개 주변으로는 억새 군락과 해송, 벚나무, 도토리나무 등이 무성하게 자라고 있다.
남서쪽으로 감딤산, 구곡산(九曲山)을 비롯해, 해운대의 주산인 장산(萇山)이 우뚝 솟아 있으며 북쪽으로 저 멀리 달음산(達陰山), 천마산(天馬山), 함박산(含朴山)이 이어져 병풍처럼 ‘한 일’(一) 자로 펼쳐져 있다. 왼쪽 옆으로는 거문산(巨文山), 철마산(鐵馬山)이 보이며 그 뒤로 멀리 백운산(白雲山) 봉우리가 눈에 들어온다. 동쪽으로는 기장군청 및 기장 시내가 한눈에 들어오며 그 너머로 기장 앞바다가 광활하게 펼쳐져 있다.
[현황]
기장에서 반송으로 넘어가다 안평 저수지 못 미쳐 있는 국도 제14호선에 쌍다리재가 있는데, 달맞이 고개와 함께 기장에서 부산 도심으로 빠지는 주요 길목이다. 달맞이 고개[송정재]와 쌍다리재는 모두 부산에서 울산으로 연결되는 교통의 요지였다. 쌍다리재는 몇 년 전만 하더라도 왕복 2차선으로 옛길을 따라 도로가 포장되어 있어 꼬불꼬불한 고갯길 맛을 느낄 수 있었다. 지금은 산을 절개하여 왕복 4차선 도로로 확장되어 기장과 동래를 연결하는 주요 통로로 이용되고 있다. 옛 고개의 풍치를 느낄 만한 모습은 거의 사라지고 없으며, 그 형태만을 유추할 수 있을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