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3050 |
---|---|
한자 | 海洋調査年譜 |
영어의미역 | Bulletin for Ocean Study |
분야 | 역사/근현대,문화유산/기록 유산 |
유형 | 문헌/전적 |
지역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기장해안로 216[시랑리 408-1]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
집필자 | 박재혁 |
[정의]
국립수산과학원에서 소장하고 있는, 근현대 한반도 주변 해양 환경을 관측한 결과를 편찬한 기록물.
[개설]
해양조사연보는 일제 강점기 조선총독부 수산시험장에서 1928년부터 1942년까지 총 9호를 『해양 조사 요보(海洋調査要譜)』로 발간하였고, 해방 후인 1954년부터 현재까지 국립수산과학원(國立水産科學院)에서 해양조사연보로 발간하고 있으며, 1968년부터는 정기적인 연간물(年刊物)로 발간하고 있다. 이 중 1928년~1942년까지 발간한 『해양 조사 요보』 9권과 1954년~1967년까지 발간한 해양조사연보 15권 등 모두 24권을 2013년 8월 27일 국가등록문화재 제554호로 지정하였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국가등록문화재로 재지정하였다.
[편찬/간행 경위]
1921년 조선총독부 수산시험장이 설립된 직후부터 1967년까지 한반도 주변 해양의 수온, 염분, 기상 요소 등에 대한 조사를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그 결과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발간하였다.
[형태/서지]
크기는 세로 25.4㎝, 가로 18.0㎝의 4·6배판이다.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기장해안로 국립수산과학원에 소장되어 있다.
[구성/내용]
대표적으로 1966년 15호의 구성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편 연안 정지 해양 관측 성적에 연안 정지 해양 관측점 위치도, 연안 정지 해양 관측점 위치표, 연안 정지 월병 표면 수온이 기재되어 있다. 제2편 C.S.K. 횡단정선 해양 관측 성적[수온, 염분, 산소, 인산염, 질산염, 규산염, pH]에는 횡단정선 해양 관측점 위치도, 횡단정선 해양 관측점 위치표[동해 해양 조사 성적, 남해 해양 조사 성적, 서해 해양 조사 성적]로 되어 있고, 제3편 횡단정선 해양 관측 성적에는 부유 생물의 채집 및 조사 방법으로 동해, 남해, 서해 부분이 들어 있다. 마지막 5편에는 특별 해양 관측 성적으로 남해 해양 조사 성적과 남서해 해양 조사 성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1920년대부터 현재까지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한반도 주변 해양 환경을 관측한 결과를 편찬한 것으로 학술적 가치가 매우 큰 기록물이다. 해양조사연보가 해양 수산 과학 분야 최초로 문화재로 등록된 것은 과학기술발전사에서 중요한 발전단계나 성과를 보여주는 등 풍랑의 역사 속에서도 1921년부터 현재까지 92년 동안 우리나라의 해양 환경을 관측한 결과를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담고 있다는 점에서 학술적 가치를 높이 인정받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