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배동준 사진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3033
한자 裵東準寫眞展
영어의미역 Bae Dongjun Photo Exhibition
이칭/별칭 배동준 개인전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행사/행사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미정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행사시기/일시 2012년 6월 16일~9월 2일
전화 051-744-3924
시작 시기/일시 1970년 11월 16일연표보기 - 제1회 개최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3년 11월 1일~11월 30일 - 제2회 개최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4년 11월 16일~11월 30일 - 제3회 개최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9년 7월 19일~ 7월 23일 - 제4회 개최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2년 6월 16일~9월 2일 - 제5회 개최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35년연표보기 - 배동준 출생
행사 장소 보리수 다방 - 부산광역시 중구 광복동지도보기
행사 장소 파인 힐 갤러리 - 서울특별시
행사 장소 부산 아트 갤러리 액트 - 부산광역시
행사 장소 부일 갤러리 - 부산광역시
행사 장소 고은 컨템포러리 사진 미술관[구 고은 사진 미술관 본관]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해운대로 452번길 16[우동 1005-17]지도보기

[정의]

부산 지역의 대표적인 사진작가인 배동준의 사진전.

[개설]

배동준(裵東準)[1935~]은 1958년 10월 27일 한국사진작가협회 주최 제10회 공모전에 「호기심(好奇心)」으로 입선하면서 사진계에 데뷔하였다. 1969년 5월 23일 부산의 청사회에 입회하고 1970년 1월 20일 한국사진작가협회에 입회하여 국내외 살롱전과 각종 공모전에서 활발한 활동을 하던 중 1970년 11월 16일 중구 광복동 보리수 다방에서 첫 개인전을 가지며 사진작가로서의 본격적인 행보를 알렸다.

미술 교사이자 대한민국사진전람회 심사 위원과 한국사진작가협회 자문 위원으로 활동하면서 사진 후학 양성에도 힘을 쏟았다. 2011년에는 고은 사진 미술관의 기획전 ‘부산 사진의 재발견’에 참여하였다. 국민 훈장 동백장[1999]과 제12회 부산 사진 문화상[2011], 제49회 한국 사진 문화상[2011]을 수상하였다. 배동준은 부산 사진 1세대인 정인성(鄭寅星)[1911~1996]의 사진적 태도를 이어받은 후기 리얼리즘 사진의 계보에 속한다.

[연원 및 개최 경위]

배동준은 1970년 11월 16일 중구 광복동 보리수 다방에서 첫 개인전을 가졌다. 총 42점의 흑백 사진은 역동적인 삶의 현장과 사람들의 모습을 포착한 것들로 하나의 시리즈라고 하기엔 다양한 스타일이 혼재되어 있다. 이는 아직 배동준만의 사진 스타일이 만들어지기 전이었음을 보여 준다. 배동준은 자신의 작업을 정리하고 발표하는 자리를 마련하고자 개인전을 열었으며, 이후 부산과 서울의 갤러리 초청을 받는 계기로 이어졌다.

[행사 내용]

배동준은 총 다섯 번의 전시회를 열었다. 제2회는 1983년 11월 1일~11월 30일까지 ‘주변인 시대’라는 주제로 서울 파인힐(Pine Hil)l 갤러리에서, 제3회는 1984년 11월 16일~11월 30일 부산 아트 갤러리 액트 초대전으로, 제4회는 1999년 7월 10일~7월 23일 ‘풍경’이라는 주제로 부일 갤러리에서 45점을 전시하였다.

[현황]

제5회는 2012년 6월 16일~9월 2일까지 ‘배동준, 근대적 풍경의 탐구’라는 주제로 고은 사진 미술관 기획전에서 59점을 전시하였다. 이는 고은 사진 미술관에서 부산 사진의 재발견 연계 기획전 두 번째 작가로 배동준이 선정됨에 따라 개최된 전시회였다. 여기에서 고은 사진 미술관은 부산 사진 2세대인 배동준의 작품 세계를 깊이 있게 조명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