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부산항」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2946
한자 釜山港
영어의미역 Busan Harbor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작품/미술과 공예
지역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에이펙로 58[우동 1413]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상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풍경화
양식 사실주의
작가 김영교
재질 캔버스에 유채
소유자 부산 시립 미술관
관리자 부산 시립 미술관
작가 생년 시기/일시 1916년 2월 12일연표보기 - 김영교 출생
작가 몰년 시기/일시 1997년연표보기 - 김영교 사망
창작 시기/일시 1960년연표보기 - 김영교 「부산항」 발표
소장처 부산 시립 미술관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에이펙로 58[우동 1413]지도보기

[정의]

부산 지역에서 활동했던 화가 김영교의 풍경화.

[개설]

김영교(金令敎)는 대구광역시 출신으로, 일본 유학 이후 부산에 정착하여 부산 현대 미술 1세대 작가로 분류된다. 김수석, 오용귀 등의 스승으로 후일 이들이 일선(一線) 동인으로 활동하는 데 많은 도움을 주었다. 김영교의 화풍은 후기 인상파의 전형적 양식인 세부적인 묘사보다는 대상을 단순화하고 경쾌하면서도 견고한 필치를 구사하고 있다. 「부산항」 역시 김영교의 전형적인 양식이 잘 드러난 수작 가운데 하나다.

[형태]

캔버스에 유채화로 그렸으며, 크기는 45×38㎝이다.

[내용]

「부산항」은 부산 남항의 모습을 원거리에서 본 실경 풍경화다.

[특징]

원근법에 대한 의식적 탈피가 뚜렷하며, 대상으로서의 풍경보다 화면을 구성하는 색면과 짧은 선의 조합에 더 관심을 보이는 특징이 나타난다. 여기서 당시 전면 회화가 강세를 보이던 미술계와 사회적 리얼리즘과 연관된 풍경이지만 그 자세에서 감성적 접근으로부터 분석적인 인식으로의 이행을 보여 주는 특징 있는 작품이다.

[의의와 평가]

「부산항」은 1960년 당시 부산 미술 1세대로서 현대 미술 발전의 전반기 한 양식적 일면을 잘 보여 주는 작품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