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김수석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2935
한자 金守錫
영어음역 Gim Sooseuk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예술인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상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화가
성별
대표경력 부산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과 교수
출생 시기/일시 1933년연표보기 -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70~1980년 - 부산 미술 대전 심사 위원 및 초대 작가
활동 시기/일시 1976년 - 제1회 판화 개인전 개최
활동 시기/일시 1977년 - 제2회 판화 개인전 개최
활동 시기/일시 1979년 - 제3회 판화 개인전 개최
활동 시기/일시 1982년 - 제4회 판화 개인전 개최
활동 시기/일시 1983~1996년 - 부산시 산업 디자인전 초대 작가 및 운영 위원 역임
활동 시기/일시 1985년 - 눌원 문화상 수상
활동 시기/일시 1985년 - 김수석·하인츠 사칭거 판화 2인전
활동 시기/일시 1986년 - 제6회 판화 개인전
활동 시기/일시 1986년 - 한국색채교육학회 창립, 부회장에 선임
활동 시기/일시 1987년 - 제7회 판화 개인전 개최
활동 시기/일시 1992년 - 제8회 판화 개인전 개최
활동 시기/일시 1999년 - 부산광역시 문화상[전시 예술 부문] 수상
활동 시기/일시 2002년 - 아시아경기대회 디자인전문위원회 위원장 역임
몰년 시기/일시 2008년연표보기 - 사망
출생지 김수석 출생지 - 부산광역시
학교|수학지 부산고등학교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로 40번길 23[초량동 806-177]지도보기
학교|수학지 서울대학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신림동 산56-1]
활동지 숙명여자대학교 - 서울특별시 용산구 청파로 47길 100[청파동 2가 53-12]
활동지 부산대학교 -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산 대학로 63번길 2[장전동 40]지도보기
묘소 실로암 공원묘지 -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사등길 181[고촌리 356]지도보기

[정의]

부산 지역 출신의 화가이자 교수, 디자이너, 저술가.

[활동 사항]

김수석(金守錫)은 1933년 부산에서 태어났다. 부산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응용미술과[시각디자인 전공]를 졸업하였다. 숙명여자대학교에 재직하다가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미술교육과 교수로 이직하였다. 1966년부터 대한민국 산업 디자인전 초대 작가를 지냈다. 1970년부터 1980년까지 부산 미술 대전 초대 작가 및 심사 위원, 1983년부터 1996년까지 부산시 산업 디자인전 초대 작가 및 운영 위원을 역임하였다.

1976~1979년, 1982년, 1986년, 1987년, 1992년 판화 개인전을 열었다. 1985년 1월 21~27일 사인 화랑에서 김수석·하인츠 사칭거 판화 2인전을 열었다. 부산대학교에 재직하던 1986년 미술 교육 전문가, 화가, 미학자로 구성된 한국색채교육학회를 창립하고 초대 부회장으로 활동하며 한국 색채 교육의 방향을 정립하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1992년부터 1998년까지 한국색채교육학회 회장, 부산광역시 미술위원회 위원, 2002년 아시아경기대회 디자인전문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였다. 2008년 사망하였다.

[저술 및 작품]

저서로는 디자인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총괄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디자인 입문서 『한국의 무늬-그 내력과 조형』[1998]이 있고, 역서로는 『착시 조형』[시라이시 가즈야 지음, 월간 디자인 출판부, 1987], 세계의 염색 예술 전 분야를 집대성한 『세계의 염색 예술』[잭 레너라센 지음, 미진사], 『요하네스 이텐(Johannes Itten)의 색채의 예술』[1976], 『조지 케페스(Gyorgy Kepes)의 조형과 예술학에 있어서의 새로운 풍경』[1997], 『고교정인(高橋正人)의 시각 디자인의 원리』[1988] 등이 있다.

작품으로 회화 「여인」[1958, 캔버스에 유채]은 김수석의 초기 작품 중에서도 구도와 필력에 힘이 있고 화면 분할에 구성적인 완성도를 보여 준다. 이것은 응용 미술을 전공한 김수석이 디자인적 사고를 회화에 접목한 작품으로 해석할 수 있다. 부산 지역 내 1950년대의 화풍을 볼 수 있는 얼마 되지 않은 작품 중 하나이다.인체의 일부분을 사진으로 찍은 다음 이미지를 변조한 형상을 실크스크린으로 제작한 판화 「회모」, 「산성(酸性)」, 「일식(日蝕)」, 「윤회(輪廻)」 등이 있으며, 필획을 소재로 한 유화와 동종의 소재로 제작한 실크스크린 작품도 다수 남아 있다.

[묘소]

묘소는 기장군 철마면 고촌리 356번지 실로암 공원묘지에 있다.

[상훈과 추모]

1959년 민주신보사가 주최하는 경남 미술전에서 최고상을, 1985년 눌원 문화상과 1999년 부산광역시 문화상[전시 예술 부문]을 수상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