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1830
영어음역 Bak Jonghyeok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예술인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서송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음악가|교수
성별
대표경력 부산시립교향악단 제4대 지휘자
출생 시기/일시 1942년 1월 17일연표보기 - 출생
수학 시기/일시 1964년 - 뉴욕음악대학 수료
활동 시기/일시 1960년 - 클라리넷 독주회 개최
활동 시기/일시 1963년 - KBS 교향악단과 클라리넷 협연 방송
활동 시기/일시 1970~1973년 - 뉴욕시 고교생 합창단 지휘, 뉴욕음악대학 관현악단 지휘, 킹스보로 커뮤니티 대학 강사
활동 시기/일시 1975년 - 카네기 리사이틀 홀 데뷔 독주회 개최
활동 시기/일시 1975~1980년 - 뉴욕에서 서울쳄버앙상블 창설
활동 시기/일시 1980년 - 귀국
활동 시기/일시 1981~1988년 - 부산시립교향악단 제4대 지휘자로 재임
활동 시기/일시 1986년 9월 - 브람스 교향곡 4번 음반 출반
활동 시기/일시 1988년 3월 - 경희대학교 음악대학 교수 취임
활동 시기/일시 1993년 - 프리즈마앙상블 창단
몰년 시기/일시 1996년연표보기 - 사망
학교|수학지 서울예술고등학교 -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창동 217
학교|수학지 경희대학교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경희대로 26

[정의]

현대 부산에서 활동한 음악가.

[활동 사항]

박종혁은 1942년 1월 17일에 출생하여 서울예술고등학교와 경희대학교 음악대학에서 클라리넷을 전공하였으며, 1960년 클라리넷 연주자로서는 국내 최초로 클라리넷 독주회를 열었다. 1963년에는 KBS 교향악단과 협연 방송[베버 「클라리넷 협주곡 제2번 작품 74」] 및 WNYC[미국 뉴욕공영라디오방송국] 연주 방송[브람스 「클라리넷 소나타 작품 120의 제2번」]을 하였다.

1964년 미국으로 가서 뉴욕음악대학에 유학하면서 지휘 공부를 하였으며, 유학 중에 관현악단과 앙상블 지휘자, 클라리넷 연주자, 교육자로 활동하였다. 1968년에는 뉴욕시 박물관에서 오토 헤르츠 박사와 모차르트 클라리넷 협주곡을 연주하였으며, 1970~1973년에는 뉴욕시 고교생 합창단과 뉴욕음악대학 관현악단을 지휘하고 킹스보로 커뮤니티 대학에서 강사로 재직하였다. 1975년에는 카네기 리사이틀 홀에서 데뷔 독주회를 열었다. 1975~1980년에는 뉴욕에서 재미 음악인들로 구성된 서울쳄버앙상블을 창설하여 활동하였다. 1980년 귀국하여 영남대학교, 계명대학교 기악과 과장을 역임하였고, 수차례 독주회와 오페라 「파우스트」, 「사랑의 묘약」을 지휘하였다.

1981년 재창단한 부산시립교향악단의 제4대 상임 지휘자 취임하여 1988년 퇴임하기까지 정교함과 다채로운 표현 능력에 주력하여 부산시립교향악단을 중앙의 교향악단 수준으로 끌어올렸다는 평가를 받았다. 대표적인 연주 활동은 1985년 9월 대한민국 음악제에 지방 악단으로는 처음으로 세종 문화 회관 초청 연주회를 열었고, 1986년 1월 청와대 신년 음악회에 초청되어 연주하였다. 그리고 1986년 9월 한국 최초로 브람스 「교향곡 4번」을 음반으로 출반하였으며, 청와대 신년 초청 음악회, 오페라 「카르멘」 공연에서 KBS 교향악단 지휘, 1988년 3월 예술의 전당 개관 기념 연주회 등의 활동을 하였다.

1988년 3월 이후 경희대학교 교수와 충남교향악단의 상임 지휘자로 활동하였는데, 특히 1993년에는 프리즈마앙상블을 창단하여 클라리넷 주자로서 활동을 재개하였고, 1994년에는 브루흐의 「클라리넷과 비올라를 위한 협주곡」을 협연하였다. 박종혁은 지휘자, 교육가, 클라리넷 연주자로서 활동하다 1996년 사망하였다.

[저술 및 작품]

『브람스 교향곡 4번』 음반을 출반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