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1149 |
---|---|
한자 | 二佛- |
영어의미역 | Yibul Village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 이불 마을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표용수 |
[정의]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었던 자연 마을.
[명칭 유래]
마을에서 금부처가 나왔다고 하여 이불(二佛) 마을이라 불렸다고 전한다.
[형성 및 변천]
이불 마을의 형성 시기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1910년 동래군 서면에서 부산부에 편입되었다가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동래군 읍내면 연산동에 속하였다. 1942년 10월 부산부 동래출장소 관할이 되었다. 1946년 연산동이 연산 1동, 연산 2동으로 분동되고, 1957년 구제가 실시되면서 동래구에 속하였다. 1970년 7월 연산 2동이 연산 2동, 연산 3동으로 분동되고, 1979년 8월 연산 3동이 연산 3동, 연산 6동으로, 연산 4동이 연산 4동, 연산 7동으로 분동되었다. 1982년 9월 연산 1동이 연산 1동, 연산 8동으로 분동되었으며, 1985년 12월 연산 8동이 연산 8동, 연산 9동으로 분동되었다. 1995년 3월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하면서 연제구가 신설되어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 이불 마을이 되었다. 2008년 3월 연산 6동, 연산 7동을 연산 6동으로 통합하여 오늘에 이른다.
[자연 환경]
이불 마을은 남쪽에 위치한 배산(盃山)[255m] 북쪽 사면에 위치해 있으며, 북쪽으로 온천천이 동남쪽으로 흘러간다. 마을과 온천천 사이에는 저습지가 발달해 있어 과거에는 미나리꽝과 농경지로 이용되었으나, 장마철에는 범람의 위험이 컸다고 한다.
[현황]
이불 마을은 연산 8 치안센터에서 연천초등학교 부근까지 걸쳐 있던 자연 마을로, 신작로[지금의 과정로]를 중심으로 웃각단[웃마을]과 아랫각단[아랫마을]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현재는 도시화로 일반 주택과 아파트가 들어서면서 옛 흔적은 사라졌다. 웃각단이 있던 지역은 연일초등학교, 연천초등학교, 연일유치원 그리고 인근에 부산경상대학, 부산외국어고등학교 등이 있고, 아랫각단에는 연천 시장이 있다. 마을에서는 배산제를 지냈다고 하는데, 현재도 마을 보호수[수령 250년으로 연제구 과정로 245에 있는 연산동 소나무]에서 매년 정월 초하루에 당산제를 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