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양지 마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1134
한자 陽地-
영어의미역 Yangji Village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부산광역시 사하구 괴정동 양지 마을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표용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자연 마을
변천 시기/일시 1910년 - 경상남도 동래군 사천면 목정리 지역이 경상남도 부산부에 편입
변천 시기/일시 1914년 3월 - 경상남도 동래군 사천면 목장리에서 경상남도 동래군 사하면 괴정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42년 - 경상남도 동래군 사하면 괴정동에서 경상남도 부산부 사하출장소 괴정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49년 - 경상남도 부산부 사하출장소 괴정동에서 경상남도 부산시 사하출장소 괴정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57년 - 경상남도 부산시 사하출장소 괴정동에서 경상남도 부산시 서구 사하출장소 괴정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59년연표보기 - 괴정동이 괴정 1·2동으로 분동
변천 시기/일시 1965년연표보기 - 괴정 1동이 괴정 1·3동으로 분동
변천 시기/일시 1975년 10월 - 부산직할시 서구 사하출장소 괴정동에서 부산직할시 사하출장소 괴정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79년 8월연표보기 - 괴정 1동이 괴정 1·4동으로 분동
변천 시기/일시 1983년 12월 - 부산직할시 사하출장소 괴정동에서 부산직할시 사하구 괴정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95년 - 부산직할시 사하구 괴정동에서 부산광역시 사하구 괴정동으로 개편
자연 마을. 양지 마을 - 부산광역시 사하구 괴정동 양지 마을

[정의]

부산광역시 사하구 괴정동에 있었던 자연 마을.

[명칭 유래]

구덕산 서남쪽 양지바른 언덕에 자리 잡은 마을이라고 하여 양지(陽地) 마을이라 불렀다.

[형성 및 변천]

양지 마을은 6·25 전쟁 때 전국에서 모여든 피난민과 1951년 용두산 대화재, 부산역전 대화재 등 큰 화재로 발생한 이재민들이 구덕산 서남쪽 양지바른 언덕에 모여들며 형성된 마을이다. 1957년 구제 실시로 서구 직할 사하출장소가 설치되며 그 관할이 되었다. 1959년 괴정동괴정 1동, 괴정 2동으로, 1965년 괴정 1동괴정 1동, 괴정 3동으로 분동하였다. 1970년대 새마을 운동과 주택 개량 사업으로 당시의 판잣집 대신 시멘트 슬라브 집으로 바뀌었다. 1975년 10월 부산직할시 직할 사하출장소가 설치되며 그 관할이 되었다. 1979년 8월 괴정 1동괴정 1동, 괴정 4동으로 분동하였다. 1983년 12월 사하출장소가 사하구로 승격하였으며, 1995년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하면서 부산광역시 사하구 괴정동 양지 마을이 되었다.

[자연 환경]

양지 마을 동북쪽에 구덕산[560m]이 있고 서북쪽에 승학산[496.3m]이 있다. 마을은 두 산의 능선이 뻗어 내리는 산기슭에 남향으로 자리 잡고 있다.

[현황]

양지 마을은 현재의 낙동로 북쪽인 사하구 괴정 3동 치안센터에서 유진 빌라[사하구 괴정동 260-77번지] 일대까지 걸쳐 있던 자연 마을로,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주택과 빌라,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어 옛 흔적을 찾을 수 없다. 괴정 1동 주민자치센터, 동주대학교, 양지 마을 어린이집, 동산병원 등이 있다. 또한 마을 남쪽으로 낙동로도시 철도 1호선이 지난다. 골목길을 양지길로 명명하여 옛 마을의 위치와 지명의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