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1121 |
---|---|
한자 | 美南- |
영어의미역 | Minam Village |
이칭/별칭 | 미남(尾南) 마을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 미남 마을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정형 |
성격 | 자연 마을 |
---|---|
변천 시기/일시 | 1832년 - 동래부 서면 금산리 |
변천 시기/일시 | 1914년 - 경상남도 동래군 동래면 온천리 |
변천 시기/일시 | 1942년 10월 - 경상남도 동래군 동래면 온천리에서 경상남도 부산부 동래출장소 온천정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49년 8월 - 경상남도 부산부 동래출장소 온천정에서 경상남도 부산시 동래출장소 온천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57년 1월 - 경상남도 부산시 동래출장소 온천동에서 경상남도 부산시 동래구 온천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63년 1월 - 경상남도 부산시 동래구 온천동에서 부산직할시 동래구 온천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95년 1월 - 부산직할시 동래구 온천동에서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으로 개편 |
자연 마을 | 미남 마을 -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 미남 마을 |
[정의]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에 있었던 자연 마을.
[명칭 유래]
미남(美南) 마을의 명칭 유래는 알 수 없다.
[형성 및 변천]
미남 마을이 언제부터 형성되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동래부지(東萊府誌)』[1740]에는 미남 마을이 기록되어 있지 않으나, 『동래부읍지(東萊府邑誌)』[1832] 방리조(坊里條)에 서면 소속에 미남리(美南里)가 있고, 관문에서 6리 거리에 있다고 되어 있다. 『경상남도 동래군 가호안』[1904]에는 서상면에 미남리(尾南里)가 있고, 이 동네의 호수는 30호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미남 마을은 금산동, 화촌동, 북면의 소정동 일부와 함께 합쳐져 동래군 동래면 온천동에 편입되었다.
온천동은 1942년 10월 경상남도 부산부 동래출장소 온천정(溫泉町)으로 개편되었고, 1949년 8월 경상남도 부산시 동래출장소 온천동이 되었다. 1957년 1월에는 경상남도 부산시 동래구 온천동이 되었다. 1959년 2월 온천동의 행정동을 온천 1동과 온천 2동으로 나눌 때 온천 2동에 편입되었다. 1963년 1월 부산직할시 동래구 온천동이 되었다. 1979년 1월 행정동인 온천 2동을 온천 2동과 온천 3동으로 나눌 때 온천 3동에 편입되었으며, 1995년 1월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하면서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 미남 마을이 되었다.
[자연 환경]
미남 마을의 서쪽에는 금정산이 있고, 동쪽에는 수영강의 지류인 온천천이 흐르고 있다.
[현황]
미남 마을은 온천 3동 주민자치센터 동쪽과 북쪽에서 미남 교차로 사이 일원에 있었다. 현재는 고급 빌라와 단독 주택이 밀집되어 있고, 옛 고속버스 터미널 자리에 들어선 온천동 반도 보라 스카이 뷰와 같은 대규모 아파트 단지도 있어 옛 흔적을 찾기는 어려우나, 미남 교차로, 부산 도시 철도 미남역, 미남탕, 미남 상가 아파트, 미남로, 미남로 약국 등의 지명을 사용하고 있어 옛 마을의 위치를 짐작하게 한다.
미남 마을이 있던 곳은 남북으로 아시아드대로와 미남로, 부산 도시 철도 3호선이, 북쪽에는 충렬 대로와 부산 도시 철도 4호선이 각각 지나 교통이 편리하고, 비교적 평지에 주택, 상가 등이 밀집되어 있어 살기 좋은 곳이다. 미남 교차로 서남쪽 가까이에는 보호수로 지정된 나이 290세 이상의 팽나무 등이 있어 옛 미남 마을의 역사를 대변해 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