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1118 |
---|---|
한자 | 花峴- |
영어의미역 | Hwahyeon Village |
이칭/별칭 | 화현(華峴) 마을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부산광역시 동래구 안락동 화현 마을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정형 |
성격 | 자연 마을 |
---|---|
변천 시기/일시 | 1914년 - 경상남도 동래군 동래면 원동 |
변천 시기/일시 | 1942년 - 경상남도 동래군 동래면 원동에서 경상남도 부산부 동래출장소 안락리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49년 - 경상남도 부산부 동래출장소 안락리에서 경상남도 부산시 동래출장소 안락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57년 - 경상남도 부산시 동래출장소 안락동에서 경상남도 부산시 동래구 안락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63년 - 경상남도 부산시 동래구 안락동에서 부산직할시 동래구 안락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95년 - 부산직할시 동래구 안락동에서 부산광역시 동래구 안락동으로 개편 |
자연 마을 | 화현 마을 - 부산광역시 동래구 안락동 화현 마을 |
[정의]
부산광역시 동래구 안락동에 있었던 자연 마을.
[명칭 유래]
화현(花峴) 마을은 마을 뒷산에 백일홍이 많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형성 및 변천]
화현 마을의 형성 시기에 대해서는 전하는 바가 없다. 『동래부지(東萊府誌)』[1740]나 『동래부읍지(東萊府邑誌)』[1832]뿐 아니라, 『경상남도 동래군 가호안』[1904]에서도 동명을 확인할 수 없어 일제 강점기에 형성된 마을로 추정된다. 마을이 속한 지역은 1914년 4월 행정 구역 개편 때 경상남도 동래군 동래면 원동이 되었으며, 1942년 10월 경상남도 부산부 동래출장소 안락리(安樂里)가 되었다. 1949년 8월 부산시 동래출장소 안락동, 1957년 1월 경상남도 부산시 동래구 안락동이 되었으며, 1963년 1월 부산직할시 동래구 안락동에 속하였다. 1995년 1월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하면서 부산광역시 동래구 안락동에 속하였다.
[자연 환경]
화현 마을은 동쪽에 수영강이 흐르며 주변은 평탄지로 북쪽에 나지막한 야산이 있었는데, 1970년대부터 충렬 아파트 등의 주거 단지가 만들어지면서 깎여 나갔다. 현재는 충렬 아파트와 화전 아파트 서쪽 월성 박씨(月城朴氏) 재실인 화전재 주변만 낮은 구릉이 솟아 있는 평탄지이다.
[현황]
화현 마을은 동래구 안락 2동 충렬 대로 447번길 일대로, 남쪽으로 충렬 대로가 지나고 동쪽으로 부산 제1 도시 고속 도로인 번영로가 지나며, 마을 내에 안락로 등의 직교형 도로망이 발달해 있다. 옛 마을이 있던 지역에는 안락 2동 주민자치센터, 안락 2동 치안센터, 충렬초등학교와 일반 주택, 빌라, 상가, 아파트 단지 등이 밀집되어 있어 옛 흔적을 찾을 수 없으나, 화현 노인정, 화현 경로당, 화현길 등의 지명으로 위치를 짐작할 수 있다. 북쪽 가까이에 명장도서관이 있고, 서쪽의 안락 군인 아파트 일대는 주택 재개발 정비 사업이 한창 추진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