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1098
한자 農幕-
영어의미역 Nokmak Village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동 농막 마을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선석열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자연 마을
변천 시기/일시 1953년 - 부산시 대연출장소 문현리
변천 시기/일시 1957년 - 부산시 대연출장소 문현리에서 부산시 부산진구 문형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63년 - 부산시 부산진구 문형동에서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문형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73년 -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문형동에서 부산직할시 대연출장소 문현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75년 - 부산직할시 대연출장소 문현동에서 부산직할시 남구 문현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95년 - 부산직할시 남구 문현동에서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동으로 개편
상세 주소 농막 마을 -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동 농막 마을

[정의]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동에 있는 자연 마을.

[명칭 유래]

가난한 농민들이 지은 움막이 많은 곳이라고 하여 농막(農幕) 마을이라 불렀다.

[형성 및 변천]

일제 강점기에 사람들이 하나 둘씩 지금의 문현동 안동네 야산에 들어와 살았는데, 광복 후부터 6·25 전쟁 때 피난민들이 고동골 등에 들어와 움막을 짓고 농사를 짓거나 막노동을 하게 되면서 제법 큰 마을을 이루었다. 1919년 동래군 서면의 문현리로 편입되었으며, 1953년 부산시 대연출장소 관할이 되었고, 1957년 부산진구 문현동이 되었다. 1963년 부산시가 부산직할시로 승격하였으며, 1973년 부산직할시 대연출장소에 편입되었다. 1975년 부산직할시 남구, 1995년에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동 농막 마을이 되었다.

[자연 환경]

황령산 서남쪽 산자락에 고동골이 있는데, 이 골짜기 경사면에 마을[문현 1동]이 형성되어 있다. 고동골에는 공동묘지가 있으며, 토질이 좋지 않아 비만 오면 진흙벌이 되고 마르면 흙먼지가 많이 일어난다. 서쪽은 전포동과 경계를 이루어 전포 돌산 공원이 자리하고 있다.

[현황]

농막 마을은 좁은 골목과 단독 주택 등으로 오래된 주거지의 형태를 보여 준다. 마을의 북서쪽 산에는 공동묘지가 남아 있는데, 이곳에도 무덤 사이에 주택이 들어서 있다. 현재 마을 남쪽에 대단위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고 있으며, 주변에 문현초등학교부성고등학교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