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1081 |
---|---|
한자 | 洪介- |
영어의미역 | Honggae Village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부산광역시 사상구 학장동 홍개 마을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전영섭 |
성격 | 자연 마을 |
---|---|
변천 시기/일시 | 1914년 - 경상남도 동래군 사상면 학장리 |
변천 시기/일시 | 1963년 - 경상남도 동래군 사상면 학장리에서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학장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75년 -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학장동에서 부산직할시 북부출장소 학장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78년 - 부산직할시 북부출장소 학장동에서 부산직할시 북구 학장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95년 - 부산직할시 북구 학장동에서 부산광역시 사상구 학장동으로 개편 |
자연 마을. | 홍개 마을 - 부산광역시 사상구 학장동 홍개 마을 |
[정의]
부산광역시 사상구 학장동에 있었던 자연 마을.
[명칭 유래]
한글학회에서 1980년 편찬한 『한국 지명 총람』 10권인 부산·경남 편에 홍개(洪介) 마을 이름이 나타나 있다. 지금의 학장초등학교 뒤편 일대를 홍개라고 한 데에서 유래한다. 한자로 ‘홍개(洪介)’라고 표기하고 있지만 실제로 홍개의 ‘개’는 포구 또는 바다를 의미한다. 즉 홍개는 홍포(洪浦)로 넓은 갯벌을 의미한다. 홍께 마을이라고도 불렀다.
[형성 및 변천]
홍개 마을의 형성 시기는 알 수 없지만 지형상 이곳은 사람이 살 수 없는 습지였기 때문에 일제 강점기 학장동이 개발되면서 사람들이 살았을 것으로 추측한다. 이 시기 이곳 선창가에는 모두 12~13가구가 모여 살았다고 한다. 조선 시대 고문서인 「사천면 전답재결영탈책(沙川面田畓災結永頉冊)」[1775]에는 학성(鶴城)과 장문(場門)의 2개 마을 지명을 확인할 수 있고, 「사상면 호적중초(沙上面戶籍中草)」[1888]에서는 장문리·학성리(鶴城里)와 함께 구덕리가 기록되어 있으나 홍개 마을 흔적은 확인할 수 없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학성리, 장문리, 구덕리를 합쳐 동래군 사상면 학장리가 되었다. 1963년 부산직할시에 편입되며 부산진구 사상출장소 학장동이 되었다. 1975년 부산진구의 구포출장소와 통합하여 시 직할 북부출장소가 설치되었고, 1978년 북구 학장동이 되었다. 1995년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하면서 북구에서 분리되어 부산광역시 사상구 학장동 홍개 마을이 되었다.
[자연 환경]
홍개 마을 남쪽으로는 학장천이, 서쪽으로는 삼락천이 흐른다. 북동쪽은 백양산이 자리한다. 조선 후기 홍개 마을에는 주례로 들어가는 수로가 있었다. 이 수로 물로 주례동의 엄골 마을 원앞들 농사를 지었다고 한다.
[현황]
홍개 마을이 있던 곳에는 학장동 주민자치센터, 학장초등학교, 학장공단 우편취급소 등이 들어서 있다. 마을 북쪽으로 동서 고가 도로가 지난다. 마을 대부분이 사상 공업 단지 안에 포함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