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1070
영어의미역 Jibul Village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부산광역시 사상구 엄궁동 지불 마을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전영섭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자연 마을
변천 시기/일시 1740년 - 경상남도 동래군 사천면 상단 엄광리
변천 시기/일시 1914년 - 경상남도 동래군 사천면 사상면 엄광리에서 경상남도 동래군 사상면 엄궁리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63년 - 경상남도 동래군 사상면 엄궁리에서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엄궁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75년 -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엄궁동에서 부산직할시 북부출장소 엄궁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78년 - 부산직할시 북부출장소 엄궁동에서 부산직할시 북구 엄궁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95년 - 부산직할시 북구 엄궁동에서 부산광역시 사상구 엄궁동으로 개편
자연 마을 지불 마을 - 부산광역시 사상구 엄궁동 지불 마을

[정의]

부산광역시 사상구 엄궁동에 있었던 자연 마을.

[명칭 유래]

한글학회에서 1980년 편찬한 『한국 지명 총람』10권인 부산·경남 편에 지불 마을이 소개되어 있다. 옛날부터 ‘지이불’이라고 불러 왔다고 한다. 지불에 대한 뜻과 유래는 명확하지 않지만 정월 대보름날에 쥐불놀이를 하던 곳으로, 또는 자기 이불만 챙기는 말로 유추해 볼 수 있다.

[형성 및 변천]

지불 마을의 형성 시기는 알 수 없다. 1945년 8.15광복이 되었을 때 지불 마을에서는 10여 가구가 살았다고 한다. 『동래부지(東萊府誌)』[1740]에 동래도호부 관할의 사천면 상단엄광리가 나타나며, 『경상남도 동래군 가호안』[1904]에 사상면 엄궁동이 기록되어 있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동래군 사상면 엄궁리가 되었다. 1963년 부산직할시에 편입되며 부산진구 사상출장소 엄궁동이 되었다. 1975년 부산진구의 구포출장소와 통합하여 시 직할 북부출장소가 설치되어 그 관할이 되었다. 1978년 북구 엄궁동이 되었으며, 1982년 감전동 일부가 엄궁동에 편입되어 법정동의 경계가 조정되었다. 1995년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하면서 북구에서 분리되어 부산광역시 사상구 엄궁동 지불 마을이 되었다.

[자연 환경]

지불 마을 서쪽으로 승학산이, 북쪽으로 백양산이 둘러싸고 있다.

[현황]

지불 마을엄궁동에 있던 자연 마을로, 지금의 엄궁 삼거리에서 엄궁중학교 사이에 있었다. 현재 엄궁동 중심 지역으로 현대 시설을 갖춘 병원을 비롯하여 대형 음식점, 종교 시설, 학원, 학교 등 편의 시설이 부족함 없이 들어서 있다. 또한 옛 마을 부근에는 대형 마트, 재래시장까지 있다. 지불 마을에는 원래 김씨(金氏), 이씨(李氏) 등이 살았으나 지금은 외부에서 이주해 온 사람이 대부분이다. 이곳은 농토가 부족하여 강가에서 재첩이나 물고기를 잡으며 생활하였다. 또한 갈대를 베어 발과 빗자루 등을 만들어 파는 등, 여느 마을과 같이 고달픈 삶을 살았다고 한다. 지불 마을 인근에 있는 통장이골 엄궁 동산 밑 골짜기 아래에 화장하는 곳이 있었는데, 지금의 엄궁중학교 일대다. 이 골짜기에서 술 먹은 사람을 해치는 귀신이 나왔다는 이야기도 전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