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1050 |
---|---|
한자 | 機張- |
영어의미역 | Pear in Gijang |
분야 |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특산물/특산물 |
지역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임랑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동효 |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임랑리 일대에서 생산되는 배.
[개설]
기장 배는 충분한 일조량과 맑은 물, 깨끗한 공기, 오염되지 않은 토양에서 친환경 농업으로 재배되어 당분과 수분의 함량이 높고 석세포가 적당히 있어 아삭아삭 씹히는 청량감을 더해 준다.
[연원 및 변천]
기장에서 배를 재배하기 시작한 지는 오래되지 않았지만, 배를 재배하기에 아주 적합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또한 정부에서 적극 권장하고 있는 공동 선별을 통한 표준 규격으로 출하를 하고 있다. 특히 당도가 높고 육질이 연하며 빛깔, 모양 등이 좋아 품질이 좋다.
[제조(생산) 방법 및 특징]
기장 배는 12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 가지치기를 한다. 겨울은 새로운 도약을 위한 준비 단계로 나뭇잎이 떨어진 배나무는 아직 휴면 중이나 퇴비, 석회 등 밑거름 시용과 함께 낙엽 및 조피 제거로 월동 병해충의 서식 밀도를 줄여 준다. 한편 이때 동계 약제도 살포하고, 가지치기를 한다. 4월에는 꽃 솎아 내기를 하고, 꽃이 피기 시작하면 벌·나비 등에 의한 수분이 시작되며, 적뢰·적화에 의해 너무 많은 열매가 열리어 상품의 질이 떨어지는 것을 1차 방지한다.
5월에는 열매솎기를 하는데, 과실이 엄지손가락 정도의 크기가 되면 열매솎기를 하여 상품의 비율을 높이고 생산량을 조정하며 수확·운반·저장 등의 효율을 높인다. 6월에는 봉지 씌우기를 한다. 봉지를 씌우는 시기는 대체로 낙과가 끝나고 최종 열매솎기를 마친 다음에 한다. 과일 껍질을 보호하기 위한 봉지 씌우기는 대개 6월 상순[만개 후 40일 후]부터 한다. 이러한 과정이 끝나면 10월에 수확한다.
[현황(관련 사업 포함)]
부산광역시에는 기장 지역에서만 유일하게 배를 재배하며, 2012년 기장군에서는 130여 농가가 92㏊에서 1,560톤의 배를 생산하였다. 1996년 법인을 설립한 선진배과수영농조합의 경우, 2002년 4월 30일 친환경[저농약] 농산물 인증[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인증번호 제02-01-4-2호]을 받아 4만 9672㎡의 면적에서 119톤을 생산하였다. 동부산농협에 판매장 및 전시처가 마련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