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대저 쑥갓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1038
한자 大渚-
영어의미역 Crown Daisy in Daejeo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특산물/특산물
지역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동효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채소
재질 쑥갓
용도 식용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8년 12월 30일 - 등구엽채영농조합법인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에서 친환경[무농약] 농산물 인증
생산지 대저 쑥갓 생산지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동 일대
체험장|전시처 등구엽채영농조합법인 - 051-937-5553

[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동 일대에서 생산되는 쑥갓.

[개설]

대저 쑥갓은 무농약 유기 농법으로 재배되어 잎과 줄기가 부드러워 먹기가 쉬우며, 쑥갓 고유의 독특한 향이 뛰어나다. 높이 30~60㎝이고 전체적으로 털이 없으며 독특한 향기가 있다. 쑥갓은 상추쌈에 곁들이는 쌈 재료나 나물 재료로서 식품 가치는 월등하지만 생산은 그리 많지 않다. 성분은 100g당 수분 93.7g, 단백질 2.5g, 지질 0.4g, 탄수화물 3.7g, 회분 0.9g, 칼슘 74㎎, 인 29㎎, 철 4.2㎎, 비타민 A 4950I.U., 비타민 B 0.15㎎, 비타민 B2 0.3㎎, 비타민 C 45㎎이 함유되어 있다.

[연원 및 변천]

쑥갓은 지중해 연안이 원산지인 1~2년생 초본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전국적으로 재배하고 있다. 1960년대 이후 부산광역시 강서구 지역에 전문적이고 상업적인 농업이 자리 잡으면서, 1970년대 농가 소득 향상을 위해 고등 소채[채소] 재배가 본격화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쑥갓도 배추, 상추, 깻잎 등과 함께 많이 재배되기 시작하였다.

[제조(생산) 방법 및 특징]

대저 쑥갓은 노지 재배와 시설 재배 두 가지 방식이 있지만, 주로 시설 재배 방식으로 생산되고 있다. 시설에서 재배되는 쑥갓은 비닐하우스의 온도를 연중 15~20℃로 유지하여 생산한다.

[현황(관련 사업 포함)]

2009년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동 일대에서 생산되는 쑥갓은 노지 재배가 4㏊에서 26톤이 생산되었고, 시설 재배가 25㏊에서 489톤이 생산되었다. 등구엽채영농조합법인 소속 4명[오재원 외 3명]의 농민들이 2008년 12월 30일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에서 친환경[무농약] 농산물 인증[인증 번호 제02-00-3-8호]을 받았으며, 2012년 현재 3,175㎡에서 10톤의 친환경 쑥갓을 생산하였다.

[참고문헌]
  •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http://www.enviagro.go.kr)
  • 대저농협(http://www.daejeo.nonghyupi.com)
  • 부산광역시 강서구청(http://www.bsgangseo.go.kr)
  • 부산광역시청(http://www.busan.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