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0907
한자 龍湖聖堂
영어공식명칭 YongHo Roman Catholic Church
이칭/별칭 용호천주교회
분야 종교/기독교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남구 동명로132번길 61[용호동 487-9]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한 건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교회
설립자 강대식[Denis Kearney S.S.C.]
전화 051-625-3382
홈페이지 용호성당(http://www.yhcc.kr)
설립 시기/일시 1978년 12월 3일연표보기 - 설립
최초 설립지 용호성당 - 부산광역시 남구 동명로 132번길 61[용호동 487-9]지도보기
현 소재지 용호성당 - 부산광역시 남구 동명로 132번길 61[용호동 487-9]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남구 용호동에 있는 천주교 부산교구 소속 성당.

[설립 목적]

용호성당은 남구 용호동에 거주하는 천주교 신자들에게 기도와 미사를 제공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변천]

1972년 부산시 도시 계획에 따라 대신동, 영주동, 보수동 주민들이 용호동으로 이주하였다. 이들 중 신자들은 대연성당까지 다녀야 했지만, 거리가 멀고 신자들의 증가로 용호동에 있는 한독유치원 건물을 빌려 임시 공소로 사용하였다. 공소가 협소하여 성당 건립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1977년 11월 10일 부산교구에서 성당 부지 1,000㎡ 정도를 매입하였다. 1978년 7월 10일 골롬반회 강대식[디오니시오, Denis Kearney S.S.C] 신부가 임시 공소에 부임하고, 골롬반회의 지원을 받아 성전 건립 공사에 착수하여 11월 30일 완공하였다. 12월 3일에 본당으로 승격하고, 초대 주임 신부로 강대식 신부가 임명되었다.

1980년 이후 지역의 이주자와 신자의 증가로 성당 증축이 요구되어, 1982년 5월 20일 증축 성당 축성식을 가졌다. 1984년 2월 16일 골롬반회에서 부산교구로 이속되어 황태웅[요셉] 신부가 부임하였다. 1998년 7월 3일 새 사제관 건물을 완공하였다. 2002년에는 용호동 일부를 신설된 이기대성당으로 분가하였다. 2011년 8월 20일 용호성당의 숙원 사업이었던 주차장 부지를 매입하고 축성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용호성당의 미사는 일요일에는 오전 6시 30분, 9시, 11시, 오후 7시 30분 네 차례 있다. 평일에는 월요일 아침 6시 30분, 화요일에서 목요일까지는 오전 10시, 오후 7시 30분 두 차례 있고, 금요일에는 아침 6시 30분, 오후 7시 30분 두 차례 있다. 토요일은 오후 4시[초등부], 6시[중고등부, 특전] 두 차례 있다. 연 2회 정도 세례식을 통해 240여 명의 신자가 세례를 받는다. 부산교구의 사목 지침에 따라 본당의 재탄생을 위한 새 복음화 운동에 앞장서고 있다. 신자들이 신앙의 덕목을 가지고 본당 및 지역 사회의 복음화에 앞장서고 있다.

[현황]

2013년 현재 용호성당은 평신도 사도직 협의회를 중심으로 빈첸시오회, 성모회, 안나회, 연도회, 제대회, 대건안드레아회, 사도회, 선교로사리오회, 반석회 등 많은 단체들이 있다. 교역자로는 주임 신부 1명, 보좌 신부 1명, 수녀 3명, 사무장 1명, 사무원 1명이 있다. 교우 수는 5,795명이며, 수호성인은 여왕이신 동정 성 마리아이다. 성당은 대지 1,620㎡ 정도이며, 주요 건물인 성당을 비롯한 강당, 사제관, 수녀원 등 건물 면적은 5,023㎡ 정도이다.

[의의와 평가]

부산시의 도시 계획으로 인하여 이주민이 많아 성당이 설립되었으나, 지역의 계발이 쉽지 않아 성당 발전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2000년대 이후 동국제강이 떠나간 자리와 용호만 지역에 대단위 아파트가 들어서면서 신자들이 증가함에 따라 용호성당이 활성화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