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조개무지 마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0623
영어의미역 Jogaemuji Village
이칭/별칭 패총(貝塚) 마을,조개무덤 마을,조개묻이 마을,조개물리 마을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부산광역시 동래구 낙민동 조개무지 마을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정형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자연 마을
변천 시기/일시 1914년 - 경상남도 동래부 읍내면 신락리에서 경상남도 동래군 동래면 낙민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42년 - 경상남도 동래군 동래면 낙민동에서 부산부 동래출장소 낙민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49년 - 부산부 동래출장소 낙민동에서 부산시 동래출장소 낙민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57년 - 부산시 동래출장소 낙민동에서 부산시 동래구 낙민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63년 - 부산시 동래구 낙민동에서 부산직할시 동래구 낙민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95년 - 부산직할시 동래구 낙민동에서 부산광역시 동래구 낙민동으로 개편
자연 마을 조개무지 마을 - 부산광역시동래구 낙민동 조개무지 마을

[정의]

부산광역시 동래구 낙민동에 있었던 자연 마을.

[명칭 유래]

조개무지 마을은 패총(貝塚), 즉 조개무지·조개 무덤·조개 묻이가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형성 및 변천]

조개무지 마을은 ‘부산 동래 패총’[사적 제192호]이 있어 3~4세기경부터 사람이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 지역은 현재 바닷가로부터 약 6㎞ 떨어져 있지만, 조개무지[사람들이 조개 등을 먹고 껍데기를 버려 만들어진 조개 무덤]가 형성될 당시에는 바닷가였던 것으로 보인다. 마을의 정확한 형성 시기나 변화, 지명에 대한 기록은 확인할 수 없으며, 마을이 속한 지역은 『동래부지(東萊府誌)』[1740]에 읍내면 동부(東部) 수문리(水門里), 남문동변리(南門東邊里)로 나타나며, 『동래부읍지(東萊府邑誌)』[1832]에는 신락리(新樂里)로 나타난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동래군 동래면 낙민리에 속하였다. 1930년대 동해 남부선 철도 공사로 마을을 가로질러 철길이 놓였다. 1942년 부산부 동래출장소 관할이 되었으며, 1957년 구제(區制)가 실시되면서 동래구 관할이 되었다. 1963년 부산시가 부산직할시로 승격하였다. 마을 주변은 1960년대까지 철도청 묘목장(苗木場), 미나리꽝으로 농사를 짓는 농장과 습지 지역이었는데, 1970년대부터 매립되며 주택지로 변하게 되었다. 1995년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되면서 부산광역시 동래구 낙민동 조개무지 마을이 되어 현재에 이른다.

[자연 환경]

조개무지 마을의 남쪽에는 수영강의 지류인 온천천이 흐르고, 주변은 습지였으나 현재는 매립되어 평탄지를 이룬다.

[현황]

조개무지 마을동해 남부선 철도 남쪽에 있는 부산 동래 패총[낙민동 100-18번지] 일원에 있던 자연 마을이다. 북쪽으로는 충렬 대로와 부산 도시 철도 4호선, 동해 남부선 철도와 동래역사가 있으며, 동쪽으로 반송로, 서쪽으로 명륜로, 남쪽으로 온천천 강변을 따라 조성된 온천천로로 둘러싸여 있다. 옛 마을 안쪽으로 명륜로온천천로를 연결하는 수안로 등의 도로망이 잘 발달해 있고 마을버스가 다닌다. 현재는 도시화로 아파트 단지와 빌라 등이 늘어서 있어 옛 흔적을 찾을 수 없다. 북쪽에 낙민초등학교가 있고, 남쪽의 온천천에는 온천천 시민 공원이 조성되어 있으며, 관내에 새마을금고와 수민동 주민자치센터가 있으며, 일반 주택과 1980년대부터 들어선 아파트 단지, 빌라 등이 밀집되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