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0528
한자 釜山映畵評論家協會賞
영어의미역 Busan Film Critics Awards
이칭/별칭 부산영평상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제도/상훈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정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정 시기/일시 2000년연표보기 - 제정
시행 시기/일시 2000년 10월연표보기 - 제1회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시상식 개최
주관 단체 부산영화평론가협회 - 부산광역시 남구 용당동 535 동명대학교 응용관 505호지도보기

[정의]

부산 지역의 영화 비평가 그룹인 부산영화평론가협회가 수여하는 영화상.

[개설]

1958년 부산 영화 발전과 지역 비평 문화 활성화를 위해 창설된 부산영화평론가협회는 당시 부일 영화상 제정에 중심이 되는 등 괄목할 만한 영화 문화 운동을 전개해 왔다. 1970년대 이후에는 그 명맥만을 유지하다가 1984년 제2차 재건 총회를 가지고 학술지 『영상 문화』를 발간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기 시작하여 2000년에는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을 제정하기에 이른다.

[제정 경위 및 목적]

1996년 시작된 부산 국제 영화제의 사회 문화적 성공과 1999년 설립된 부산영상위원회의 활동으로 인한 영화 제작 도시로서의 성과는 부산영화평론가상을 만드는 단초를 제공하였다. 부산영화평론가상은 성숙한 비평 문화를 통한 한국 영화 발전과 부산 영화 문화의 영속적인 발전을 목적으로 한다.

[시상 부문 및 변천]

개설 당시 최우수 작품상, 감독상, 각본상, 촬영상 등 13개 분야의 시상이 이루어졌다. 특히 한국 최초의 촬영 기사이자 동시 녹음 기술의 개척자로서 말년에 부산에 정착하여 한국영화인협회 부산지회를 창설한 이필우의 이름을 딴 ‘이필우 기념상’은 촬영, 조명, 편집, 녹음, 미술, 효과 등 영화 기술 분야에서 가장 뛰어난 역량을 발휘한 영화인에서 수여되었다.

2010년 제11회에 이르러 최우수 작품상과 감독상을 없애고 대상을 신설했으며, 배우들에게 주었던 여러 상도 여자 우수 연기상과 남자 우수 연기상으로 통합해 총 8개 분야로 정리했다. 2012년 제13회에 이르러서는 다시 신인 남자 연기상과 신인 여자 연기상을 만들어 총 10개 분야를 시상하였다.

[역대 수상자]

2000년 제1회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이 제정된 이후, 2012년 현재에 이르기까지 역대 수상자의 내용은 다음 표와 같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현황]

2008년 부일 영화상이 부활되면서 부산영화평론가상과의 통합이 적극적으로 추진되었으나 성사되지 못하였다.

[의의와 평가]

국내의 많은 영화상들이 대중의 평판을 고려하면서 그 정체성과 개성이 흐려지는 최근의 상황에서 부산영화평론가상은 지역 비평가들의 안목을 지키면서 객관성과 공정성을 유지하는 시상 결과로 인정받고 있다. 하지만 대중적인 인지도와 시민 참여의 한계, 부산 지역 평론가들의 폭넓은 참여 확대가 숙제로 남아 있다.

[참고문헌]
  •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팸플릿」
  • 부산영화평론가협회(http://www.bfca.or.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