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우리말학회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0478
한자 -學會
영어의미역 Korean Language Society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언어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사하구 낙동대로550번길 37[하단동 840]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인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학회
전화 051-200-7027
홈페이지 우리말학회(http://www.woorimal.org)
설립 시기/일시 1975년 5월 5일연표보기 - 우리말연구회로 설립
개칭 시기/일시 1997년연표보기 - 우리말연구회에서 우리말학회로 개칭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1년 12월 - 학술지 『우리말 연구』 발간 시작
최초 설립지 우리말연구회 -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 산30
현 소재지 우리말학회 - 부산광역시 사하구 낙동대로 550번길 37[하단동 840]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에 있는 국어학 학술 단체.

[설립 목적]

우리말학회는 국어에 나타나는 언어적 제반 현상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그 결과를 널리 펼쳐 언어 공동체 구성원의 효율적인 언어 사용과 창조적인 정신 활동에 기여하고자 국어학 연구에 뜻을 가진 학자들이 결성한 학회이다. 국어학 연구와 발전에 뜻을 둔 회원들의 연구 활동을 활발하게 하고, 학술 정보에 대한 교류를 원활하게 하며, 회원들 사이의 친선을 도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변천]

우리말학회는 우리말연구회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1975년 5월 5일에 당시 부산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국어학을 전공하던 대학원생들이 모여 국어학 연구의 기초를 마련하기 위한 공부 모임으로 우리말연구회를 발족하였다. 그해 5월에 제1회 연구 발표회를 시작으로 1977년 1월까지 총 16회에 걸쳐 연구 발표회를 가져 연구 모임의 초석을 다졌다. 1982년 7월에 제1차 부산대학교 가야 문화권 학술 조사[방언 부문]에 참여하여 1986년 7월까지 5차에 걸쳐 경상남도 창녕군과 함안군, 산청군, 통영군의 방언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분석 정리하여 5회에 걸쳐 조사 보고서로 발표하였다[부산대학교 인문대 『학예』 제2집, 『학예』 제3집, 『금정』 제22~24집에 수록].

1985년부터는 여름 방학을 기점으로 여름 교실과 겨울 교실을 개최하였고, 여기서 국어학 관련 논문을 발표하고 활발한 토론을 펼쳐 국어학 연구와 발전에 크게 이바지하였다. 1991년 12월에 학술지 『우리말 연구』 제1집[논문 15편 수록] 발간을 시작으로 2013년 8월 기준 제35집까지 발간하였다. 학술지 발간을 계기로 회원이 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생과 그 출신으로 제한되었던 것을 우리말연구회 설립 목적에 뜻을 같이하는 사람이면 모두 참여할 수 있도록 문호를 개방하였다. 회원 수 증가와 연구 분야의 다양성 등에 따라 연구회에서 학회로 승격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이에 따라 1997년에 우리말연구회를 우리말학회로 명칭을 변경하고 학회로서의 체제를 갖추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우리말학회가 추구하는 바는 국어학, 국어 교육, 한국어 교육 분야에 대한 수준 높은 연구와 회원 간의 학술 교류를 통한 학문의 발전이다. 주요 사업으로 국어학 전문 학술지인 『우리말 연구』를 발간하고, 연 2회 전국 학술 발표 대회를 개최한다. 이외에 부산광역시 대학생과 대학원생들로 구성된 공부 모임으로 학문 후속 세대를 양성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우리말 연구』는 1991년에 창간되어 2003년까지 연 1회 발간하다가 2004년부터 2012년까지는 연 2회, 2013년 이후에는 연 4회 발간하는 규모로 발전하였으며, 수록 총 400여 편이다. 전국 학술 발표 대회는 우리말학회의 전신인 우리말연구회 시절 매년 열리던 여름 교실과 겨울 교실을 계승·발전한 것으로, 매년 여름과 겨울에 개최되며 이틀에 걸쳐 20편가량의 논문이 발표된다.

[현황]

우리말학회의 조직은 학회의 운영과 사업을 위해 회장 1명, 부회장 1명, 상임 이사 약간 명, 이사 약간 명, 감사 2명의 임원진, 그리고 학회 학술지인 『우리말 연구』의 편집, 논문 심사, 논문 투고, 출판 등을 관리하는 편집 위원회로 구성되어 있다. 2013년 현재 150여 명의 회원이 학술 활동에 임하고 있다. 우리말학회는 누리집[http://www.woorimal.org]을 통해 학회 소식과 학회지, 연구 동향 등 다양한 국어학 관련 재료와 정보를 널리 제공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전국에 걸쳐 국어학 분야와 국문학 분야를 통합한 국어 국문학 관련 학회는 많으나 국어학 분야를 중심으로 연구 활동을 하는 학회는 소수에 지나지 않는다. 더군다나 학문 연구의 축이 과도하게 중앙에 집중되어 있는 요즘, 지역에서 결성되어 전국을 아우르는 국어학 분야의 전문 학회는 우리말학회가 유일하다. 또한 우리말학회부산광역시의 언어문화에 대한 연구를 주도적으로 인도할 뿐만 아니라 학문적인 면과 규모 면에서 전국성을 지닌 어떤 학회에 견주어 보아도 모자라는 점이 없다. 이러한 사실은 한국연구재단에서 학술지 『우리말 연구』를 2003년에는 등재 후보지로, 2008년에는 등재지로 평가한 사실을 통해서도 잘 알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