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0336
한자 釜山市-
영어공식명칭 Busan Media Center
이칭/별칭 BMC
분야 문화·교육/언론·출판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연제구 중앙대로 1001[연산동 1000]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은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공공 기관
설립자 부산광역시
전화 051-888-2110
설립 시기/일시 2011년 1월 5일연표보기 - 설립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0년 8월 - 공식 트위터 개설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0년 10월 - 블로그 ‘쿨부산’ 개설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1년 - 공식 페이스북 개설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1년 12월 7일 - 대한민국 소셜 미디어 공공 부문 종합 대상 수상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2년 11월 26일 - 대한민국 인터넷 소통 대상 공공 부문 종합 대상 수상
최초 설립지 부산시 미디어센터 - 부산광역시 연제구 중앙대로 1001[연산동 1000]지도보기
현 소재지 부산시 미디어센터 - 부산광역시 연제구 중앙대로 1001[연산동 1000]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부산광역시청 소속 시정 홍보 부서.

[설립 목적]

부산시 미디어센터부산광역시의 정책에 대한 시민의 이해도와 신뢰도를 높이고, 정책 집행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시정 홍보 영상물 제작, 민간 홍보 시설과 자체 홍보 수단을 통한 시정 홍보, 여론 조사 및 언론 모니터를 통한 시민 여론 수렴 등의 업무를 처리하기 위해 수립되었다.

[변천]

2008년 9월 1일 부산시보 편집실을 확대 개편하여 인터넷 방송 바다TV, TV 콘텐츠용 시정 뉴스, 인터넷 신문 등의 제작·운영 업무를 흡수하였다.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매체 강화로 시민과 시정의 소통을 확산시키기 위해 2010년 8월에는 공식 트위터[@BusanCityGovt]를 개설, 전국 지방 공공 단체 중 트윗 순위 1위로 시정 관련 뉴스, 복지, 문화 정보를 제공하고 민원 업무를 병행하였다. 2010년 10월 블로그 ‘쿨 부산’을 개설, 문화·생활 정보, 인터뷰 등 시민 밀착형 시정 콘텐츠를 제공하며 실시간 댓글과 답글로 소통을 시작하였다. 2011년에는 공식 페이스북[BusanCity]과 10~20대의 활용이 많은 미투데이도 개설하여 홍보 활동을 벌이고 있다.

2011년 1월 5일 부산시의 조직 개편에 따라 부산시보 편집실을 부산시 미디어센터로 변경하였다. 2011년 12월 7일 공공 기관 중 SNS를 통해 고객과 소통이 가장 활발한 기관으로 인정받아 2011 대한민국 소셜 미디어 공공 부문 종합 대상을 수상했다. 2012년 11월 26일 제5회 대한민국 인터넷 소통 대상 공공 부문 종합 대상을 수상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인쇄 매체로 『다이나믹 부산』, 영자 신문 『Dynamic Busan』, 일본어 신문, 『부산 이야기』 등 5종을 제작하며, 인터넷 신문 『Buvi News』, 인터넷 방송 바다TV, 부산시 통합 웹진 BUVI 레터 2.0 등을 제작한다. 부산시보편집위원회, 신문·잡지등록취소심의위원회, 지역신문발전위원회 등 3개의 위원회를 운영하고 있다.

[현황]

부산시 미디어센터 운영을 총괄하는 미디어센터장 산하에 뉴미디어 정책을 담당하는 7명과 뉴스 제작을 담당하는 12명의 직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민 생활 밀착형 기획 영상물과 부산 도시 브랜드를 홍보할 수 있는 글로벌 영상물 제작하여 시정 현안 보도 자료와 정책 등을 다양한 매체를 통해 시민들에게 알리고, 트위터, 블로그 등 SNS 매체를 통해 시민 참여를 활성화할 수 있는 이벤트를 추진한다.

[의의와 평가]

시민에게 다가가는 맞춤형 홍보로 시민 역량을 결집하고 부산광역시의 도시 브랜드 가치를 국·내외 홍보를 통해 알리며, 쌍방향 소통 강화로 시민의 시정 참여를 강화하고 있다.

[참고문헌]
  • 부산광역시 대변인실 (http://www.busan.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