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부산 MBC 여성 교양 강좌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0265
한자 釜山-女性敎養講座
영어의미역 Busan MBC’s Liberal Arts Lecture Classes for Women
분야 문화·교육/언론·출판
유형 행사/행사
지역 부산광역시 수영구 감포로8번길 69[민락동 316-2]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은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행사시기/일시 1987년 7월 2일~2002년 4월 26일[폐지]
시작 시기/일시 1987년 7월 2일연표보기 - 시작
폐지 시기/일시 2002년 4월 26일연표보기 - 폐지
행사 장소 부산 시민 회관 - 부산광역시 동구 자성로 133번길 16[범일동 830-31]지도보기
행사 장소 『국제 신문』 대강당 - 부산광역시 연제구 중앙대로 1217[거제동 76-2]지도보기
행사 장소 MBC 시네마 홀 - 부산광역시 수영구 감포로 8번길 69[민락동 316-2] 부산문화방송지도보기
주관 단체 부산문화방송 - 부산광역시 수영구 감포로 8번길 69[민락동 316-2]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에서 부산문화방송의 사회 교육 사업으로 개최되었던 여성 대상 교양 강좌.

[연원 및 개최 경위]

부산 지역 여성의 교양과 지식 계발을 위하여 1987년 7월 2일 제1회 부산 MBC 여성 교양 강좌를 개강하였다. 초기에는 주로 부산 시민 회관에서 개최하였고, 부산문화방송이 부산광역시 수영구 민락동으로 이전한 1997년 이후에는 『국제 신문』 대강당 또는 MBC 시네마 홀[현 MBC 롯데 아트 홀]에서 개최하였다.

[행사 내용]

정치, 경제, 사회, 문화는 물론 육아, 미용, 건강 등 여성 생활에 관련된 거의 모든 분야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서울을 비롯한 전국의 유명 교수와 권위자를 강사로 초청하였다. 1987년 7월 2일 제1회 부산 MBC 여성 교양 강좌에서는 연세대학교 교수 김형석이 ‘인생은 선하고 아름다운 것’이라는 주제로 강연하였다.

개최 초기의 주제들로는 1987년 9월 5일 조동춘의 ‘삶의 지혜’, 11월 12일 부산남여자상업고등학교[현 부산영상예술고등학교] 교장 조광제의 ‘아름다운 마음을 배우는 여성’이 있다. 또한 1988년 1월 이항녕의 ‘한국 여성의 멋’, 2월 12일 서울대학교 교수 김일철의 ‘오늘을 사는 여성의 지혜’, 3월 9일 김정태의 ‘원만한 부부 생활’, 4월 6일 흥사단 이사장 안병욱의 ‘우리는 어떻게 살 것인가?’, 5월 6일 연세대학교 교수 한양순의 ‘현대 사회에서의 여성의 역할’ 등이 있다. 흥행이나 수입보다는 사회 발전과 계도적인 측면에 중점을 두어 강의를 진행하였다.

초기에는 여성들의 지식 함양을 목적으로 하는 방송사의 공익사업으로 출발하였다. 여성만을 대상으로 사회 저명인사를 초청하여 여성을 주제로 한 교양 특강을 진행하였으며, 무료로 진행되었다. 후반부에는 여성 전용 강좌에서 여성을 삭제하고, MBC 교양 강좌로 바꾸어 남녀가 모두 참여할 수 있도록 개방하였으나 여전히 여성들이 대부분 참석하였다. 강연을 할 때마다 1,500~2,000여 명이 참석하여 만원을 이루었지만 갈수록 다른 단체 등에서 다양한 강의가 생겨나면서 청중이 점차 줄어들었다.

[현황]

2002년 4월 26일 128회로 종료되었다. 2000년대 이후로 임신 육아 교실과 여성 노래 교실 등 여성 강좌를 분야별로 신설하여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부산 MBC 여성 교양 강좌는 부산 시민의 의식 전환을 통해 더불어 사는 사회를 구현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