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생선회학』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0152
한자 生鮮膾學
영어의미역 Raw Fish Studies
분야 문화·교육/언론·출판,생활·민속/생활
유형 문헌/단행본
지역 부산광역시 남구 용소로 45[대연동 430-1] 부경대학교 출판부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은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학술서
저자 조영제
표제 생선회학
간행 시기/일시 2008년연표보기 - 간행
간행처 『생선회학』 간행처 - 부산광역시 남구 용소로 45[대연동 430-1] 부경대학교 출판부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부경대학교 교수가 저술한 생선회 학술 서적.

[편찬/간행 경위]

‘생선회 박사’로 불리는 부경대학교 식품생명공학부 조영제 교수가 전공 과목인 ‘생선회학 및 실습’의 교재로 사용하기 위해 2008년 『생선회학(生鮮膾學)』을 편찬하였다.

[형태]

B5[18.8×25.7㎝] 판형에 총 246쪽의 단행본이다.

[구성/내용]

수산 식품 및 생선회 관련 연구, 생선회 전문가 과정 교육, 한국생선회협회 활동 등을 통해 교육하고 연구한 생선회 관련 이론을 비롯해 생선회 산업 현장 실무 등 생선회 전공자 및 종사자들이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내용을 체계화하였다.

제1장 생선회 산업과 식문화에서는 생선회 산업의 현황과 활어 회를 즐기는 생선회 식문화로 인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제2장 생선회와 건강에서는 생선 횟감의 주요 성분, 영양 및 기능성 성분들, 어패류의 지방, 생선회와 건강에 대해 다룬다. 제3장 생선 횟감의 근육 과학은 어패류의 근육 과학과 생선 횟감의 사후 변화를 설명하고, 제4장 생선회 맛의 과학에서는 생선회의 맛과 향상법, 맛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제5장 생선 횟감의 종류별 특성에서는 어류와 갑각류, 패류, 두족류 등의 특성을 설명하며, 제6장 생선회의 위생에서는 생선회의 위생적인 조리법과 위생 안전성 확보 방법, 비브리오 패혈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의의와 평가]

부산 지역의 연구자가 저술한 학술 서적으로 생선회의 과학적 체계화에 기여하였다. 문화체육관광부의 2008년도 우수 학술 도서 중 순수 과학 15종 가운데 하나로 선정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