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9326
영어의미역 Water Parsley
이칭/별칭 수근,수영
분야 지리/동식물
유형 식물/식물(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강서구 녹산동|기장군 일광면|기장군 철마면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강현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식물
학명 Oenanthe javanica(Bl.) DC.
생물학적분류 식물계˃속씨식물문˃쌍떡잎식물강˃산형화목˃산형과
원산지 한국
높이 20~50㎝
개화기 7~8월
결실기 9~10월
지역 내 자생|재배지 미나리 재배지 - 부산광역시 강서구 녹산동
지역 내 자생|재배지 미나리 재배지 -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지역 내 자생|재배지 미나리 재배지 -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 녹산동기장군 일광면철마면에서 주로 재배하는 산형과의 여러해살이풀.

[형태]

미나리는 높이 20~50㎝로 자라며, 속이 비어 있고 밑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져 옆으로 퍼진다. 잎은 1~2회 우상 겹잎으로 긴 잎자루가 있으나 위쪽으로 갈수록 짧아지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7~9월에 원줄기 끝에서 복산 꽃차례[산형 꽃차례의 꽃대 끝에 다시 부챗살 모양으로 갈라져 피는 화서]로 흰색의 자잘한 꽃이 달린다.

[생태]

한국이 원산지로 들이나 습지, 물가 근처의 습한 곳에서 흔히 자란다. 제주도, 전라남도, 전라북도, 경상북도, 충청남도, 충청북도, 강원도 등지에서 야생하며 재배하기도 한다. 미나리는 물을 좋아하는 식물로 물기가 많은 곳이면 어디서나 재배가 가능하기 때문에 재배할 때 물 관리가 중요하다.

[역사/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미나리는 한약 명으로 ‘수근(水芹)’ 또는 ‘수영(水英)’이라 부른다. 『동의보감(東醫寶鑑)』에는 “갈증을 풀어 주고 머리를 맑게 해 주며 주독을 제거할 뿐 아니라 대장 및 소장을 잘 통하게 하고, 황달·부인병·음주 후 두통이나 구토에 효과적이다. 김치를 담가 먹거나 삶아서 혹은 날로 먹으면 좋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녹산동 범방 마을 일대는 무공해 미나리 재배 단지로 각광받고 있는데, 이 지역의 미나리는 청정 지하수로 재배하여 다른 지역의 미나리에 비해 맛과 향이 뛰어나다. 특히, 1990년 말 국립보건원에 검사를 의뢰하여 무공해 식품으로 판정받고 난 뒤 소비가 급속히 늘어 전국 각처에서 주문이 쇄도하고 있다. 현재는 범방 지구 이주 단지의 형성으로 생산이 줄었으나, 2011년 녹산동에서 114㏊에서 3,735.22t이 생산되었다.

기장군 일광면철마면에서 재배되는 기장 미나리는 겨울철 기장의 특산물이며, 다른 지역에 비해 맛과 향이 월등히 우수하다는 평을 듣고 있다. 기장 지역의 특산물로 본격 생산되기 시작한 때는 1990년대 초인데, 미나리는 겨울철 싱싱한 채소를 생산하기 어려운 때 비타민 C의 보고이자 칼슘 등 무기질이 많아 예로부터 식용 약재로 이용돼 온 알카리성 식품이다.

개발 제한 구역인 기장군 일광면과 상수도 보호 구역이자 개발 제한 구역인 철마면의 깨끗하고 맑은 물로 자라는 미나리로 다른 지역의 미나리보다 맛과 향이 월등히 우수하다는 평을 듣고 있다. 2011년 기장군에서는 4.2㏊에서 184t의 미나리가 생산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